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531Y1 - 배수조용 접속구 - Google Patents

배수조용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531Y1
KR200412531Y1 KR2020060001021U KR20060001021U KR200412531Y1 KR 200412531 Y1 KR200412531 Y1 KR 200412531Y1 KR 2020060001021 U KR2020060001021 U KR 2020060001021U KR 20060001021 U KR20060001021 U KR 20060001021U KR 200412531 Y1 KR200412531 Y1 KR 200412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ort
odor blocking
drainage tank
sewa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삼식
Original Assignee
임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삼식 filed Critical 임삼식
Priority to KR2020060001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5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5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조용 접속구에 관한 것이며 생활하수를 유입하는 접속구를 배수조에서 분리구성하여 배수조의 제조를 간편히 하고, 접속구에는 악취차단용버켓, 악취차단용마개, L형관체 등을 선택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속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관체 내벽에는 단턱을, 외측에는 취부판을 형성하고 지지관 내측에는 편심의 관체를 구비한 상부에 한 쌍의 가이드돌부를 형성하여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악취차단용버켓, 악취차단용마개, L형관체를 선택하여 접속구와 결합하고 배수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배수조의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게 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배수조의 제조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접속구, 배수조, 악취차단용버켓, 악취차단용마개, 생활하수유입구

Description

배수조용 접속구{The connecting line for water tank}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조립된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 도4의 종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접속구를 배수조에 설치하고, 악취차단버켓을 결합한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접속구를 배수조에 설치하고 악취차단 마개를 결합한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접속구를 배수조에 설치하고 L형관체를 연결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5 : 관체 2 : 환턱
3 : 취부판 4 : 지지관
6 : 가이드돌편
본 고안은 배수조용 접속구에 관한 것이며, 생활하수를 유입하는 접속구를 배수조에서 분리 구성하여 배수조에 설치를 간단히 하고, 배수조 내에는 악취차단버켓(마개, L형관체 포함)등의 결합을 간편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택이나 상가 건물에는 주방과 욕실 등지에서 생화하수가 발생 되고 화장실 등지에는 분뇨가 발생 된다.
생활하수의 경우에는 각종 이물질을 보유하고 있어 이물질은 걸러지고 하수관으로 연결되어 배출되며, 분뇨는 정화조에 모아져 간이 정화되어 오수만 하수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생활하수관과 정화조 오수관이 개별적으로 하수관에 설치되면 비용의 소모가 많고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발생 된다.
이를 해소하는 수단으로는 생활하수는 상부에서 유입되고, 정화조의 오수는 하방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생활하수와 오수를 함께 모아서 하나의 배출관으로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의 배수조(일명:맨홀)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배수조는 시공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유입구나 배출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거나 배수조 내에 유입되는 생활 하수의 이물질을 수집하는 수집바구니를 설치하여 생활하수의 이물질을 수시로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배수조에는 하수관과 정화조와 연결된 오수유입관의 악취가 생활하수관으로 역류 되는 결점이 발생 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생활하수 유입구 측에 개폐마개를 구비하여 생활하수가 배수조로 유입시에는 열리고 배수가 완료되면 닫히게 구비하거나, 또는 버켓형 악취차단구를 구비하여 생활하수의 유입구가 버켓의 바닥으로 침지 되도록 하여 배수조 내의 악취가 버켓에 담긴 수위에서 차단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수단은 배수조의 제조시에 생활하수의 유입구 측에 선택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조금형이 달라지게 되고 제조과정도 복잡하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파손시에는 유지보수가 어려운 결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의 제반 결점을 해소하고 배수조에서 생활하수를 유입하는 접속구를 분리구성하여 배수조의 제조를 간편히 하며 악취차단용버켓, 마개, L형관체 등을 선택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접속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도1은 실시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2는 조립된 종단면도
도3은 실시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4는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종단면도
도6은 접속구를 배수조에 설치하고 악취차단 버켓을 결합한 단면도
도7은 접속구를 배수조에 설치하고 악취차단 마개를 결합 한 단면도
도8은 접속구를 배수조에 설치하고 L형관체을 연결한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은 도4 및 도5에서와 같이 관체(1) 내벽에는 환턱(2)을, 외측에는 취부판(3)을 형성하고, 지지관(4) 내측에는 편심의 관체(5)를 구비한 상부에 한쌍의 가이드돌편(6)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0은 나선관 연결구, 20은 악취차단 버켓, 21은 버켓고정용 돌편, 22는 손잡이, 30은 악취차단 마개, 31은 마개고정용 돌편, 40은 L형관체, 50은 생활하수 유입관, 51은 생활하수 유입나선관, 60은 배수조, 61은 뚜껑, 62는 정화조 오수유입관, 63은 배출관, 64는 이물질 수거바구니, 65는 피스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적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4 및 도5와 같이 관체(1)의 내벽에는 환턱(2)를 외측에는 취부판(3)을 형성하고 지지관(4) 내측에는 편심의 관체(5)를 구비한 상부에 한 쌍의 가이드돌편(6)이 형성되도록 금형을 구비하고, 이를 사출성형기에서 합성수지재를 소재로 하여 성형제조하게 되면 양산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 배수조(60)는 오수유입구를 구비하지 않고 합성수지재로 성형하거나 오수유입구를 구비하더라도 타공부만 구비되므로 배수조(60)는 제조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배수조(60)에 본 고안의 접속구를 결합할 때에는 도1 및 도2와 같이 배수조(60)의 오수유입구 지점에 본 고안의 배수조용 접속구를 구성하는 지지관(4)을 타공부에 끼우고, 취부판(3)을 배수조(60)의 벽면에 위치시켜 피스(65)로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수조(60)에 악취차단 버켓(20)을 결합할 때에는 악취차단 버켓(20)의 손잡이(22)를 잡고 타측 상부에 위치하는 버켓고정용 돌편(21)을 본 고안 접속구의 지지관(4)과 관체(5) 사이의 가이드돌편(6)에 끼워 결합하게 된다.
이때 악취차단 버켓(20)의 관체 외면에 구비된 오링은 관체(5)와 밀봉연결되어 누수가 발생 되지 않고 신속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 된 배수조(60)에 접속구를 결합하고 생활하수를 이송하는 관체가 나선관(51)인 경우에는 도6과 같이 나선관(51)을 나선관 연결구(10)에 결합하고, 동 나선관 연결구(10)를 접속구의 관체(1)에 끼우게 되면 내벽의 환턱(2)에서 지지결합된다.
또 생활하수 유입관(50)이 원통관인 경우에는 도3과 같이 접속구의 관체(1)에 끼우면 내경의 환턱(2)에서 지지결합된다.
또 배수조(60)에서 접속구의 편심에 위치하는 관체(5)에 악취차단 마개(30)를 결합할 때에는 도7과 같이 악취차단 마개(30)의 선단에 위치하는 마개고정용 돌편(31)을 접속구의 지지관(4)과 관체(5) 상부에 구비된 가이드돌편(6) 사이에 압입 고정시켜서 결합하게 된다.
악취차단 마개(30)와 마개고정용 돌편(3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탄성력 으로 편심에 위치하는 접속구의 관체(5)에 악취차단 마개(30)가 닫혀 악취를 차단하고 생활하수가 배수조(60)로 유입될 때는 악취차단 마개(30)가 생활하수의 유입압력으로 열리고 유입이 완료되면 닫히게 된다.
또 배수조(60)에서 접속구의 편심에 위치하는 관체(5)에 L형관체(40)를 결합할 때는 도8과 같이 접속구에 관체(5)를 끼우며, L형관체(40)의 타측은 배수조(60)의 바닥지점으로 위치시키면 생활하수는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고 하수관 또는 배수조(60) 내의 악취는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관체로 역류 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배수조용 접속구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배수조(60)에는 생활하수 유입구에 통공을 구비하거나 또는 제조 후에 타공 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배수조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또 본 고안의 배수조용 접속구는 배수조에 피스로 고정하고 배수조 내측에 악취차단 버켓, 악취차단 마개, L형관체를 선택하여 조립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태에 따라 변형사용이 가능하게 되므로 편리하게 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악취차단 버켓, 악취차단 마개, L형관체를 선택 조립이 가능한 접속구를 구성하여, 배수조에 취부를 간편히 할 수 있는 배수조용 접속구를 제공하므로서 배수조의 제조와 시공이 용이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Claims (3)

  1. 관체(1)의 내벽에는 환턱(2)을, 외측에는 취부판(3)을 형성하고, 지지관(4) 내측에는 편심의 관체(5)를 구비한 상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편(6)를 형성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배수조용 접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배수조용 접속구의 취부판(3)을 배수조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면적을 크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배수조용 접속구
  3. 제1항에 있어서
    배수조용 접속구의 지지관(4) 내측에 구비되는 편심의 관체(5)는 관체(1)의 하단 지점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 배수조용 접속구
KR2020060001021U 2006-01-12 2006-01-12 배수조용 접속구 KR200412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021U KR200412531Y1 (ko) 2006-01-12 2006-01-12 배수조용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021U KR200412531Y1 (ko) 2006-01-12 2006-01-12 배수조용 접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531Y1 true KR200412531Y1 (ko) 2006-03-28

Family

ID=4176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021U KR200412531Y1 (ko) 2006-01-12 2006-01-12 배수조용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5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31B1 (ko) * 2019-02-28 2020-02-25 윤정욱 스테인레스 강판재 조립식 물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531B1 (ko) * 2019-02-28 2020-02-25 윤정욱 스테인레스 강판재 조립식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7716A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100674890B1 (ko) 배수구
KR200412531Y1 (ko) 배수조용 접속구
JP3166721U (ja) 排水回路用脱臭装置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20030012778A (ko) 배수트랩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KR20210059288A (ko) 분리설치가 가능한 양변기
KR101846988B1 (ko) 바닥배수구 및 이의 시공방법
US20170051482A1 (en) Trap integrated drain device for washbasin
KR101177495B1 (ko)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수트랩
KR101130211B1 (ko) 바닥 배수 트랩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KR200463865Y1 (ko) 악취방지트랩
KR200218248Y1 (ko) 집수정
KR100951028B1 (ko) 배수구용 악취 차단구
CN213572212U (zh) 一种可快速拆卸清洗的防臭排水器
KR100580865B1 (ko) 건축용 개량맨홀
KR20100005037U (ko) 연결소켓 겸용 배수트랩
KR200305387Y1 (ko) 배수용 트랩
KR101412744B1 (ko) 배수체
KR200257162Y1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