KR200414892Y1 - Multi-using retaining wall block and assembly of using it - Google Patents
Multi-using retaining wall block and assembly of using 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4892Y1 KR200414892Y1 KR2020060004125U KR20060004125U KR200414892Y1 KR 200414892 Y1 KR200414892 Y1 KR 200414892Y1 KR 2020060004125 U KR2020060004125 U KR 2020060004125U KR 20060004125 U KR20060004125 U KR 20060004125U KR 200414892 Y1 KR200414892 Y1 KR 20041489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wall block
- purpose retaining
- block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호안이나,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붕괴 또는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시공시 다른 다목적 옹벽 블록과 용이하게 연결이 가능하고, 지형에 따라 굴곡지게 적층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시공이 가능한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은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은 전면의 면적이 배면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블록 본체부와, 상기 블록 본체부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 복수의 요홈부와, 각각의 요홈부에서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장공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and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using the same, which are installed on a slope of a river, a lake, a land, or an incision to prevent collapse or erosion due to the loss of soi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nd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using the same, which can be easily connected with each other, can be flexibly stacked according to the terrain, and can be stably constructed.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block body portion formed in the front area is wider than the area of the back,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transversely on the block body portion, the grooves having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long holes penetrating through the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블록, 식생, 연결부재, 철근, 요홈부, 장공, 격자부재, 섬유, 호안, 성토지 Block, vegetation, connecting member, rebar, groove, slot, lattice member, fiber, protection, fill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록이 도시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록이 시공된 상태도.Figure 2 is a state in which the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struc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의 평면도와 저면도.Figure 4 (a) and (b)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의 측면도.5 is a side view of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 내지 (c)는 도 4의 A-A선과 B-B선 및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A-A선의 단면도.6 (a) to 6 (c)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and line B-B of FIG. 4 and line A-A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시공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시공된 단면도.Figure 8 (a) and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struction of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의 시공된 상태의 평면도.9 is a plan view of the construction of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굴곡지게 시공된 상태의 평면도.10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다르게 시공된 상태도.11 is a state in which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differently.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다르게 시공된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다르게 시공된 상태의 평면도.Figure 13 is a plan view of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ed in a different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다르게 굴곡지게 시공된 상태의 평면도.14 is a plan view of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ed in a different b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보 형태로 시공된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 다목적 옹벽 블록 52 : 블록 본체부50: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52: block body portion
53 : 걸림부 54 : 중공부53: engaging portion 54: hollow part
56 : 요홈부 58 : 장공56: grooves 58: long hole
60 : 연결부재 62 : 차폐판60: connecting member 62: shielding plate
70 : 커버블록 75 : 격자부재70: cover block 75: grid member
본 고안은 하천, 호안이나,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어 토사의 유실로 인한 붕괴 또는 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공시 다른 다목적 옹벽 블록과 용이하게 연결이 가능하고, 지형에 따라 굴곡지게 적층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시공이 가능한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nd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using the same, which is installed on a slope of a river, a lake, a land, or an incision to prevent collapse or erosion due to the loss of soil, and more specifically, in constru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nd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using the same, which can be easily connected with other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s, can be flexibly stacked according to the terrain, and can be stably constructed.
일반적으로 하천, 호안이나,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경사면 등에는 토사의 유실이 빈번하게 유실되며, 지반이 침식되거나 붕괴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의 방 지를 위해 하천, 호안이나, 성토지 또는 절개지 등의 경사면 등에 옹벽블록 또는 호안블록이 설치된다.In general, the loss of soil is frequently lost on slopes such as rivers, lakes, lands, or incisions, and erosion or collapse of the ground occurs. Retaining wall blocks or revetment blocks are installed on the inclined surfa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록이 시공된 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nstructed.
종래의 조경블록(1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평면상 대략 6각 형상의 외연을 이루면서 일정 높이의 두께를 가지는 형상의 몸통부(11)를 갖는다. 또한, 상기 몸통부(11)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토사 채움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토사 채움부(12)에는 자갈 등을 포함하는 토사(P)가 채워지며, 이를 위해 상기 토사 채움부(12)의 하부가 일부 차폐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몸통부(11)에서 토사 채움부(12)의 좌, 우측을 경계하여 주는 살 부분에는 전, 후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수개의 수직홀(13)과, 상기 수직홀(13)이 위치되어 있는 자리의 전후방향을 따라 일정부분 파인 수평홈(15)이 구비된다.In addition, several parts of the
상기 수직홀(13)에는 하부에 위치되는 다른 조경블록(10)들의 수직홀(13)을 연결하기 위한 앵커로드(2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로드(20)는 상단부가 지반에 직각으로 꺾여지고, 상기 수평홈(15)에 수용되며 경사면 측으로 연장된다.The
이러한 조경블록(10)은 경사면의 경사도에 따라 상, 하로 엇갈리게 적층되며 안정적인 구조를 갖는다. 또한, 각각의 조경블록(10) 사이를 통해 상기 토사 채움부(12)의 전방측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토사 채움부(12)의 공간은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식생공간을 제공한다.The
또한, 종래의 조경블록(10)의 상부에는 커버블록(30)이 결합되며, 외관을 마감한다. 상기 커브블록(30)에는 하부에 위치되는 조경블록(10)의 중공부(12)에 삽입되는 돌출부(32)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중공부(12)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된다.In addition, the
한편, 하천 또는 호안 등에는 어소블록이 축조될 수 있으며, 하천의 경사면을 보호함과 아울러 물고기가 안주할 수 있는 어소공간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ivers or lakes, such as the eoeoblock can be built, and protects the slope of the river and provides a fishery space for the fish to settle.
그러나, 종래의 블록들은 구조적으로 곡선구간에서 블록들을 연결할 수 없어, 직선 또는 직각방향만 축조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 상당한 시간과 노동량을 필요로 한다. 최근의 블록은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시공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절감되고, 직선, 직각 방향은 물론이고, 곡선형으로 굴곡진 지형에서 시공할 수 있는 블록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블록은 상부를 덮는 커버블록이 하부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돌출부에 의해 결합되는 바, 결합력이 약하여 이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부의 외관이 나빠지고, 내부가 노출됨에 따라 토사가 유실될 뿐 아니라,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locks are structurally incapable of connecting the blocks in a curved section, and therefore, they are not only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y have to be constructed in a straight line or at right angles, but also require considerable time and labor during construction. The recent block is not only environmentally friendly, but also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it is easy to construct, which saves work time, and the development of blocks that can be constructed in curved and curved terrain as well as in straight and perpendicular directions. It is requir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lock is coupled to the cover block covering the upper portion by th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lower bar, the coupling force is weak and can be separated, thereby deteriorating the appearance of the upper portion, as the inside is exposed to earth and sand Not only are they lost, they are also a threat to the safety of pedestrians.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공시 다른 다목적 옹벽 블록과 용이하게 연결이 가능하고, 지형에 따라 굴곡지게 적층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시공이 가능한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can be easily connected to other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during construction, can be laminated flexibly according to the terrain, and can be stably constructed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nd It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using the same.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은 전면의 면적이 배면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블록 본체부와, 상기 블록 본체부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 복수의 요홈부와, 각각의 요홈부에서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장공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rea of a front surface wider than an area of a rear surface, and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 block body portion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lock body portion, It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having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a long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each groove.
여기서, 상기 장공은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은 전면에서 배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부는 상면에서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부는 하부를 막는 차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은 좌, 우측을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ong hole may be made of any one of oval or polygon, or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thereof.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surface from the front. In addition, the block body portion may include a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the hollow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plate blocking the lower portion.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protrusio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left and right.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는 경사면의 경사도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엇갈리거나, 수직하게 적층되는 다목적 옹벽 블록이 적층된 블록 조립체로서,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은 전면의 면적이 배면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블록 본체부와, 상기 블록 본체부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는 복수의 요홈부와, 각각의 요홈부에서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장공을 포함하고, 적층된 다목적 옹벽 블록의 장공에 설치되며 이들을 서로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 함한다.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block assembly in which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s are stacked vertically or vertically staggered or vertically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is the area of the front surface A block main body portion wider than the area of the rear surface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formed transversely on an upper portion of the block main body portion and having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on member; It includes a long hole formed through th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stalled in the long hole of the laminated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nd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for fixing them.
또한, 상기 장공은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은 전면에서 배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부는 상면에서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부는 하부를 막는 차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면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의 최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을 위해 횡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요홈부와, 각각의 요홈부에서 종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장공을 갖는 커버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다목적 옹벽 블록 사이에 설치된 망형태의 격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ng hole may be made of any one of oval or polygon, or may be formed of a combination there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surface from the front. In addition, the block body portion may include a hollow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the hollow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plate blocking the lower portion.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protrusio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More preferably, the cover block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the cover block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or inse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a long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each groove portion; can do. 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may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In addition,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may further comprise a grid-shaped grid member provided betwee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for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4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의 평면도와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의 (a) 내지 (c)는 도 4의 A-A선과 B-B선과,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A-A선의 단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and (b)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view. 6A to 6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A-A and B-B lines of FIG. 4 and the A-A line according to the modified embodiment.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 블록 본체부(52)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본체부(52)는 전면의 면적이 배면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블록 본체부(52)의 측면은 전면(52a)과 배면(52b)을 잇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굴곡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Multipurpose
또한,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상기 블록 본체부(52)의 상면에서 종방향을 관통되는 중공부(54)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부(54)는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사다리꼴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부(54)의 측면에 물결 또는 굴곡 형태와 같은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ultipurpose
더불어, 상기 중공부(54)는, 도 6의 (c)와 같이, 하부를 막는 차폐판(6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된 공간에는 자갈 등을 포함하는 토사(P)가 채워진다.In addition, the
전술된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경사면의 경사도에 따라 상, 하 또는 좌, 우로 엇갈리거나, 수직하게 적층되며, 적층된 다목적 옹벽 블록(50)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재(60)가 설치되어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를 이룬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60)는 수평부(60a)와, 상기 수평부(60a)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60b)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이 'T'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60)는 강화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철근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철근에 녹이 슬지 않도록 방청 처리된 특수도금철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mentioned multi-purpose
한편, 상기 블록 본체부(52)의 상면에는 상기 연결부재(60)의 수평부(60a)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요홈부(56)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요홈부 (56)는 3열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고 있으나, 4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장소, 크기, 형태 등에 의해 그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요홈부(56)는 상기 연결부재(60)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재(60)의 수평부(60a)가 삽입시 상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은폐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또한, 상기 각각의 요홈부(56)에는 상기 중공부(54)에 대향되며, 각각의 요홈부(56)에서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장공(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공(58)에는 상기 연결부재(60)의 수직부(60b)가 삽입되며, 상, 하부에 적층된 각각의 다목적 옹벽 블록(50)을 연결한다. 상기 장공(58)은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사다리꼴을 포함하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상기 연결부재(60)가 상기 장공(58)에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의 굴곡을 갖도록 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즉,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시공시 상, 하부에 위치된 각각의 블록(50)이 갖는 장공(58) 중 적어도 하나가 겹치게 위치되며, 상기 장공(58)이 서로 겹치는 한도에서 상, 하부의 다목적 옹벽 블록(50)을 소정의 각도로 굴곡지게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multi-purpos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는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이 시공된 상태에 따라 어느 하나의 장공(58)에만 연결부재(60)가 삽입될 수 있고, 다목적 옹벽 블록(50)을 더욱 안전하게 시공하기 위해 각각의 장공(58)에 연결부재(60)가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As such, in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전면에는 소정의 돌출부(51)가 형성된 다. 상기 돌출부(51)는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이 호안 등에 설치될 경우, 물과의 마찰을 증가시켜 유속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전면의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In addition, a
더불어,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상부면은 전면에서 배면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상부면은 전면에서 배면을 향하여 5° 경사진다. 따라서,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시공시 경사면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며 적층되고, 이에 따라 토압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하여 더욱 안정적인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multi-purpose
한편,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상기 배면(52b)에는 시공시 지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좌, 우측에 소정길이로 돌출되는 걸림부(53)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시공된 사시도이고, 도 8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시공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의 시공된 상태의 평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a) and (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 view of the constructed state.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전술된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시공시 상, 하부에 위치되는 각각의 블록(50)이 좌, 우로 어긋나게 설치되고, 상, 하부에 위치된 장공(58)이 서로 연결되도록 위치되어 연결부재(60)의 삽입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7 to 9, the above-mentioned multi-purpose
이와 같이 시공되는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도 9의 (a)와 같이, 성토지 또는 절토지와 같은 경사면에 설치되어 토사(P)의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고, 도 9의 (b)와 같이, 성벽구조물 또는 담장 등의 용도로도 설치될 수 있다.The multipurpose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중공부(54)가 형성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중공부(54)를 형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중공부(54)가 형성되지 않은 블록(50)은 커버블록(70)으로 사용된다. 상기 커버블록(70)은 복수의 요홈부(76)와, 상기 요홈부(76)에 형성되는 장공(78)을 포함하며, 시공시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최상단에 위치하며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purpose
또한, 상기 커버블록(70)의 장공(78)에는 그 하부의 다목적 옹벽 블록(50)과 연결되는 연결부재(60)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커버블록(70)은 상기 연결부재(60)가 삽입된 후, 상기 요홈부(76)에 모르타르를 삽입하여, 표면을 미려하게 마감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더욱 안정적인 시공을 위해, 각각의 블록(50)층에 격자부재(75)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격자부재(75)는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상부에 덮여지며, 격자의 일부가 상기 요홈부(56)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격자부재(75)는 상기 연결부재(60)의 삽입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격자부재(75)는 플라스틱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섬유재질이 망의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시공시 선택적으로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purpose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multi-purpose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설치를 위해, 지면에 기초 터잡기 작업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다목적 옹벽 블록(50)이 설치될 지면에 기초 잡석을 포설하고, 격자부재(75)를 설치한다. 그리고, 지면의 경계부에 다목적 옹벽 블록 (50)을 인접하게 설치한다. 또한, 시공된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상부에는 소정의 높이가 되도록 다목적 옹벽 블록(50)과 격자부재(75)를 적층한다.In order to install the multi-purpose
이때, 상부에 위치되는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하부에 위치되는 다목적 옹벽 블록(50)과 좌우로 엇갈리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중공부(54)에는 자갈 등을 포함하는 토사(P)가 채워진 상태로 시공된다. 또한,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상부면이 후측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지는바, 축조되는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가 후방으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적층된다. 따라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는 토압에 대한 지지력이 더욱 향상된다.At this time, the multi-purpose
그리고, 최상단에 적층된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상부에는 커버블록(70)이 설치되고, 각각의 블록(50)들은 중공부(54)에 연결부재(60)가 삽입되며 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커버블록(70)의 상면에 형성된 요홈부(56)에는 모르타르가 채워지며, 평평한 상부면을 갖게 된다.In addition, a
한편,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굴곡지게 시공된 상태의 평면도로서, 전술된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지형의 형태에 따라 소정의 굴곡을 갖는 형태로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상, 하부를 연결하는 블록(50)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공(58)이 서로 연결되며, 삽입되는 연결부재(60)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Meanwhile, FIG. 10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to be bent, and the aforementioned multipurpose retaining
또한,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구조체와 경사면 사이에는 틈새를 매우기 위한 자갈 등을 포함하는 토사(P)가 채워진다. 이와 같이 충진되는 토사, 자갈 등은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배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걸리게 되며 고정력을 더욱 증가시킨다.In addition,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slope of the multi-purpose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다르게 시공된 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다르게 시공된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다르게 시공된 상태의 평면도이다.FIG. 11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differently,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plan view of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본 발명의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시 좌, 우 뿐만 아니라 상, 하부가 서로 엇갈리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목적 옹벽 블록(50)이 상, 하 및 좌, 우로 서로 엇갈리게 적층될 경우, 토압에 대한 지지력이 더욱 커지게 되고, 각각의 블록(50) 사이로 중공부(54)가 노출되며 식생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된다.As shown in Figures 11 to 13, the multi-purpose
또한,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시공시, 상, 하부에 위치되는 각각의 블록(50)이 전, 후로 서로 밀리면서 시공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다목적 옹벽 블록(50) 사이에는 상기 중공부(54)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노출된 중공부(54)에는 식생이 자라는 식생공간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ulti-purpose
그리고, 최상단에 적층된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상부에는 커버블록(70)이 설치되고, 각각의 블록(50)들은 중공에 연결부재(60)가 삽입되며 서로 고정된다. In addition, a
더불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다르게 굴곡지게 시공된 상태의 평면도인 도 14와 같이, 다목적 옹벽 블록(50)이 상, 하 및 좌, 우로 서로 엇갈리게 적층될 경우에도, 다목적 옹벽 블록(50)을 굴곡지게 적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상, 하부의 블록(50)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장공(58)이 서로 겹치는 한도에서 소정의 각도로 굴곡지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is bent differently, as shown in Figure 14, even when the multi-purpose
한편, 전술된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성토지 또는 절개지와 같은 경사면 뿐 만 아니라, 하천의 호안 등에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중공부(54)의 하부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 하부로 서로 연결되는 중공부(54)는 수중식물 들이 식생할 수 있고, 물고기 등이 이동하거나, 부화 또는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multi-purpose
또한,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50)의 전면(52a)에 형성된 돌출부(51)는 하천 등을 흐르는 물의 속도를 감소시킨다.In addition, the
더불어,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이 보 형태로 시공된 단면도로서, 다목적 옹벽 블록(50)은 하천, 강 등에 계단형으로 시공함으로써 보의 용도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이 보의 용도로 설치될 경우, 어류 등이 하천, 강 등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하천, 강의 상, 하류가 상기 다목적 옹벽 블록으로 시공된 보에 의해 단절되지 않으며, 자연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다.In addition, 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in the form of a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us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above, and is within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In the course tha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는 시공시 다른 다목적 옹벽 블록과 용이하게 연결이 가능 하고, 지형에 따라 굴곡지게 적층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다목적 옹벽 블록 조립체는 다양한 형태로 조립 및 적층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더욱 다양해지는 장점이 있다.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connected with other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s during construction, can be stacked flexibly according to the terrain, and more structurally stable. have. In addition,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multi-purpose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and stacked in various form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ange of use is more diverse.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4125U KR200414892Y1 (en) | 2006-02-14 | 2006-02-14 | Multi-using retaining wall block and assembly of using 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4125U KR200414892Y1 (en) | 2006-02-14 | 2006-02-14 | Multi-using retaining wall block and assembly of using it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7016A Division KR100866404B1 (en) | 2007-01-23 | 2007-01-23 | Multi-using retaining wall block and assembly of using 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4892Y1 true KR200414892Y1 (en) | 2006-04-26 |
Family
ID=4176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4125U KR200414892Y1 (en) | 2006-02-14 | 2006-02-14 | Multi-using retaining wall block and assembly of using 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4892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8603B1 (en) | 2018-11-15 | 2019-03-14 | 남기혁 | Eco-frindly multi purpose blocking structure using waste plastic |
-
2006
- 2006-02-14 KR KR2020060004125U patent/KR200414892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8603B1 (en) | 2018-11-15 | 2019-03-14 | 남기혁 | Eco-frindly multi purpose blocking structure using waste plastic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50100418A1 (en) | Ecological block and vegetation bank protection | |
KR100704408B1 (en) | The provisions and living thing breast wall block | |
KR200445890Y1 (en) | Fish staying type vegetation revetment block | |
US5499891A (en) | Earth-retaining module and system | |
KR100866404B1 (en) | Multi-using retaining wall block and assembly of using it | |
KR101132200B1 (en) | A revetment retaining wall block providing a living place for vegetation and aquatic animal | |
KR100721453B1 (en) | embankment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 |
KR200414892Y1 (en) | Multi-using retaining wall block and assembly of using it | |
KR100515136B1 (en) | Vegetation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vegetation retaining wall and bank protection using the block | |
KR100891738B1 (en) | The crib block for a vegetation and shore protection which has a fishway facilities | |
KR100914394B1 (en) | Vegetation revemtment block | |
KR200345937Y1 (en) | Precast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 |
KR200389264Y1 (en) | Ecology Retaining Wall Block | |
KR101313863B1 (en) | Planting life block a combined use fishway | |
KR101134548B1 (en) | A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a residences of fishes | |
KR100536304B1 (en) | Vegetation revetment structures and method constructing blocktype revetment using the same | |
KR100406812B1 (en) | Lattice embankment block | |
KR100719520B1 (en) | Planting life block a combined use fishway | |
KR20100138705A (en) | Base block for supporting revetment block | |
KR101280330B1 (en) | The basis block for prevention digging | |
KR20120067497A (en) | Natural harmonious revetment block with vegetation structure | |
KR101140726B1 (en) | Ecological underwater protection retaining wall using ecological space formed by continuous connection of concrete pil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052295B1 (en) | Four-sided dam with double drips | |
KR100547001B1 (en) | Embankment block structure of river | |
KR200356104Y1 (en) | Basket-type block for bank protection capable of growing pla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