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421Y1 -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 - Google Patents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421Y1
KR200412421Y1 KR2020060001111U KR20060001111U KR200412421Y1 KR 200412421 Y1 KR200412421 Y1 KR 200412421Y1 KR 2020060001111 U KR2020060001111 U KR 2020060001111U KR 20060001111 U KR20060001111 U KR 20060001111U KR 200412421 Y1 KR200412421 Y1 KR 200412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hammer
pile
chuck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철
박병연
Original Assignee
삼보지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지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지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1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4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4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18Placing by vib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파일(sheet pile) 항타용 진동해머(vibro hammer)에 관한 것으로서, 진동발생부에 다수의 척(chuck)이 장착되어 그 척에 대응되는 다수의 시트파일을 동시에 항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다수의 시트파일을 동시에 항타할 수 있어 시트파일 항타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수의 시트파일을 동시에 동일한 깊이로 항타가 가능하므로 다수 시트파일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는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Vibro hammer for piling of sheet pile}
도 1은 가물막이 공법에 사용된 시트파일을 일례로서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가물막이 시공 시 종래의 진동해머로 시트파일을 항타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진동해머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상의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상의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상의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에 장착된 척을 나타낸 저면도.
도 8은 본 고안상의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1', 200. 진동해머 10, 10', 210. 진동발생부
20, 20', 220. 척 100. 시트파일
110. 직사각판 111, 112. 고리
211. 웨이트 212. 회전축
본 고안은 시트파일(sheet pile) 항타용 진동해머(vibro hamm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발생부에 다수의 척(chuck)이 장착되어 그 척에 대응되는 다수의 시트파일을 동시에 항타할 수 있는 진동해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파일은 토목, 건축 공사에서 물막이 또는 흙막이 등을 위해 사용되는 강판으로 이루어진 말뚝으로서, 현재 다양한 형태의 시트파일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일례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물막이 공법에 사용되는 시트파일(100)은 직사각판(110)의 양끝에 서로 대칭되도록 고리(111, 112)가 부착되어 있어, 이 고리(111, 112)를 통해 또 다른 시트파일(100)을 연속적으로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시트파일(100)을 체결하여 대형의 셀(cell)을 형성하고 이 대형의 셀을 다수 연이어 설치하여 가물막이 벽체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체결된 시트파일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진동해머로써 수중 지반에 일정 깊이로 항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진동해머(2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동발생부(210) 에 하나의 척(220)만이 부착되어 있어, 다수의 시트파일(100)을 일일이 항타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항타되는 시트파일과 그 시트파일의 좌우에 설치된 다른 시트파일과의 높이가 일정하도록 항타하는 데에도 많은 애로사항이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진동해머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진동발생부에 척이 하나만 부착되어 있는 종래의 진동해머를 개선하여, 진동발생부에 다수의 척이 부착된 진동해머를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시트파일을 동시에 항타할 수 있도록 하여 시트파일 항타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상의 진동해머는, 진동발생부에 다수의 척이 장착되고, 상기 척은 원통 형상으로 체결된 시트파일에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하도록 일정한 회전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진동해머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진동해머(200)의 진동발생부 (210)에는 무게 중심이 편심되게 형성된 다수의 웨이트(21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웨이트(211)는 전기모터(도시 안됨)에 의해 그 웨이트(211)에 설치된 회전축(212)을 중심으로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웨이트(211)가 회전하게 되면 이 웨이트(211)의 편심된 무게 중심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 진동이 척(220)으로 전달되어 척(220)의 하부에 위치된 시트파일(100)을 항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트파일(100)의 인발 또한 가능하게 되며, 상기 웨이트(211)의 수량을 늘리거나 줄이므로써 진동발생부(210)의 용량, 즉 진동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상의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1)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진동발생부(10)의 하부에 3개의 척(20)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1')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진동발생부(10')의 하부에 5개의 척(20')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진동발생부에 장착되는 척의 수량에 비례하여 진동발생부의 용량을 증대시켜야 한다. 그러나 가장 이상적으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3개 내지 5개의 척을 장착하는 것이 진동발생부의 용량 대 성능비로 볼 때 가장 적정하다.
즉, 척의 수량이 5개를 초과하게 되면 그만큼 진동발생부의 용량이 커져야 하므로 진동발생부에 장착되는 웨이트의 수량을 늘려야 하고, 또한 그 웨이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모터의 용량도 증대되어야 하므로 에너지 및 제작비의 소모가 크다.
상기 척의 수량이 3개 미만일 경우에는 다수의 척을 동시에 항타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그 수량이 부족하다. 따라서 척의 수량이 3개 내지 5개의 범위일 때 가장 최상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상의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1)에 장착된 척(20)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진동발생부(10)에 장착되는 다수의 척(20)은 가로방향으로 일렬로 장착되기 때문에 원통 형상으로 체결된 시트파일(100)에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원통 형상으로 체결된 시트파일(100)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 시트파일(100)의 체결된 각도에 맞추어 각각의 척(20)마다 일정한 회전각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선 본 고안상의 진동해머(1)를 기중기 선단에 행거를 통해 매단다.
다음에 진동발생부(10)에 장착된 각각의 척(20)마다 각각 하나의 시트파일(100)이 결합되도록 설치한다.
다음에 진동해머(1)를 작동시키면 진동발생부(10)에 장착된 척(20)의 수에 해당하는 시트파일(100)을 동시에 항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해서, 진동발생부에 다수의 척이 장착된 진동해머를 통해서 다수의 시트파일을 동시에 항타할 수 있어 시트파일 항타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시트파일을 동시에 동일한 깊이로 항타가 가능하므로 다수 시트파일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기중기의 선단에 행거를 통해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진동해머에 있어서,
    진동해머의 진동발생부 하부에 3개 내지 5개의 척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척은 시트파일이 설치된 각도에 맞추어 각각의 척마다 일정한 회전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
KR2020060001111U 2006-01-13 2006-01-13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 KR200412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111U KR200412421Y1 (ko) 2006-01-13 2006-01-13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111U KR200412421Y1 (ko) 2006-01-13 2006-01-13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421Y1 true KR200412421Y1 (ko) 2006-03-27

Family

ID=4176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111U KR200412421Y1 (ko) 2006-01-13 2006-01-13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4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147B1 (ko) 2010-03-25 2011-09-27 황현만 광폭 강재 시트파일의 항타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폭 강재 시트파일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147B1 (ko) 2010-03-25 2011-09-27 황현만 광폭 강재 시트파일의 항타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폭 강재 시트파일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6666A (ko) 지상구축물의 기초구축 방법 및 기초구축용 부재
KR200412421Y1 (ko) 시트파일 항타용 진동해머
JP2005180239A (ja) 洋上風力発電装置の基礎
CN107653875B (zh) 一种钢管混凝土桩
JP2005009210A (ja) 石積壁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工法
CN211395670U (zh) 一种建筑施工用打桩装置
WO2020218093A1 (ja) 杭基礎及び杭基礎の施工方法
KR101309702B1 (ko) 편심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한 중장비용 진동 리퍼
JP5595771B2 (ja) 破砕補助装置
KR20150139393A (ko) 천공작업과 항타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진동장치를 일체로 갖춘 오거 크레인
KR101000866B1 (ko) 유압 타격식 바이브로 햄머
CN102493453B (zh) 液压动力静力协同压桩机
JP6423628B2 (ja) 建物の基礎構造
CN202247888U (zh) 采用振动和冲击联合作用沉混凝土预制管桩的装置
KR102138899B1 (ko) 진동고무를 포함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 방법
CN105443311A (zh) 固定于水底的潮流能发电装置
EP3693515A1 (en) Pile installation template
CN103774665A (zh) 液压振动锤
JP2000110185A (ja) 水中基礎の構築工法
JP6269184B2 (ja) 組み合わせ鋼矢板、鋼矢板壁、および組み合わせ鋼矢板の施工方法
JPH116125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
CN215290110U (zh) 一种便捷式液压挖掘机打桩装置
CN212742524U (zh) 一种土木工程用打桩设备
KR102234888B1 (ko)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한 기초모듈 및 그 시공방법
KR102138893B1 (ko) 스프링을 포함하는 탈부착 바이브로 함마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및 지반 보강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