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4880Y1 -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4880Y1
KR200414880Y1 KR2020060003706U KR20060003706U KR200414880Y1 KR 200414880 Y1 KR200414880 Y1 KR 200414880Y1 KR 2020060003706 U KR2020060003706 U KR 2020060003706U KR 20060003706 U KR20060003706 U KR 20060003706U KR 200414880 Y1 KR200414880 Y1 KR 200414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far
infrared
drying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탁
Original Assignee
최규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탁 filed Critical 최규탁
Priority to KR2020060003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48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4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4880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원적외선 방사 파장대를 이용하여 농수산물건조에 응용함으로서 복사열전달 방식의 건조가 이루어져 에너지 효율이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건조시간 단축과 건조 소요에너지가 절약될 뿐만 아니라 내/외면에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고 농산물의 성분 및 색상을 그대로 유지하는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건조기는, 내부에는 건조대상물인 농산물 또는 수산물이 보관되어질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개폐용 도어(3)가 구비된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기의 외벽면을 이루는 가운데 태양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체로 이루어진 채광창(2)과, 상기 건조대상물이 안착가능하도록 건조기 내부에 다단의 수평설치가 이루어지며, 각각에는 다수의 통기공(12)이 형성되어져 있고, 외표면에는 원적외선 방사층(11)이 코팅 구비된 채반(10)과, 상기 채반(10)이 슬라이딩 유동되며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측에서 지지하는 안내레일(13)과, 건조기 내부에 열풍 공급을 위해 설치된 전기히터(9);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원적외선, 농산물, 수산물, 건조기, 전기히터

Description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A DRYER DEVICE USING FAR INFRARED RAY}
도 1은 본 고안 원적외선 건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원적외선 건조기의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채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부 단면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 원적외선 건조기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골격 프레임 2 : 채광창
3 : 개폐용 도어 4 : 구획벽
5 : 커버 하우징 5a : 습기 방출구
6 : 경사면 8 : 이동용 바퀴
9 : 전기히터 10 : 채반
11 : 원적외선 방사층 12 : 통기공
13 : 안내레일
본 고안은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적외선을 이용한 건조를 통해 살균은 물론 건조과정에서 농수산물의 변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위한 원적외선 농수산물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출하가 요구되는 각종 농산물(고추, 고사리, 약초, 담배, 버섯 등)과 수산물(오징어, 가자미, 멸치, 미역 등)은 단지 자연건조에 의존하여 건조시키게 되면,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인위적인 열에 의한 강제건조방식을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있다. 이처럼 강제건조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필수적으로 건조실이 마련되어야 하고, 이 건조실에는 열풍형태의 열이 공급되어야만 한다.
종래 열풍을 이용하는 농수산물 건조기는 건조실 내에 다단형태의 건조채반이 설치되고, 여기에 건조가 이루어질 농수산물을 널은 다음 건조실의 한쪽에 설치된 팬을 가동, 열풍이 건조실 내에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농수산물 건조기는 일정시간 이상 건조시 세균번식으로 인해 농수산물 표면에서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변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생고추과 생오징어의 경우 건조기내에서 열풍건조의 열원에 의해서만 건조가 이루어지게 됨으로, 자연의 빛(태양빛)으로 건조시킨 경우에 비하여 상품 등급과 품질 및 가격이 월등히 낮아지게 되어 건조효율에 있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시간에 고온 건조를 실시하기 위해서 과도한 열풍을 공급함에 따른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건조시 원적외선이 지속적으로 방출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 농수산물의 살균은 물론 건조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에서 발생되는 저온 열풍과 함께 태양광에 의한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는 건조대상물인 농산물 또는 수산물이 보관되어질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개폐용 도어가 구비된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기의 외벽면을 이루는 가운데 태양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체로 이루어진 채광창: 상기 건조대상물이 안착가능하도록 건조기 내부에 다단의 수평설치가 이루어지며, 각각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져 있고, 외표면에는 원적외선 방사층이 코팅 구비된 채반; 상기 채반이 슬라이딩 유동되며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측에서 지지하는 안내레일; 건조대상물의 건조 열기를 공급하기 위해 건조기 내부에 설치된 전기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적외선 방사층을 이루는 물질은 규석과 점토를 주 원료로 이루는 가운데 아초산, 붕산, 탄산마그네슘 성분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건조기의 상면은 양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상승되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하였으며, 상기 중앙 부위에는 습도 방출을 위한 방출구를 형성하기 위한 커버 하우징이 좌우 대칭형태의 경사면을 이루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원적외선 건조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원적외선 건조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 채반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부 단면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원적외선 건조기의 사용 상태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 1 및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좌우 대칭형상을 이루는 하우스 형태의 골격프레임(1)에 의해 지지되는 가운데 전체 외벽은 태양광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료를 이용한 투명체의 채광창(2)으로 이루어지되, 전면에는 개폐용 도어(3)가 설치되었으며, 내부는 중앙의 구획벽(4)에 의해 좌우공간이 나뉘어진 상태에서 농수산물이 안착되어지는 채반(10)이 다단으로 설치되어지고, 건조기 내부에 열풍 공급을 위한 전기히터(9)가 하부에 설치되어져 있다.
본 고안의 채반(10)은 도 3에서와 같이 다수의 통기공(12)이 형성되어져 있고, 외표면에는 다량의 원적외선이 지속적으로 방출되어질 수 있도록 원적외선 방사층(11)이 법랑코팅 되어져 있음을 도 4의 단면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원적외선 방사층(11)은 원적외선 방사물질인 규석(SiO2)분말과 점토분말이 90% 이상 혼합되어 주원료를 이루는 가운데 성분 점도조절 및 균일한 코팅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부원료로 아초산(nano3)과 붕산(B2O3), 탄산 마그네슘(Mgco3)이 첨가되게 된다.
즉, 규석 55~63중량%, 점토 34~38중량%, 아초산 1~2중량%, 붕산 1~2.5중량%, 탄산 마그네슘 1~2중량%의 배합비율을 이룸이 바람직 하며, 실제 실험예에서는 규석 10Kg, 점토 6Kg, 아초산 200g, 붕산 250g, 탄산마그네슘 200g 으로 하여 다량의 물 및 유약에 혼합하여 채반(10)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서 원적외선 방사층(11)을 형성시킨 것이다.
또한, 채반(10)은 통기공(12)에 의한 통기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원적외선 방사면적이 극대화 되어질 수 있도록 판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적외선 방사층(11)은 상면 뿐만 아니라 하면에도 대칭형태로 동일하게 형성시킴으로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건조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건조기의 상부면은 양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상승되는 좌우 대칭형태의 경사면(6)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상부 중앙에는 습기 방출용 방출구(5a)를 형성하기 위한 커버 하우징(5)이 좌우 대칭형태의 경사면을 이루며 설치되어져 있다.
그리고, 전기히터(9)는 동작시 산소를 소모하지 않으면서 일정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전열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획벽(4)은 전기히터(9)로 부터 토출되는 열풍이 안내되도록 중앙격벽(4a)에 의해 분할된 좌/우 열풍통로(4b)를 내부에 형성하고 있으며, 각 높이별로 열풍 토출공(4c)이 형성되어져 있어 각각의 채반(10)으로 열풍을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8은 건조기의 이동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저면에 부착된 이동용 바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원적외선 건조기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채반(10)에 고추 등 건조가 이루어질 농산물을 올려놓은 후 각각의 채반(10)을 안내레일(13)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안쪽으로 밀어넣게 되면 각 채반(10)은 수직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가운데 다단으로 설치가 이루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개폐용 도어(3)를 닫은 후 동작전원을 인가시키게 되면, PTC 전기히터(9)가 동작됨으로서 내부에 보관되어지는 농산물을 20~60℃ 범위에서 저온방식으로 건조시키게 된다.
즉, 건조기의 저면에 설치된 송풍팬(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외부로 부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전기히터(9)의 전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풍으로 바뀐 후 구획벽(4) 내의 열풍통로(4b)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 높이별로 형성된 토출공(4c)을 통해 열풍이 토출되어짐으로 채반(10)에 보관되어지는 농산물을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열풍에 의한 건조와 함께 채광창(2)을 통해 입사되는 태양광의 복사열로 인해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하는 가운데 신속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건조 과정에서 건조기 내부가 일정 온도를 이루게 되면 채반(10)의 상면 및 하면에 형성된 원적외선 방사층(11)으로 부터 다량의 원적외선 방사가 이루어지게 됨으로, 건조물은 내부에서 부터 외표면에 이르기 까지 고르게 건조가 이루어짐과 함께 살균효과를 나타내게 되어 곰팡이 번식 및 제품의 변색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건조 과정에서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는 상부의 커버 하우징(5)에 의해 형성되어진 습기 방출구(5a)를 통해 지속적으로 외부로 방출되어지게 됨으로, 건조기 내부의 건조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건조기의 상면이 좌우 대칭형태의 경사면(6)을 이룸과 함께 커버 하우징(5) 역시 동일한 형태의 좌우측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상호간의 이격 공간을 통해 습기 방출구(5a)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빗물이나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가운데 한층 효율적인 습도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농수산물 건조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추 등의 농산물을 건조하는 과정이 설명되었으나, 오징어나 멸치 등의 수산물과 인삼 등의 특용작물의 건조에도 유용하게 사 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히터의 경우 PTC 전기히터 외에 적외선 방식의 전기히터가 사용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방사 파장대를 이용하여 농수산물건조에 응용함으로서 복사열전달 방식의 건조가 이루어져 에너지 효율이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건조시간 단축과 건조 소요에너지가 절약될 뿐만 아니라 내/외면에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고 농산물의 성분 및 색상을 그대로 유지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만을 이용하는 저온건조 방식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태양광을 건조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 에너지 소비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내부에는 건조대상물인 농산물 또는 수산물이 보관되어질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개폐용 도어(3)가 구비된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기의 외벽면을 이루는 가운데 태양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체로 이루어진 채광창(2):
    상기 건조대상물이 안착가능하도록 건조기 내부에 다단의 수평설치가 이루어지며, 각각에는 다수의 통기공(12)이 형성되어져 있고, 외표면에는 원적외선 방사층(11)이 코팅 구비된 채반(10);
    상기 채반(10)이 슬라이딩 유동되며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측에서 지지하는 안내레일(13);
    건조기 내부에 열풍 공급을 위해 설치된 전기히터(9);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채반(10)은 건조대상물과의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판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층(11)은 채반(10)의 양면에 각각 코팅 형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층(11)을 이루는 물질은 규석과 점토를 주 원료로 이루는 가운데 아초산, 붕산, 탄산마그네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물질들은 규석 55~63중량%, 점토 34~38중량%, 아초산 1~2중량%, 붕산 1~2.5중량%, 탄산 마그네슘 1~2중량%의 배합비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9)는 산소를 소모하지 않는 PTC 히터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의 상면은 양측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상승되는 경사면(6)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중앙 부위에는 습도 방출을 위한 방출구(5a)를 형성하기 위한 커버 하우징(5)이 좌우 대칭형태의 경사면을 이루며 설치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원적외선 농수산물 건조기.
KR2020060003706U 2006-02-09 2006-02-09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 KR200414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706U KR200414880Y1 (ko) 2006-02-09 2006-02-09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706U KR200414880Y1 (ko) 2006-02-09 2006-02-09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515A Division KR20070080948A (ko) 2006-02-09 2006-02-09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4880Y1 true KR200414880Y1 (ko) 2006-04-25

Family

ID=4448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706U KR200414880Y1 (ko) 2006-02-09 2006-02-09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488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070B1 (ko) * 2013-10-08 2015-09-17 구본삼 식품 건조장치
KR101728093B1 (ko) * 2015-01-14 2017-04-18 이순향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
KR102386684B1 (ko) * 2021-07-29 2022-04-14 (주)재우철강 황토가 코팅된 채반을 구비하는 농산물 건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070B1 (ko) * 2013-10-08 2015-09-17 구본삼 식품 건조장치
KR101728093B1 (ko) * 2015-01-14 2017-04-18 이순향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
KR102386684B1 (ko) * 2021-07-29 2022-04-14 (주)재우철강 황토가 코팅된 채반을 구비하는 농산물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574278U (zh) 全自动宠物烘干箱
CN101832703B (zh) 中药材快速干燥机
KR101191950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CN202853277U (zh) 一种热风循环烘箱
KR20070080948A (ko)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
KR101878643B1 (ko) 광열건조장치 및 광열건조장치를 이용한 건조방법
CN104068184A (zh) 可调温窨花装置
KR100799345B1 (ko) 벌크타입 원적외선 건조기
CN205209086U (zh) 循环式节能干燥房
KR200414880Y1 (ko) 원적외선 농수산물 저온건조기
CN206478958U (zh) 一种热风干燥设备
CN104457153A (zh) 全天候紫外烘晒箱
KR101935005B1 (ko) 구들식 건조장치
CN207197128U (zh) 一种鼓风干燥箱
CN2884088Y (zh) 一种用于食物脱水的冷热风循环烘房
KR200412274Y1 (ko) 농수산물 건조기
KR101888312B1 (ko) 농수산물 건조기
CN204478741U (zh) 一种实验室用干燥箱
KR101108593B1 (ko) 건조기
CN206435438U (zh) 一种钟壳用烘干设备
KR101347078B1 (ko) 농수산물 건조 장치
KR101612481B1 (ko) 원적외선 건조기
CN203378535U (zh) 简易葡萄晾干房
CN204630303U (zh) 一种织物烘干装置
CN203881053U (zh) 一种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