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359Y1 - 자동차용 핸들 커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핸들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359Y1
KR200412359Y1 KR2020050036910U KR20050036910U KR200412359Y1 KR 200412359 Y1 KR200412359 Y1 KR 200412359Y1 KR 2020050036910 U KR2020050036910 U KR 2020050036910U KR 20050036910 U KR20050036910 U KR 20050036910U KR 200412359 Y1 KR200412359 Y1 KR 200412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andle
steering wheel
electricit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헌
Original Assignee
이치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헌 filed Critical 이치헌
Priority to KR2020050036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3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3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36Industrial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자동차 핸들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특히 핸들과 근접한 지점으로부터 열선의 발열을 위한 전기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개시한다.
그러한 핸들 커버는, 자동차 핸들에 분리 가능하게 감싸여지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핸들 중앙에 위치하는 클랙슨장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선과 연결되는 열선 및 상기 열선에 전기가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용 온/오프 스위치 그리고, 상기 커버의 양단부 간격을 탄력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축이음재를 포함한다.
자동차 핸들, 1개 이상의 커버, 핸들에 탈부착 용이, 열선, 신축이음재, 클랙슨(klaxon)장치

Description

자동차용 핸들 커버{handle cover using automobile}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발열부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발열부재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발열부재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신축이음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과 관련하는 커버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과 관련하는 커버의 또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용 핸들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핸들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특히 핸들과 근접한 지점으로부터 열선의 발열을 위한 전기 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핸들 커버는 핸들의 그립부 전체를 감쌀 수 있는 "링" 형태로 만들어지며, 특히 동절기에 사용하는 커버는 무수한 털들로 이루어지는 모층을 가지는 천연 또는 인조 모피나 보온성 직물류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핸들을 잡을 때 그립감을 좋게 하고 그립부로부터 차가운 느낌이 전해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동절기용 커버는,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 자동차의 시동을 걸기 전 또는 시동 직후 실내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운전할 때 그립부로부터 단순하게 냉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운전 중에 운전자의 손을 보온 상태로 유지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동절기용 커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커버 내부에 발열이 가능한 열선을 부착하여 이 열선에 의해 발열이 가능한 보온 커버가 만들어지고 있지만, 이 커버는 자동차 내부에서 핸들과 거리가 먼 센터페시아측에 마련된 시가잭을 통하여 전기를 공급받아서 발열하는 구조이므로 차량 내부에서 연결선이 외부로 길게 노출되어 미관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핸들을 돌릴 때 연결선이 시가잭에서 쉽게 빠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핸들의 그립부 전체를 감싸는 커버의 전체면에 열선이 배열되므로 이와 같이 열선이 배열된 커버를 핸들에 장착할 때 외력에 의해 상기 커버가 늘어나면서 열선이 쉽게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핸들에 탈부착이 용이하고, 특히 핸들과 근접한 지점으로부터 열선의 발열을 위한 전기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자동차 핸들에 분리 가능하게 감싸여지는 커버;
상기 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핸들 중앙에 위치하는 클랙슨장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선과 연결되는 열선;
상기 열선에 전기가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용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C는 커버를 지칭하며, 이 커버(C)는 자동차 핸들(S)의 그립부(S1)를 감싸는 상태로 부착된다.
상기 핸들(S)은 도면에서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그립부(S1)와, 이 그립부(S1) 중앙에 클랙슨(klaxon)장치(K)가 내장된 칼럼부(S2)가 위치하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버(C)는 상기 그립부(S1)의 전체 둘레에서 적어도 1군데 이상의 지점을 감쌀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2개가 1조로 구성되거나 이외에도 1개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커버(C)는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의 피혁류나 보온성 직물류가 사용되며, 상기 그립부(S1)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도 2에서와 같이 내륜측이 "U"자 모양으로 개구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그립부(S1) 직경에 대응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각 커버(C)의 내측에는 발열부재(H)가 위치하고, 이 발열부재(H)는 전기를 공급받아서 발열하는 통상의 열선이 사용된다.
상기 발열부재(H)는 도 3에서와 같이 2겹의 난연성 시트(2) 내측에서 도면에서와 같이 예를들면, 지그재그 배열을 가지면서 고정되며, 상기 각 커버(C) 전체면에 대응하는 발열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난연성 시트(2)는 상기 각 커버(2)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도록 상기 발열부재(H)를 면상 발열체 형태로 고정함과 아울러, 발열시 상기 각 커버(C)가 열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거나 연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재(H)는 상기 2장의 난연성 시트(2)에 감싸여진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C)의 안쪽면에 덧대어지는 마감시트(4)에 의해 외부 와 가려진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마감시트(4)는 접착제 또는 재봉 작업을 거치면서 상기 커버(C)측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재(H)는 상기 각 커버(C)에 부착된 후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도 1에서와 같이 접지선(W1)과 연결되고, 이 접지선(W1)은 상기 각 커버(C) 일측에서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각각 연장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2개의 접지선(W1)은 상기 각 커버(C) 외측으로 연장되어 어느 하나의 접지선(W1)이 다른 하나의 접지선(W1)과 통전이 가능하게 배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선(W1)에는 제어용 스위치(6)가 연결된다. 이 제어용 스위치(6)는 온/오프 버튼이 마련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온/오프 조작에 의해 상기 접지선(W1)을 통하여 전기가 인가되거나 차단되도록 스위칭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발열부재(H)는 상기 핸들(S)과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핸들(S)의 컬럼부(S2) 내부에 장착된 클랙슨장치(K)와 연결된다.
상기 클랙슨장치(K)는 상기 칼럼부(S2)의 외장 트림판(8) 아래쪽에 2개의 전기선(W2)으로 연결된 전기 접점판(1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전기선(W2) 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 위치하는 밧데리 및 경적발생기와 각각 연결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클랙슨장치(K)는 예를들어, 운전자가 상기 트림판(8)을 누루면 이 트림판(8)에 의해 상기 전기 접점판(10)이 눌려지면서 상기 2개의 전기선(W2)이 연결되어 이 전기선(W2)을 통하여 밧데리 전기가 경적발생기측에 공급되면서 경적이 발생되며, 자동차의 시동 여부에 관계없이 자동차 엔진룸에 구비된 밧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서 경적을 발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발열부재(H)의 각 접지선(W1)은 상기 전기 접점판(10)과 밧데리 사이를 연결하는 전기선(W2)으로부터 분기 형태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접지선(W1)과 전기선(W2)의 연결 작업은 자동차 실내에서 상기 컬럼부(S2)의 외장 트림판(8)을 탈부착하면서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선(W1)에 부착된 제어용 스위치(6)는 상기 외장 트림판(8)을 다시 설치할 때 이 트림판(8)에 가려지지 않도록 도 6에서와 같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러한 연결 구조는 상기 핸들(S)과 인접한 지점에서 상기 발열부재(H)의 발열을 위한 전기 공급원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예를들어, 핸들(S)과 비교적 거리가 먼 지점에 위치된 센타페시아(center-facia)측에 마련된 시가잭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연결하는 종래의 연결 방식에 비하여 전기 배선이 간단하고, 특히 핸들(S)의 조작시 연결된 각종 전기선들이 서로 엉키거나 비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커버(C)는 도 1에서와 같이 신축이음재(12)로 연결된다. 이 신축이음재(12)는 상기 2개의 커버(C)가 상기 핸들(S)을 감싸는 상태로 설치될 때 이들 사이의 간격이 신축적으로 늘어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신축이음재(12)는 직물실과 여러 가닥의 고무줄이 직조되어 이 고무줄 들의 탄성력에 의해 길이가 신축적으로 변화하는 직물류의 고무밴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축이음재(12)는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재봉 작업을 거치면서 상기 2개의 커버(C)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축이음재(12)는 상기 2개의 커버(C) 사이에서 상기 핸들(S)의 그립부(S1) 직경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2개의 커버(C)가 원활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 길이로 연결된다.
상기한 신축이음재(12)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2개의 커버(C) 사이에서 이들의 간격이 신축적으로 늘러날 수 있는 상태로 연결하여 상기 핸들(S)의 그립부(S1)에 상기 2개의 커버(C)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 이들 커버(C) 사이의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상기 그립부(S1)를 감싸는 상태로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핸들(S)의 그립부(S1) 전체 외주면에 대응하여 2개의 커버(C)가 1조로 부착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그립부(S1)의 일부 지점을 감쌀 수 있도록 1개의 커버(C)로 구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도면에서와 같이 신축이음재(12)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외에도 도 9에서와 같이 3개 또는 그 이상이 1조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부(S1) 전체 둘레에서 적어도 3군데 이상의 지점이 발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각 커버(C)들 사이는 도면에서와 같이 신축이음재(12)로 연결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 핸들의 그립부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며, 특히 열선의 발열을 위한 전기 공급원을 자동차 실내에서 핸들과 근접한 지점에 위치된 클랙슨장치로부터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전기 배선이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이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Claims (4)

  1. 자동차 핸들에 분리 가능하게 감싸여지는 커버;
    상기 커버에 부착되며 상기 핸들 중앙에 위치하는 클랙슨장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선과 연결되는 열선;
    상기 열선에 전기가 공급되거나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용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핸들 둘레에 대응하여 1개 이상이 1조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온/오프 스위치는, 접지용 전기선을 통하여 상기 열선측에 전기가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핸들 커버는, 상기 커버의 양단부를 탄력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축이음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축이음재는, 탄성력을 보유한 직물 또는 고무밴드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KR2020050036910U 2005-12-29 2005-12-29 자동차용 핸들 커버 KR200412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910U KR200412359Y1 (ko) 2005-12-29 2005-12-29 자동차용 핸들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910U KR200412359Y1 (ko) 2005-12-29 2005-12-29 자동차용 핸들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359Y1 true KR200412359Y1 (ko) 2006-03-27

Family

ID=4176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910U KR200412359Y1 (ko) 2005-12-29 2005-12-29 자동차용 핸들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3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232B1 (ko) * 2011-02-21 2014-01-15 (주)엘지하우시스 발열 핸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232B1 (ko) * 2011-02-21 2014-01-15 (주)엘지하우시스 발열 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5102B2 (en) Heated handle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20160009310A1 (en) Steering device
JP2012059705A (ja) 面状発熱体を利用したシートヒータ及びシートヒータ付き座席
US20110073582A1 (en) Steering wheel
WO2009072793A2 (en) Neck muffler having heating function
US20190241204A1 (en) Steering wheel covering member, steering whe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ring wheel
KR200412359Y1 (ko) 자동차용 핸들 커버
JP6117046B2 (ja) ハンドル
JP4876832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面状発熱体
JP4150477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20150136754A1 (en) Wireless Heating System for Motorcycles
CN210364020U (zh) 方向盘及车辆
KR100964125B1 (ko) 2륜차용 손 보온 시스템
JP2002096740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H0422753B2 (ko)
JPS6181270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ル用ヒ−タ−
US10676119B2 (en) Steering wheel
JP2002096785A (ja) バッテリー付自転車用ハンドルヒーターシステム
KR101660178B1 (ko) 이륜차용 발열 장갑
JP2005297704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23756B2 (ko)
KR100492327B1 (ko) 오토바이용 핸들 히터장치
CN210681002U (zh) 握把加热套及其加热装置
KR200163825Y1 (ko) 탄소섬유를이용한자동차용시트커버
CN109383607A (zh) 一种汽车方向盘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