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744B1 - 배수체 - Google Patents
배수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2744B1 KR101412744B1 KR1020120109197A KR20120109197A KR101412744B1 KR 101412744 B1 KR101412744 B1 KR 101412744B1 KR 1020120109197 A KR1020120109197 A KR 1020120109197A KR 20120109197 A KR20120109197 A KR 20120109197A KR 101412744 B1 KR101412744 B1 KR 1014127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coupled
- plate
- sewage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나 소변 등의 물을 하수관으로 배출하고 하수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배수체에 관한 것으로, 하수나 소변 등의 물을 하수관으로 배출하고 하수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공이 형성된 덮개; 상기 덮개의 상부에 결합되며 유입홈이 형성된 손잡이; 상기 덮개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면이 중앙에서 외주로 갈수록 하향된 경사면이 형성된 차단판;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은 상기 덮개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차단판의 경사면에 밀착되며, 내부에 가둬진 물에 의해 들리면서 개방되는 차단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파지가 용이하므로 손으로 잡고 배수구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청소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해지고, 담배꽁초나 껌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르면, 파지가 용이하므로 손으로 잡고 배수구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청소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해지고, 담배꽁초나 껌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수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사판과 차단막을 이용하여 하수나 소변과 같은 점도가 작은 물을 배출하기 위한 것이며, 물이 잔류하지 않고,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면서 더욱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며, 변형없이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여 소변기로부터 분리하여 청소하기 편하고 부품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 보수의 성능이 월등히 향상된 배수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를 배출하는 싱크대나 욕실 바닥 또는 소변을 배출하는 소변기 하부에는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량의 물을 가둔 통상의 배수트랩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배수트랩의 경우 가둬진 물이 앞서 말한 하수나 소변의 일부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가둬진 하수나 소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국내 등록특허 제0918146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의 「배수체」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배수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하수관 상단에 결합되는 버켓(100), 상기 버켓 상단에 안착되는 덮개(200), 상기 덮개 하부의 중심에 결합되는 원뿔 형태의 경사판(300) 및 상부의 입구가 좁고 하부의 출구가 넓은 사다리꼴 형태의 원통으로 형성되면서 상부 입구 하측에는 절곡부(410)가 형성되어 상기 덮개와 경사판 사이에 결합되는 차단막(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상부의 입구가 좁고 하부의 출구가 넓은 원통 형태의 차단막이 들어 올려지면서 하수나 소변 등의 물이 원뿔 형태의 경사판을 따라 완전 배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고 보다 위생적인 효과가 있었다.
또한 경사판과 차단막이 서로 선 접촉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경사판과 차단막 사이에 이물질이 끼거나 물의 점성에 의해 경사판과 차단막이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여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은 소변기로부터 분리하여 청소하는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즉 덮개가 매끄럽고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협지할수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청소 작업이나 보수 작업이 어려웠다.
또한 차단막 내부로 하수나 소변 등의 액체가 아닌 담배꽁초나 껌 등의 크기가 큰 고체 이물질이 투입될 경우 막히는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덮개의 상부에 별도의 이물질 거름망을 구비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미관을 저해하게 되며,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에 대한 개량 발명으로써, 파지가 용이하므로 손으로 잡고 배수구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청소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해지고, 별도의 이물질 거름망을 구비하지 않아도 이물질 투입을 방지하는 거름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덮개의 상부에 손잡이를 형성한 배수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나 소변 등의 물을 하수관으로 배출하고 하수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공이 형성된 덮개; 상기 덮개의 상부에 결합되며 유입홈이 형성된 손잡이; 상기 덮개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면이 중앙에서 외주로 갈수록 하향된 경사면이 형성된 차단판;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은 상기 덮개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차단판의 경사면에 밀착되며, 내부에 가둬진 물에 의해 들리면서 개방되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덮개의 끼움부를 관통하고 상기 손잡이의 보스에 결합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판재와; 상기 판재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복수의 유입홈이 형성된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판재의 저면에는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결합용 슬릿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보스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재의 저면에는 상기 복수의 유입홈에 대응되도록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는 상면이 배수공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에는 고정구가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링체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받침부재의 하단에 밀착되는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구는 일정 길이를 갖는 핀이며, 상단 및 하단의 외주에 돌턱이 형성되어 억지끼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지가 용이하므로 손으로 잡고 배수구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청소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해지고, 담배꽁초나 껌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체를 버켓에 결합시킨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3에 대한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체에 적용되는 '손잡이'에 대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체에 적용되는 '덮개'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체를 버켓에 결합시킨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3에 대한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체에 적용되는 '손잡이'에 대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체에 적용되는 '덮개'에 대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체를 버켓에 결합시킨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3에 대한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체에 적용되는 '손잡이'에 대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체에 적용되는 '덮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체(A)는, 하수나 소변 등의 물을 하수관으로 배출하고 하수관(100)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하수관(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버켓(2)과, 이 버켓(2)의 상단에 결합되는 받침부재(4)에 결합된다.
버켓(2)은 상기 하수관(100)의 상단에 결합되며 중앙에 연결구(2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2)의 외주에 오목한 저수홈(24)이 형성되며,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받침부재(4)는 상기 버켓(2)의 개구부에 결합 되도록 링 형상이며, 상부면(40)은 내측을 향해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버켓(2)의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홈(42)이 형성된다.
배수체(A)는, 받침부재(4)의 내측에 결합되는 덮개(6)와; 상기 덮개(6)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8)와; 상기 덮개(6)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버켓(2)에 삽입되는 차단판(3)과; 상기 차단판(3)에 안착되어 기밀성을 갖는 차단막(5);을 포함한다.
덮개(6)는 중앙에 배수공(60)이 형성되고, 상면이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면에 4개의 격벽(62)이 대략 십자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4개의 격벽(62)의 일단이 이격되어 끼움부(63)가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63)에는 고정구(7)가 관통되는 통공을 갖는 링체(6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격벽(62)의 대응되는 4개의 지지턱(6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부(63)에는 손잡이(8)의 보스(86)가 결합되고, 하부면에 결합홈(66)이 환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66)에 차단막(5)이 결합된다.
덮개(6)의 하부 외주에는 받침부재(4)의 하단과 지지되도록 외향되게 리브(67)가 형성된다.
손잡이(8)는 상기 덮개(6)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판재(82)와; 상기 판재(82)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복수의 유입홈(88)이 형성된 측벽(84);을 포함하고, 상기 판재(82)의 저면에는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결합용 슬릿(83)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후술될 고정구(7)의 끝단이 결합되도록 결합홈(862)을 갖는 보스(8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재(82)의 저면에는 상기 복수의 유입홈(88)에 대응되도록 돌기(87)가 형성된다.
돌기(87)는 유입홈(88)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형성된다.
차단판(3)은 덮개(6)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면이 중앙에서 외주로 갈수록 하향된 경사면(32)이 형성되어 원뿔 형상을 이루고, 중앙부에는 고정구(7)가 관통하는 홀(34)이 형성된다.
차단막(5)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은 덮개(6)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66)에 끼워지도록 돌기부(52)가 형성되어 결합되고, 하단은 차단판(3)의 경사면(32)에 밀착되며,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물(소변)의 수압에 의해 들리게 되어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경사면(32)은 수평을 기준으로 약 5~30°의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경사면(32)의 위에 떨어지거나 저장되는 물의 압력이 사방으로 작용하면서 차단막(5)을 개방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고정구(7)는 차단판(3)의 중앙을 관통하여 덮개(6)의 끼움부(63)를 관통하고 상기 손잡이(8)의 보스(86)에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핀이다.
특히 고정구(7)는 상단 및 하단의 외주에 환턱(72)이 형성되어 억지끼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켓(2)을 하수관(100)의 상부에 끼워 결합시키고, 버켓(2)의 상단 개구부에 받침부재(4)를 결합시킨다.
이후 덮개(6)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홈(66)에 차단막(5)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부(52)가 끼워져 결합 되도록 하고, 덮개(6)의 하부에 차단판(3)을 결합한 후, 덮개(6)의 상부에 손잡이(8)를 결합시켜 보스(86)가 끼움부(63)로 끼워지도록 하여 1차 조립된다.
이후 고정구(7)를 차단판(3)의 홀(34)을 통해 끼워넣어 상기 덮개(6)의 링체(64)를 통과하여 손잡이(8)의 보스(86)의 결합홈(862)까지 끼워지도록 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렇게 조립된 배수체(A)를 버켓(2)의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차단판(3)의 하부가 연결구(22)의 외측에 위치시키고, 손잡이(8)의 측벽(84)이 덮개(6)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후 하수나 소변 등의 액체가 손잡이(8)의 유입홀(34)을 통해 유입되어 덮개(6)의 중앙에 형성된 배수공(60)을 통과하여 차단막(5)의 내측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렇게 차단막(5)의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액체의 수압에 의해 차단막(5)의 하단이 차단판(3)의 상부 경사면(32)으로부터 이격되어 개방되므로 오수가 배수되어 버켓(2)의 저수홈(24)이 일정량 저장된 후 연결구(22)를 넘어서 하수관(100)으로 유입되어 배수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버켓 3 : 차단판
4 : 받침부재 5 : 차단막
6 : 덮개 7 ; 고정구
8 : 손잡이 82 ; 판재
83 ; 슬릿 84 ; 측벽
86 : 보스 87 : 돌기
4 : 받침부재 5 : 차단막
6 : 덮개 7 ; 고정구
8 : 손잡이 82 ; 판재
83 ; 슬릿 84 ; 측벽
86 : 보스 87 : 돌기
Claims (7)
- 하수나 소변 등의 물을 하수관으로 배출하고 하수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공이 형성된 덮개;
상기 덮개에 결합되며 유입홈이 형성된 손잡이;
상기 덮개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차단판;
상단은 상기 덮개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차단판의 경사면에 밀착되며, 내부에 가둬진 물에 의해 들리면서 개방되는 차단막;
상기 차단판을 관통하고 상기 덮개를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의 보스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와 손잡이, 차단판이 일체가 되도록 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중앙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면이 중심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면에 복수개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격벽의 일단이 이격되어 끼움부가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에는 상기 고정구가 관통되는 통공을 갖는 링체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체.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판재와;
상기 판재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홈이 형성된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판재의 저면에는 결합용 슬릿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보스가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저면에는 상기 유입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체.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상면에 복수의 격벽이 형성되고, 중앙에 끼움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지지턱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가 결합되는 받침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받침부재는, 상부면은 내측을 향해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9197A KR101412744B1 (ko) | 2012-09-28 | 2012-09-28 | 배수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9197A KR101412744B1 (ko) | 2012-09-28 | 2012-09-28 | 배수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2433A KR20140042433A (ko) | 2014-04-07 |
KR101412744B1 true KR101412744B1 (ko) | 2014-07-01 |
Family
ID=5065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9197A KR101412744B1 (ko) | 2012-09-28 | 2012-09-28 | 배수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274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7146Y1 (ko) | 2001-07-10 | 2001-12-24 | 양재호 | 이중차단 기능의 배수트랩 |
JP3112326U (ja) * | 2004-05-24 | 2005-08-11 | 登祿 洪 | 防虫防臭機能具備の排水口シール装置 |
KR100918146B1 (ko) | 2009-05-01 | 2009-09-17 | 박희범 | 배수체 |
KR20110120844A (ko) * | 2010-04-29 | 2011-11-04 | 주식회사 허머 | 음식물 분쇄기용 커버 |
-
2012
- 2012-09-28 KR KR1020120109197A patent/KR1014127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7146Y1 (ko) | 2001-07-10 | 2001-12-24 | 양재호 | 이중차단 기능의 배수트랩 |
JP3112326U (ja) * | 2004-05-24 | 2005-08-11 | 登祿 洪 | 防虫防臭機能具備の排水口シール装置 |
KR100918146B1 (ko) | 2009-05-01 | 2009-09-17 | 박희범 | 배수체 |
KR20110120844A (ko) * | 2010-04-29 | 2011-11-04 | 주식회사 허머 | 음식물 분쇄기용 커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2433A (ko) | 2014-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36957B2 (en) | Urinal | |
WO2008108692A1 (en) | Closed floor outlet and water seal for floor outlet | |
KR101493605B1 (ko) | 배수체 | |
KR100938733B1 (ko) | 배수트랩 | |
KR101686959B1 (ko) | 트랩 착탈식 오수받이 | |
KR101412744B1 (ko) | 배수체 | |
KR20120095119A (ko) |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 |
KR20090106677A (ko) | 세면대 배수관 막힘 방지용 필터링 기구 | |
KR101422804B1 (ko) | 배수 트랩 | |
KR101100907B1 (ko) | 바닥체용 배수 장치 | |
KR200484438Y1 (ko) | 필터부를 구비한 벨모양 배수트랩 | |
KR20160003178U (ko) |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 |
KR100698773B1 (ko) |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 |
KR200451193Y1 (ko) | 배수트랩 | |
KR102452876B1 (ko)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세면기용 배수트랩 | |
KR200352206Y1 (ko) | 배수트랩 | |
KR20180122109A (ko) |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 |
EP4343069A1 (en) | Odour trap | |
KR200270114Y1 (ko) | 악취방지용 배수구 | |
JP6651947B2 (ja) | 排水トラップ | |
KR200169068Y1 (ko) | 욕실용 배수장치 | |
KR200412531Y1 (ko) | 배수조용 접속구 | |
KR0117655Y1 (ko) | 3단 여과판과 2개의 쓰레기집수통이 달린 하수구마개 | |
KR200230642Y1 (ko) | 하수구 덮개 | |
KR20170005732A (ko) | 물을 사용하지 않고 악취를 차단하면서 위생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소변기용 카트리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