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208Y1 -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 - Google Patents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208Y1
KR200412208Y1 KR2020050034367U KR20050034367U KR200412208Y1 KR 200412208 Y1 KR200412208 Y1 KR 200412208Y1 KR 2020050034367 U KR2020050034367 U KR 2020050034367U KR 20050034367 U KR20050034367 U KR 20050034367U KR 200412208 Y1 KR200412208 Y1 KR 200412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fuselage
hook
propeller
rea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손하
Original Assignee
최손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손하 filed Critical 최손하
Priority to KR2020050034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2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2Model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18Driving mechanisms with extensible rubber band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동력 고무줄이 감겼다가 풀리는 과정에서 프로펠라의 회전동력이 약해지는 것에 대응하여 뒷날개의 뒷쪽을 들어주거나 앞날개의 앞쪽을 들어줌으로써 모형 비행기가 앞으로 곤두박질치지 않고 활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력 고무줄이 감겼다가 풀리는 동안에 방향키가 작동되도록 하여 모형 비행기가 선회되도록 하며, 모형 비행기의 활공시간을 늘려주게 됨으로써 유희감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모형 비행기가 파손되지 않고 지면에 연착륙할 수 있도록 하는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동체와, 상기한 동체의 앞부분 상부에 설치되는 앞날개 고정대와, 상기한 앞날개 고정대의 상단부의 위에 설치되는 앞날개와, 상기한 동체의 뒷부분 상부에 설치되며 전단을 회동축으로 후단이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뒷수평날개 고정대와, 상기한 뒷수평날개 고정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뒷수평날개와, 상기한 뒷수평날개의 앞에 설치되는 뒷수직날개와, 상기한 동체의 전단에 설치되는 프로펠라와, 상기한 프로펠라의 뒷부분에 설치되는 랜딩휠과, 상기한 뒷수평날개와 뒷수직날개의 사이의 부분에서 상기한 동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후크와, 상기한 프로펠라와 후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한 프로펠라를 회전시켜주는 동력 고무줄과, 동체의 후단을 거쳐서 상기한 뒷수평날개고정대의 상부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와 후크의 하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연결끈과, 상기한 동체와 상기한 뒷수평날개 고정대의 상부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형비행기, 앞날개, 뒷수평날개, 뒷수직날개, 후크, 프로펠라, 동력고무줄

Description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Model plane}
도 1은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의 동력 고무줄이 감겨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의 동력 고무줄이 풀려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이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의 동력 고무줄이 풀려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동체 2 : 앞날개 고정대
3 : 앞날개 4 : 뒷수평날개 고정대
5 : 뒷수평날개 6 : 뒷수직날개
7 : 방향키 8 : 프로펠라
9 : 랜딩휠 10 : 후크
11 : 동력고무줄
이 고안은 모형 비행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동력 고무줄이 감겼다가 풀리는 과정에서 프로펠라의 회전동력이 약해지는 것에 대응하여 뒷날개의 뒷쪽을 들어주거나 앞날개의 앞쪽을 들어줌으로써 모형 비행기가 앞으로 곤두박질치지 않고 활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력 고무줄이 감겼다가 풀리는 동안에 방향키가 작동되도록 하여 모형 비행기가 선회되도록 하며, 모형 비행기의 활공시간을 늘려주게 됨으로써 유희감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모형 비행기가 파손되지 않고 지면에 연착륙할 수 있도록 하는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날고자 하는 욕구를 대리하기 위한 유희도구로서, 또는 비행원리를 교육시키기 위한 교육도구로서 모형 비행기가 자주 이용된다.
상기한 모형 비행기는, 실제 비행기의 연구용인 풍동모형(風洞模型)과, 실제 비행기를 완전한 형태로 축척한 형태모형 등 날지 못하는 모형과, 비행하는 것을 첫째 목표로 하는 비행모형으로 분류된다.
상기한 비행모형은 동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① 동력을 쓰지 않는 것: 손으로 던지는 핸드 글라이더와, 사출(catapult)장치, 윈치(견인줄감개)에 의한 글라이더가 있다.
② 고무동력에 의한 것: 고무줄의 탄성력을 이용한 것으로서 라이트 플레인, 웨이트 필드급, 스케일 모델 등이 있다.
③ 내연기관을 사용한 것: 단기통 또는 2기통의 글로우엔진, 가솔린엔진, 디젤엔진 등을 장치한 것으로서, 2개의 콘트롤 라인에 의한 U콘트롤기, 라디오 콘트롤 장치를 가진 라디오 콘트롤기 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모형 비행기중에서 고무동력을 이용한 모형 비행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중으로 비상한 모형 비행기가 상승기류를 받아 선회할 수 있도록 하여 활공시간을 늘려주어 유희감을 상승시켜줄 뿐만 아니라 강한 바람에도 쉽게 휩쓸리지 않게 되어 모형 비행기를 잃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착지시 선회하면서 내려오게 되어 모형 비행기에 가해졌던 충격을 최소화하여 파손의 위험성을 최소화시키는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71893호(공고일자: 2002년4월 12일)의 "모형 비행기 꼬리날개의 방향키 장치"에서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고무동력 모형비행기는, 동력 고무줄이 감겼다가 풀리는 과정에서 모형 비행기 전체의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여 모형 비행기가 앞으로 곤두박질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모형 비행기의 활공시간을 줄여주게 됨으로써 유희감을 떨어뜨리게 될 뿐만 아니라, 모형 비행기가 지면에 처박히게 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을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력 고무줄이 감겼다가 풀리는 과정에서 프로펠라의 회전동력이 약해지는 것 에 대응하여 뒷날개의 뒷쪽을 들어주거나 앞날개의 앞쪽을 들어줌으로써 모형 비행기가 앞으로 곤두박질치지 않고 활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동력 고무줄이 감겼다가 풀리는 동안에 방향키가 작동되도록 하여 모형 비행기가 선회되도록 하는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모형 비행기의 활공시간을 늘려주게 됨으로써 유희감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모형 비행기가 파손되지 않고 지면에 연착륙할 수 있도록 하는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고안의 구성은, 동체와, 상기한 동체의 앞부분 상부에 설치되는 앞날개 고정대와, 상기한 앞날개 고정대의 상단부의 위에 설치되는 앞날개와, 상기한 동체의 뒷부분 상부에 설치되며 전단을 회동축으로 후단이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뒷수평날개 고정대와, 상기한 뒷수평날개 고정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뒷수평날개와, 상기한 뒷수평날개의 앞에 설치되는 뒷수직날개와, 상기한 동체의 전단에 설치되는 프로펠라와, 상기한 프로펠라의 뒷부분에 설치되는 랜딩휠과, 상기한 뒷수평날개와 뒷수직날개의 사이의 부분에서 상기한 동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후크와, 상기한 프로펠라와 후크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한 프로펠라를 회전시켜주는 동력 고무줄과, 동체의 후단을 거쳐서 상기한 뒷수평날개고정대의 상부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와 후크의 하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연결끈과, 상기한 동체와 상기한 뒷수평날개 고정대의 상부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앞날개 고정대는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되어 상단부가 뒷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한 앞날개고정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장력보조핀을 통하여 상기한 앞날개고정대의 상단부와 후크의 사이에 제2 연결끈이 설치되고, 상기한 앞날개고정대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사이에 제2 탄성체가 설치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뒷수직날개의 뒤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향키와, 상기한 방향키와 후크의 상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연결끈과, 상기한 방향키와 동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의 동력 고무줄이 감겨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의 동력 고무줄이 풀려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의 구성은, 동체(1)와, 상기한 동체(1)의 앞부분 상부에 설치되며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되어 상단부가 뒷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앞날개 고정대(2)와, 상기한 앞날개 고정대(2)의 상단부의 위에 설치되는 앞날개(3)와, 상기한 동체(1)의 뒷부분 상부에 설치되며 전단을 회동축으로 후단이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뒷수평날개 고정대(4)와, 상기한 뒷수평날개 고정대(4)의 상부에 설치되는 뒷수평날개(5)와, 상기한 뒷수평날개(5)의 앞에 설치되는 뒷수직날개(6)와, 상기한 뒷수직날개(6)의 뒤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향키(7)와, 상기한 동체(1)의 전단에 설치되는 프로펠라(8)와, 상기한 프로펠라(8)의 뒷부분에 설치되는 랜딩휠(9)과, 상기한 뒷수평날개(5)와 뒷수직날개(6)의 사이의 부분에서 상기한 동체(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후크(10)와, 상기한 프로펠라(8)와 후크(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한 프로펠라(8)를 회전시켜주는 동력 고무줄(11)과, 동체(1)의 후단을 거쳐서 상기한 뒷수평날개고정대(4)의 상부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와 후크(10)의 하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연결끈(12)과, 상기한 동체(1)와 상기한 뒷수평날개 고정대(4)의 상부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탄성체(13)와, 상기한 앞날개고정대(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장력보조핀(14)을 통하여 상기한 앞날개고정대(2)의 상단부와 후크(10)의 상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연결끈(16)과, 상기한 앞날개고정대(2)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탄성체(15)와, 상기한 방향키(7)와 후크(10)의 상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연결끈(17)과, 상기한 방향키(7)와 동체(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탄성체(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프로펠라(8)와 후크(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동력 고무줄(11)이 감겨지면 길이가 줄어들게 되면서 후크(10)의 하단부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앞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후크(10)의 하단부가 앞으로 당겨지게 되면, 후크(1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끈(12)이 뒷수평날개고정대(4)를 잡아당김으로써 뒷수평날개고정대(4)의 앞쪽 및 뒷쪽이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후크(10)의 하단부가 앞으로 당겨지게 되면, 후크(1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끈(16)이 앞날개고정대(2)의 상단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앞날개고정대(2)의 앞쪽 및 뒷쪽이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후크(10)의 하단부가 앞으로 당겨지게 되면, 후크(1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연결끈(17)이 방향키(7)를 잡아당김으로써 방향키(7)가 뒷수직날개(6)와 동일한 방향을 가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형 비행기를 공중으로 날리게 되면, 동력 고무줄(11)이 풀어지게 되면서 프로펠러(8)가 회전하게 되고, 프로펠러(8)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가 앞날개를 통과하게 되면서 양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모형 비행기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로펠라(8)와 후크(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동력 고무줄(11)이 풀어지게 되면서 모형 비행기가 상승을 하다가, 동력 고무줄(11)이 절반 이상 풀어지게 되면서 프로펠라(8)의 회전동력이 약해지기 시작하면 모형 비행기의 앞날개가 충분한 양력을 받지 못하여 하강을 하게 된다.
이 때, 프로펠라(8)와 후크(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동력 고무줄(11)이 풀어지게 되면서 후크(10)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끈(12)을 당겨주던 힘이 사라지게 됨으로써 동체(1)와 뒷수평날개 고정대(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탄성체(13)가 뒷수평날개 고정대(4)를 앞으로 잡아당겨주게 되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뒷수평날개 고정대(4)가 전단을 회동축으로 하여 후단이 들어올려지게 된다.
또한, 프로펠라(8)와 후크(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동력 고무줄(11)이 풀어지게 되면서 후크(1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끈(16)을 당겨주던 힘이 사라지게 됨으로써 앞날개고정대(2)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탄성체(15)에 의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앞날개고정대(2)의 상단부가 들어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프로펠라(8)와 후크(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동력 고무줄(11)이 풀어지게 되면서, 후크(1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연결끈(17)을 당겨주던 힘이 사라지게 됨으로써 방향키(7)와 동체(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탄성체(18)에 의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방향키(7)가 약간 꺽이게 된다.
전체적으로 보면, 프로펠라(8)와 후크(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동력 고무줄(11)이 풀어지게 되면, 뒷수평날개고정대(4)의 뒷쪽이 들어올려지게 되고, 앞날개고정대(2)의 상단부가 들어올려지게 되고, 방향키(7)가 약간 꺽이게 된다.
이와 같이 뒷수평날개(4)의 뒷쪽이 들어올려지게 되면 기류가 뒷수평날개(4)를 치면서 모형 비행기의 앞쪽을 들어올려주게 되고, 앞날개고정대(2)의 상단부가 들어올려지게 되면서 앙력이 발생되어 모형 비행기가 상승기류를 타도록 하여 급격하게 하강되지 않도록 하며, 방향키(7)가 약간 꺽이게 되면 모형 비행기가 선회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모형 비행기의 활공시간이 증가됨과 동시에 연착륙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이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의 동력 고무줄이 풀려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의 구성은, 동체(1)와, 상기한 동체(1)의 앞부분 상부에 설치되며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되어 상단부가 뒷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앞날개 고정대(2)와, 상기한 앞날개 고정대(2)의 상단부의 위에 설치되는 앞날개(3)와, 상기한 동체(1)의 뒷부분 상부에 설치되며 전단을 회동축으로 후단이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뒷수평날개 고정대(4)와, 상기한 뒷수평날개 고정대(4)의 상부에 설치되는 뒷수평날개(5)와, 상기한 뒷수평날개(5)의 앞에 설치되는 뒷수직날개(6)와, 상기한 뒷수직날개(6)의 뒤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향키(7)와, 상기한 동체(1)의 전단에 설치되는 프로펠라(8)와, 상기한 프로펠라(8)의 뒷부분에 설치되는 랜딩휠(9)과, 상기한 뒷수평날개(5)와 뒷수직날개(6)의 사이의 부분에서 상기한 동체(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후크(10)와, 상기한 프로펠라(8)와 후크(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한 프로펠라(8)를 회전시켜주는 동력 고무줄(11)과, 동체(1)의 후단을 거쳐서 상기한 뒷수평날개고정대(4)의 상부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와 후크(10)의 하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연결끈(12)과, 상기한 동체(1)와 상기한 뒷수평날개고정대(4)의 뒷부분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4 탄성체(19)와, 상기한 앞날개고정대(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장력보조핀(14)을 통하여 상기한 앞날개고정대(2)의 상단부와 후크(10)의 상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연결끈(16)과, 상기한 앞날개고정대(2)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2 탄성체(15)와, 상기한 방향키(7)와 후크(10)의 상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연결끈(17)과, 상기한 방향키(7)와 동체(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탄성체(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의 구성은, 제1 탄성체(13) 대신에 제4 탄성체(19)를 설치한 것 이외에는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 것과 같이 모두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고안은, 동력 고무줄이 감겼다가 풀리는 과정에서 프로펠라의 회전동력이 약해지는 것에 대응하여 뒷날개의 뒷쪽을 들어주거나 앞날개의 앞쪽을 들어줌으로써 모형 비행기가 앞으로 곤두박질치지 않 고 활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력 고무줄이 감겼다가 풀리는 동안에 방향키가 작동되도록 하여 모형 비행기가 선회되도록 하며, 모형 비행기의 활공시간을 늘려주게 됨으로써 유희감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모형 비행기가 파손되지 않고 지면에 연착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동체(1)의 앞부분 상부에 설치되며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되어 상단부가 뒷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앞날개 고정대(2);
    상기한 앞날개 고정대(2)의 상단부의 위에 설치되는 앞날개(3);
    상기한 동체(1)의 뒷부분 상부에 설치되며 전단을 회동축으로 후단이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뒷수평날개 고정대(4);
    상기한 뒷수평날개 고정대(4)의 상부에 설치되는 뒷수평날개(5);
    상기한 뒷수평날개(5)의 앞에 설치되는 뒷수직날개(6);
    상기한 뒷수직날개(6)의 뒤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향키(7);
    상기한 동체(1)의 전단에 설치되는 프로펠라(8);
    상기한 프로펠라(8)의 뒷부분에 설치되는 랜딩휠(9);
    상기한 뒷수평날개(5)와 뒷수직날개(6)의 사이의 부분에서 상기한 동체(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후크(10);
    상기한 프로펠라(8)와 후크(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한 프로펠라(8)를 회전시켜주는 동력 고무줄(11);
    동체(1)의 후단을 거쳐서 상기한 뒷수평날개고정대(4)의 상부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와 후크(10)의 하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연결끈(12); 및
    상기한 동체(1)와 상기한 뒷수평날개 고정대(4)의 상부 중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탄성체(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앞날개 고정대(2)는 상단부와 하단부로 분리되어 상단부가 뒷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한 앞날개고정대(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장력보조핀(14)을 통하여 상기한 앞날개고정대(2)의 상단부와 후크(10)의 사이에 제2 연결끈(16)이 설치되고,
    상기한 앞날개고정대(2)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사이에 제2 탄성체(1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뒷수직날개(6)의 뒤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향키(7)와, 상기한 방향키(7)와 후크(10)의 상단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연결끈(17)과, 상기한 방향키(7)와 동체(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제3 탄성체(1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탄성체(13) 대신에 상기한 동체(1)와 상기한 뒷수평날개고정대(4)의 뒷부분의 사이에 제4 탄성체(19)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
KR2020050034367U 2005-12-06 2005-12-06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 KR200412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367U KR200412208Y1 (ko) 2005-12-06 2005-12-06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367U KR200412208Y1 (ko) 2005-12-06 2005-12-06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208Y1 true KR200412208Y1 (ko) 2006-03-23

Family

ID=41762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367U KR200412208Y1 (ko) 2005-12-06 2005-12-06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2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99B1 (ko) 2008-05-15 2009-05-18 이호상 모형글라이더의 영각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999B1 (ko) 2008-05-15 2009-05-18 이호상 모형글라이더의 영각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43689B (zh) 背负式固定翼飞行器垂直起飞辅助系统
US8286907B2 (en) Flying entertainment vehicle
US3153877A (en) Soaring and gliding aircraft
JP2003501314A (ja) 滑走路無しに航空機を回収する方法
US3857194A (en) Model auto-giro
US4068810A (en) Combination motorcycle and hang-glider
US1825363A (en) Water plane
KR200412208Y1 (ko) 고무동력 모형 비행기
CN107651186A (zh) 一种电力动力滑翔机
US4759736A (en) Folding wing glider
US5100357A (en) Toy aircraft and method of flight control thereof
US4824047A (en) Hang glider launch vehicle
US3912204A (en) Captive airfoil apparatus
CN206155761U (zh) 带有喷气式推进器的飞飘飞行器
CN206508547U (zh) 一种适合航模初学者的航模遥控教练机
KR200271893Y1 (ko) 모형비행기 꼬리날개의 방향키 장치
Gratton The weightshift-controlled microlight aeroplane
CN2259929Y (zh) 悬挂式螺旋桨驱动飞机的游乐机
US4282675A (en) Automatic elevator control for model glider
CN218793860U (zh) 滑撬及具有该滑撬的模型滑翔机
CN2502758Y (zh) 自动充气立体可折叠风筝
KR200281724Y1 (ko) 모형비행기와 발사기
CN109621461A (zh) 一种仿真火箭玩具
Collins The boys' book of model aeroplanes
KR200146694Y1 (ko) 무동력 모형 글라이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