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774Y1 - 씽크대의 물튐방지구 - Google Patents

씽크대의 물튐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774Y1
KR200413774Y1 KR2020060001206U KR20060001206U KR200413774Y1 KR 200413774 Y1 KR200413774 Y1 KR 200413774Y1 KR 2020060001206 U KR2020060001206 U KR 2020060001206U KR 20060001206 U KR20060001206 U KR 20060001206U KR 200413774 Y1 KR200413774 Y1 KR 200413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valve
support
present
su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석
Original Assignee
이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석 filed Critical 이해석
Priority to KR2020060001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7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1Anti-splash devices in sinks, e.g. splash guard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씽크대에 설치되어 설거지 등을 할 때 주변으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튐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지지대에 의하거나 스스로의 강도로 수직으로 세워져 펼쳐진 형태유지가 가능한 판막과 이를 씽크대의 물받이통 내측 면에 밀착/고정시킬 수 있는 고착수단으로 구성된 것으로,영구자석 또는 진공흡착판을 고착수단으로 이용한 특징이 있다.
씽크대,설거지,차수막,흡착판,주방

Description

씽크대의 물튐방지구{Water fence on a sink}
도1은 본 고안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설치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에 인용된 부호의 설명*
10;판막 11;단처리부분
12;걸침턱 20;지지대
30(30');고착수단 100;물받이통
110;물받이통벽면 120;씽크대
120;배수부 200;수도꼭지
210;물
본 고안은 씽크대의 물튐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주방에서 설거지 등을 할 때 씽크대 주변에 놓인 음식재료나 그릇 등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주방에서 설거지를 하거나 음식재료를 씻을 때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물의 수압이 과도하거나 씻는 동작에 의해 씽크대 주변으로 항상 물이 튀게 된다.따라서 항상 씽크대 주변의 물기를 닦아내야 하며 이는 주방에서의 일을 더욱 번거롭게 하는 것이기도 하다.특히 씽크대 주변에 다른 음식재료 등이 놓여져 있을 경우에는 위생적으로도 매우 좋지않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주방의 일손을 다소라도 돕기 위한 목적에서 안출되었다.종래에도 '싱크대의 물튐방지구'(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14249호,2000년12월8일등록)가 있었으나,이는 주방의 수도관에 직접 체결되는 체결구와 이에 결합된 차수막으로 구성된 것으로,수도관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체결구를 택해야 하며,사용시 시야를 가리게 되는 듯한 갑갑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제작이 용이하고,설치도 간편하며,설거지 등을 할 때 시야를 가리는 갑갑함도 줄이기 위하여,씽크대의 물받이통 벽면에 직접 밀착/설치되는 판막형태의 물튐방지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수기능이 있는 판막을 대략의 폭과 길이로 재단하되,상기 판막의 두께가 얇거나 유연성이 있는 재질인 경우에는 폭 방향으로 적당한 수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상기 판막의 폭을 세로방향으로 하여 세웠을 경우 울타리와 같은 형태로 그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그리고,상기 판막의 하측 변으로(폭을 세로방 향으로 하여 세운 높이의 하단부 대략의 위치에)흡착판 또는 영구자석과 같은 고정구를 설치하되,상기 고정구는 상기 판막을 씽크대의 물받이통 벽면에 밀부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인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부호 10은 판막이며,부호 20은 지지대,부호 30은 고정구이다.
상기 판막(10)은 물이 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방수성의 판막을 사용한다.즉,텐트나 우산에 사용되는 방수성 직물로 하거나 합성수지제의 필름 또는 5mm이내의 두께를 갖는 고무/또는 수지판으로 할 수도 있다.또는 천연재료로써 대나무나 갈대를 촘촘히 엮어 만들 수도 있다.
즉 상기 판막(10)은 방수성이 있는 것이면 어떤 재료라도 적용될 수 있다.특히 방수성과 함께 항균성(항곰팡이 등의 성분이 첨가된 직물이나 수지 등은 상용화된 것이 많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이 부가되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판막(10)은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로 하며,색상과 장식 무늬를 넣을 수도 있으며,그 평면 형상 역시 직사각형이나 장방형뿐 아니라 자유곡선을 갖도록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그리고,판막(10)의 재료를 직물 또는 얇은 필름상의 것으로 택했을 경우에는 판막(10)을 펼쳐진 형태로 유지/지탱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지지수단이 필요하게 된 다.도1에서는 판막(10)을 지탱하기 위한 수단으로 막대상의 지지대(20)를 부착한 일례를 보였다.
상기 지지대(20)는 금속선(철사)·합성수지·목재 등으로 제작할 수 있는데, 판막(10)의 크기에 따라 최소 3곳 이상의 부분에 부착/설치한다.
그러나 판막(10)이 자체로 그 펼침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우라면-적절한 강도를 갖는 수지판 또는 고무판으로 제작되었다면-상기 지지대(20)는 불필요할 것이다.
그리고,상기 판막(10)을 씽크대의 물받이통 벽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인 고정구(30)를 판막(10)에 부착 구성한다.
도1에서는 지지대(20)의 하측에 고정구(30)를 설치한 예를 보였으며,지지대(20)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예는 도2로 도시하였다.
도2의 판막(10')은 수지 또는 고무를 사용하여 소정의 두께로 제작된 예인바,이때 판막(10')의 두께는 불필요한 소재의 낭비를 줄이기 위하여 대략 5mm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판막의 고정수단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판막(10,1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의 물받이통(100) 내벽면(110)에 부착 설치되는데,상기 판막(10,10')의 부착을 위한 고정수단이 도1및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고정구(30,30')이다.
상기 고정구(30,30')는 영구자석 또는 진공흡입판을 사용할 수 있다.씽크대의 물받이통은 대개 상자성의 불수강판으로 제작된다.따라서 강한 자성을 갖는 자 석은 물받이통의 벽면에 부착된다.
도1에서는 각 지지대(20)의 하단에 코인형태의 영구자석을 부착 구성한 예를 보였으며,지지대가 구성되지 않은 도2와 같은 경우에는 판막(10')의 하단에 고무자석을 띠형태로 설치한 예를 보였다.
영구자석 고정구(30)의 경우에는 자력이 강할수록 좋으며,또 반드시 표면에 방수를 위한 코팅처리를 하도록 한다.
그러나 도4에서와 같이 진공흡입판을 고정구(30')로 적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방수 코팅처리 등이 불필요하다.진공흡입판은 실리콘고무 등으로 제작된 것으로 유리나 타일 등에 사물을 부착시키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것이다.
또 상기 각 고정구(30,30')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판막(10)의 일면에 걸침턱(12)을 부착시킬 수도 있는데,이는 고정구(30,30')의 부착력이 약하거나 물받이통 벽면(110)에 흐른 물로 인해 판막(10,10')이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즉 도4에서와 같이 싱크대(120) 상단에 걸침될 수 있도록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상기 걸침턱(12)은 도1의 지지대(20)의 배면에 지지대(20)와 일체되게 성형함으로써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도2와 같은 경우 별도 성형된 성형물을 판막(10')의 배면에 부착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또 걸침턱(12)을 조립 설치하는 방식으로 하여 필요한 경우 해당 위치에 조립 설치하고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제거할 수 있게 제작할 수도 있다.예로써,지지대의 임의 위치에 걸침턱삽입공을 형성시키고,걸침턱(12)에도 이에 대응되는 돌기를 형성시키는 방식 등을 택할 수 있다.그러나 걸침턱 (12)은 본 고안에서 반드시 적용되어야 하는 구성은 아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물튐방지구는 고정구(30,30')를 물받이통 벽면의 임의 위치에 부착하여 판막(10,10')을 울타리 형태로 세워 사용하는 것이다.
도1에서 부호 11은 판막(10)을 우산에 사용된 것과 같은 방수포로 제작할 경우의 외주연에 봉재된 단처리부분을 나타내며,도3에서 부호 130은 배수부이며 부호200은 수도꼭지 부호 210은 물을 나타낸다.
제작이 용이하고 사용(설치 및 제거)도 간편한 물튐방지구를 제공한다.본 고안의 물튐방지구를 사용함으로써 주방에서 원하지 않는 물튐을 방지하여 주방 위생과 싱크대 주변의 물튐 흔적을 닦는 일손을 돕는다.

Claims (1)

  1. 싱크대의 물받이통에 설치되는 물튐방지구에 있어서;
    방수성의 재질로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판막(10,10');및 상기 판막(10,10')의 하측 변에 설치된 다수개의 고정구(30,30')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고정구(30,30')는 싱크대의 물받이통 벽면(110)에 직접 부착이 가능한 영구자석 또는 진공흡착판 중 어느 하나로 된 특징이 있는 씽크대의 물튐방지구.
KR2020060001206U 2006-01-16 2006-01-16 씽크대의 물튐방지구 KR200413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206U KR200413774Y1 (ko) 2006-01-16 2006-01-16 씽크대의 물튐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206U KR200413774Y1 (ko) 2006-01-16 2006-01-16 씽크대의 물튐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774Y1 true KR200413774Y1 (ko) 2006-04-13

Family

ID=49296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206U KR200413774Y1 (ko) 2006-01-16 2006-01-16 씽크대의 물튐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77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662B1 (ko) 2009-07-31 2009-11-09 (주)코리나 싱크대용 야채 배수대
WO2020067586A1 (ko) * 2018-09-27 2020-04-02 성주현 흡착부 일체형 실리콘 물막이
KR102114289B1 (ko) * 2018-11-29 2020-06-17 김현일 싱크대 물튀김 방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662B1 (ko) 2009-07-31 2009-11-09 (주)코리나 싱크대용 야채 배수대
WO2020067586A1 (ko) * 2018-09-27 2020-04-02 성주현 흡착부 일체형 실리콘 물막이
KR102114289B1 (ko) * 2018-11-29 2020-06-17 김현일 싱크대 물튀김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9505B2 (ja) 保持具及び保持具付き薬液供給具
US20060191067A1 (en) Water conveying and draining device
CA2989556C (en) Sink and method of mounting
KR200413774Y1 (ko) 씽크대의 물튐방지구
RU2255642C1 (ru) Ванна
KR20130029152A (ko) 세면대 설치 겸용 선반유닛
KR200417342Y1 (ko) 욕실용 코너선반
US20090302182A1 (en) Shower curtain hanger device
US20180255979A1 (en) Shower curtain splashguard system
KR20100000517U (ko) 고무장갑 건조대
KR101259781B1 (ko) 세면대용 배수마개
US20230051508A1 (en) Plumbing Fixture Accessory
CN108634903B (zh) 踢脚板组件及洗碗机
KR200480051Y1 (ko) 세면대용 고정부재
US20070151015A1 (en) Fiberglass swimming pool shell having pre-formed sockets to attach miscellaneous items
CN212509699U (zh) 一种入墙式置物龙头
KR200490022Y1 (ko) 욕실용 선반
JP2007016434A (ja) 浴槽体及びこの浴槽体を備えた浴室ユニット
KR200486252Y1 (ko) 세면기 고정구조
CN113566005A (zh) 入墙式置物龙头
KR0135462Y1 (ko) 거울 고정구
JPH0725400Y2 (ja) 浴室ユニット
KR200372169Y1 (ko) 천연대리석으로 제작된 세면대
KR200348702Y1 (ko) 세면기
JP2563237Y2 (ja) 洗面器付カウン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