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388Y1 -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 Google Patents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388Y1
KR200413388Y1 KR2020060001242U KR20060001242U KR200413388Y1 KR 200413388 Y1 KR200413388 Y1 KR 200413388Y1 KR 2020060001242 U KR2020060001242 U KR 2020060001242U KR 20060001242 U KR20060001242 U KR 20060001242U KR 200413388 Y1 KR200413388 Y1 KR 200413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groove
terminal
hinge
groo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박승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닉스
Priority to KR2020060001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3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3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01Q1/103Latching means; ensuring extension or retra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14Length of element or element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등 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에 힌지를 설치하여 임의의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단말기용 안테나는 도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말기에 장착된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뽑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방송수신 등과 같이 안테나의 방향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는 경우에 필요한 안테나 각도조절은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1b에 보는 바와 같이 안테나를 뽑았을 때 하단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꺽이도록 하여 임의의 각도로 안테나를 조절함으로써 안테나 특성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방향으로 안테나를 향하도록 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단말기, 힌지, 탄성체(7), 압축스프링, 마찰력

Description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Direction change able mobile phone antenna}
도1은 단말기 안테나의 설치도로서
도1a는 종래의 안테나 설치도, 도1b는 본 고안에 의한 안테나 설치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안테나의 각도조절 힌지부 구조도로서
도2a, 도2b는 각각 측단면도, 정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안테나의 각도조절 힌지부의 또다른 활용예로서
도3a, 도3b는 각각 측단면도, 정단면도
도4은 본 고안에 의한 안테나의 각도조절 힌지부의 또다른 활용예로서
도4a는 한쪽에 탄성와셔를 구비하는 경우의 측단면도
도4b는 양쪽에 탄성와셔를 구비하는 경우의 측단면도
도4c는 탄성와셔를 구비하는 경우의 정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안테나의 각도조절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로서
도5a는 탄성체와 마찰봉을 사용하는 경우, 도5b는 탄성봉을 사용하는 경우
도6는 본 고안에 의한 안테나의 각도조절상태를 나타내는 또따른 활용예의 정단면도로서
도6a는 탄성체와 돌기봉을 사용하는 경우, 도6b는 탄성돌기봉을 사용하는 경우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안테나의 힌지돌기의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테나 2: 단말기
3: 하우징 4: 홈부
5: 삽입부 5‘ : 반원통면
6: 힌지축 7: 탄성체
8: 마찰봉 9, 10: 탄성와셔
11: 와셔홈 12: 탄성봉
13: 마찰돌기봉 14: 탄성돌기봉
15: 돌기홈 16: 힌지돌기
17: 안테나봉 18: 힌지구멍
19: 기둥
본 고안은 휴대폰 등 단말기에 사용되는 안테나에 힌지를 설치하여 임의의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단말기용 안테나는 도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말기(2)에 장착된 하우징(3)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뽑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방송수신 등과 같이 안테나(1)의 방향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는 경우에 필요한 안테나 각도조절은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1b에 보는 바와 같이 안테나(1)를 뽑았을 때 하단의 힌지축(6)을 중심으로 꺽이도록 하여 임의의 각도로 안테나를 조절함으로써 안테나 특성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방향으로 안테나를 향하도록 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안테나(1)의 하단에 요철형태의 삽입부(5)와 홈부(4)를 두어 서로 끼워져서 힌지축(6)을 중심으로 꺽이도록 조립되고 홈부(4)의 하단에 탄성봉(12) 또는 마찰봉(8)을 설치하여 삽입부(5)의 반원통면(5')을 탄성력으로 밀어붙이게 하여 이때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안테나 각도 조절시 임의의 위치에 안테나가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2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는 내부에 탄성체(7), 마찰봉(8), 탄성봉(12) 등이 설치되어 있고 ㄷ자 형태의 홈이 나 있는 홈부(4)와, 상기 홈부(4)에 삽입되고 삽입된 부분의 외면이 반원통면(5')을 이루는 삽입부(5)와, 상기 홈부(4)와 삽입부(5)를 가로질러 설치된 힌지축(6)과, 홈부(4) 또는 삽입부(5)에 연결되는 안테나봉(17)으로 구성된다. 홈부(4)와 삽입부(5)는 서로 조립되어 힌지축(6)을 중심으로 서로 꺾이도록 설치되며 도2와 같이 삽입부(5)에는 안테나봉(17)이 연결되고 홈부(4)는 하우징(3)에 끼워지도록 하거나, 도3과 같이 삽입부(5)가 하우징(3)에 끼워지고 홈부(4)에 안테나봉(17)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홈부(4)에는 ㄷ자 형태의 홈이 나 있어 삽입부(5)의 반원통면(5')이 끼워지며 힌지축(6)으로 서로 연결되어 회전운동한다. 여기서 회전운동시 일정한 힘 이상이 작용할 때만 회전하고 그이하에서는 정지하도록 하기위해 홈부(4)와 삽입부(5)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마찰력을 발생시키기위한 실시예로 도2 와 도3과 같이 홈부(4) 내부에 스프링이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7)와 상기 탄성체(7)의 탄성력을 받아 움직이는 마찰봉(8)을 설치하여 홈부(4)에 삽입된 삽입부(5)의 반원통면(5')에 밀어붙이게하여 반원통면(5')과 마찰봉(8)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5a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임의 위치에 고정된 안테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5b와 같이 탄성체(7)와 마찰동 대신에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봉(12)을 설치하여 갖은 효과를 낼 수 있다.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또다른 실시예로 도4와 같이 삽입부(5)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 와셔홈(11)내에 고무링, 판스프링 등 탄성와셔(9,10)를 설치하여 홈부(4)의 ㄷ자 형태의 홈에 압입으로 조립하여 마찰력을 배가할 수 있으며 필요시 홈부(4)의 탄성체(7) 및 마찰봉(8)은 설치안할 수도 있다.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또다른 실시예로 도 6과 같이 삽입부(5)의 반원통면(5')에 돌기홈(15)을 형성하고 홈부(4) 내부에 마찰돌기봉(13) 또는 탄성돌기봉(14)을 설치하여 돌기홈(15)에 마찰돌기봉(13) 또는 탄성돌기봉(14)이 끼워지게 함으로써 마찰력을 높임과 동시에 확실한 각도 조정이 가능하다. 마찰돌기봉(13)은 돌기홈(15)에 끼워지도록 마찰돌기(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돌기봉(14)은 돌기홈(15)에 끼워지도록 탄성돌기(14‘)가 형성되어 있어서 서로 끼워 맞춰지게 되며 일정힘이상에서는 탄성에 의해 마찰돌기봉(13) 또는 탄성돌기봉(14)이 밀리면서 안테나(1)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힌지축(6)은 조립원가 절감을 위해 홈부(4)의 ㄷ자 형태의 기둥(19,19‘)을 외부에서 압착하여 삽입부(5)의 힌지구멍(18)에 밀려들어가게 하여 힌지돌기(16)를 형성시킴으로써 동일한 기능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고안르면 기존의 단말기에 설치되는 하우징(3)으로 상하가동이 가능하면서 뽑았을 때 힌지축(6)을 중심으로 꺽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변형없이도 각도조절이 가능한 안테나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마찰력에 의한 지지력으로 임의의 위치에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어 안테나 특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1)

  1. 인입과 인출이 가능한 단말기용 안테나에 있어서
    내부에 탄성체(7)와 마찰봉(8)이 설치되고 ㄷ자홈이 나 있는 홈부(4)와, 상기 홈부(4)에 삽입되고 반원통면(5') 형상을 갖는 삽입부(5)와, 상기 홈부(4)와 삽입부(5)를 관통하여 설치된 힌지축(6)과, 홈부(4) 또는 삽입부(5)에 연결되는 안테나봉(17)을 포함하는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2.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체(7)와 마찰봉(8) 대신 자체 탄성을 갖는 탄성봉(1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3. 제 1 항에 있어서,
    힌지축(6)대신 홈부(4)의 ㄷ자홈을 형성하는 기둥(19,19‘)을 압착하여 삽입부(5)의 힌지구멍(18) 내부로 힌지돌기(1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4. 제 2 항에 있어서,
    힌지축(6)대신 홈부(4)의 ㄷ자홈을 형성하는 기둥(19,19‘)을 압착하여 삽입부(5)의 힌지구멍(18) 내부로 힌지돌기(1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5. 인입과 인출이 가능한 단말기용 안테나에 있어서
    내부에 탄성체(7)와 마찰돌기봉(13)이 설치되고 ㄷ자홈이 나 있는 홈부(4)와, 상기 홈부(4)에 삽입되고 돌기홈(15)이 형성된 반원통면(5') 형상을 갖는 삽입부(5)와, 상기 홈부(4)와 삽입부(5)를 관통하여 설치된 힌지축(6)과, 홈부(4) 또는 삽입부(5)에 연결되는 안테나봉(17)을 포함하는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6. 제 5 항에 있어서,
    탄성체(7)와 마찰돌기봉(13) 대신 자체 탄성을 갖는 탄성돌기봉(1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7. 제 5 항에 있어서,
    힌지축(6)대신 홈부(4)의 ㄷ자홈을 형성하는 기둥(19,19‘)을 압착하여 삽입부(5)의 힌지구멍(18) 내부로 힌지돌기(1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8. 제 6 항에 있어서,
    힌지축(6)대신 홈부(4)의 ㄷ자홈을 형성하는 기둥(19,19‘)을 압착하여 삽입부(5) 의 힌지구멍(18) 내부로 힌지돌기(1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9. 인입과 인출이 가능한 단말기용 안테나에 있어서
    ㄷ자홈이 나 있는 홈부(4)와, 상기 홈부(4)에 삽입되고 탄성와셔(9,10)가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 삽입부(5)와, 상기 홈부(4)와 삽입부(5)를 관통하여 설치된 힌지축(6)과, 홈부(4) 또는 삽입부(5)에 연결되는 안테나봉(17)을 포함하는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10. 제 9 항에 있어서,
    홈부(4)내부에 탄성체(7)와 마찰봉(8)을 설치하고 삽입부(5)에 반원통면(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11. 제 10 항에 있어서,
    탄성체(7)와 마찰봉(8) 대신 자체 탄성을 갖는 탄성봉(1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KR2020060001242U 2006-01-16 2006-01-16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KR200413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242U KR200413388Y1 (ko) 2006-01-16 2006-01-16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242U KR200413388Y1 (ko) 2006-01-16 2006-01-16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857A Division KR20060038732A (ko) 2004-11-01 2004-11-01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388Y1 true KR200413388Y1 (ko) 2006-04-06

Family

ID=4176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242U KR200413388Y1 (ko) 2006-01-16 2006-01-16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3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0819A (en) Operating device of opening-closing body
EP1167786A1 (en) Hinge
US8099833B2 (en) Washer for hinge assembly
EP3321457B1 (en) Furniture hinge
US20070271734A1 (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JP2018112632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事務機器
US6122801A (en) Hinge mechanism
KR101594179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413388Y1 (ko)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KR20060038732A (ko)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KR101023495B1 (ko)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US7284473B2 (en) Fastening element and adapt cylinder cover of a fluid-actuated working cylinder
KR200421781Y1 (ko) 단말기용 소형안테나의 마찰힌지
KR20060062127A (ko)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KR200421780Y1 (ko)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KR200415560Y1 (ko) 선접촉 래치구조를 갖는 단말기용 소형안테나
KR20060082150A (ko) 단말기용 소형안테나의 마찰힌지
KR100330065B1 (ko) 엘.씨.디 모니터용 힌지 어셈블리
KR200349129Y1 (ko) 도어용 힌지장치
JP2004044743A (ja) 携帯機器用ヒンジ
KR101253832B1 (ko) 전자기기의 개폐장치 및 전자기기
KR20090003004U (ko) 위치 조절용 안테나
JP4534569B2 (ja) ヒンジ機構及び構成体
KR200385468Y1 (ko) 휴대폰용 스윙 회전장치
WO2010134211A1 (ja) 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