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054Y1 - 약침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약침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054Y1
KR200412054Y1 KR2020050036987U KR20050036987U KR200412054Y1 KR 200412054 Y1 KR200412054 Y1 KR 200412054Y1 KR 2020050036987 U KR2020050036987 U KR 2020050036987U KR 20050036987 U KR20050036987 U KR 20050036987U KR 200412054 Y1 KR200412054 Y1 KR 2004120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uncture
needle
stagnation
polishing surface
rec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식
강대인
Original Assignee
김근식
강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식, 강대인 filed Critical 김근식
Priority to KR2020050036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0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0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0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방에서 인체 경혈점에 침술과 약물 주입을 동시에 제공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약침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일단면에 연마부위가 형성되어 인체의 경혈점과 접촉되어 침술과 약물 주입이 될수 있는 침체, 일반 주사기와 결합하여 사용할수 있는 침병으로 구성되어 정밀한 침 시술 및 약물 주입이 용이하고, 침병과 주사기와의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상기 약침공급장치는 1회용으로 침체의 감염 방지 및 위생적인 시술이 용이하다.
약침, 침병

Description

약침공급장치 {Supply Device of Medicine Needle}
도 1은 본 고안의 약침공급장치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약침공급장치의 부품을 나타낸 부품도
도 3는 본 고안의 약침공급장치에서 침병의 단면도
도 4는 침체에서 침첨의 연마부위를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예를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종래의 주사기를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
본 고안은 한방에서 인체 경혈점에 침술과 약물 주입을 동시에 제공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약침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경락은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의한 손상이나 내부적인 대사 불균형 등으로 인해 이상 반응 보이거나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못하여 환자가 고통을 느끼거나 다른 장기에 영향을 끼치는 등 신체 불균형 상태를 초래 할수 있다.
이러한 신체 불균형 상태의 원인을 제거하고, 인체 스스로의 자연 치유력과 복원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한방에서는 인위적으로 침을 이용하여 인체의 경혈점 에 자극하거나 침에 전기를 흘려서 전침 자극을 하는 등의 경혈 자극 치료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경혈을 자극하기 위하여 침을 자입하는 지점을 아시혈이라고 하고 이러한 아시혈을 자극하기 위하여 삽입된 침을 좌우로 돌리고 팅기는 작탁 등의 보사 수기 시술이 행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한방침은 약물 주입이 불가능한 침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단순히 경혈점을 자극하는 정도의 치료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인체의 경혈점에 침자극후 약물을 주입하려고 하면 양방의 주사기를 이용할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양방의 주사기는 침의 길이가 짧아 한정된 심자범위의 시술만 가능하고 주사침의 끝이 날카롭고 각진 형상으로 침 시술시 염전, 제삽, 괄법 등의 각종 보사수기를 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주사침은 손잡이부위가 짧아 시술자가 정밀한 침 시술을 하는데 불편함이 있었고, 침체부위에 감염의 될수 있는 위험이 높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손으로 파지하여 다루기 용이 하도록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침병과 일반 주사기와 결합 및 분리가 간단하게 구성되어 시술자의 정밀한 침 시술을 할수 있게 하는 약침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침체 및 침병을 인체 적합성에 맞게 길게하여 경혈점에 자침후 득기, 수기를 용이하게 제공하고, 주사기 몸체와 결합하여 약물 주입을 신속하게 할수 있는 약침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침체의 침첨 연마는 제1, 2, 3의 연마면을 형성한 후 제1, 2의 회전부의 연마를 거치는 침첨을 제공하여 침 시술후 자침 상태에서 염좌, 염전, 작탈, 괄법, 유법 등의 수기가 가능하도록 한 후 약물 주입을 할수 있게 하는 약침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침첨 연마는 파이프 선단을 째서 솔잎형상의 침첨을 형성하고 침첨 끝부위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약물 주입이 가능하도록 홈을 형성하여 침술과 약물 주입을 할수 있는 약침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침병에 결합된 침체의 길이를 8mm 부터 인체 내 침의 자입이 가능한 120mm 까지 하여 환도혈을 비롯한 심자가 요구되는 혈 및 복부, 척부 행자에 시술이 가능한 약침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약침공급장치는, 인체의 경혈점을 자극하고 동시에 약물주입을 통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수 있는 약침공급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인체의 경혈점에 접촉되는 침체와 손잡이 역할을 하며 침체와 결합되고 일반 주사기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형성된 침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약침공급장치(1)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약침공급장치(1)의 부품을 나타낸 부품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약침공급장치(1)는 일단면이 연마되어 있는 침첨(31a)를 포함하는 침체(30)와 원통형상으로 일단면에 침체(30)가 결합되 고 타단면은 주사기와 결합될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침병(10), 침체(30)의 보호를 위해 원통형상으로 일단면은 막혀있는 형상의 보호커버(20)가 결합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약침공급장치에서 침병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침병(10)의 형상은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작은홀(11)과 큰홀(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은홀(11)의 처음부위에는 테이퍼형상(12)으로 되어 있고, 일정깊이 안에 작은홀(11) 보다 약간 큰 홈(13)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제2테이퍼부위(14)와 작은홀(11)보다 작은 홀(15)이 형성되어 침체(30)와 결합시 타단의 큰홀(14)까지 나오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침병(10)은 침을 인체 경혈점에 삽입하고 수기 등이 가능하도록 인체 적합성 소재의 합성 수지제품으로 형성되고 길이 또한 수기에 적합 하도록 30mm~35mm 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침병(10)과 침체(30)의 결합은 인체에 무해한 에폭스나 UV본드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도 4는 침체에서 침첨의 연마부위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다른 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침체(30)의 침첨(30a)부위는 침체(30)의 길이방향으로 8°~ 10°의 경사면을 가지는 제1연마면(31)이 형성되고, 침체(30)의 길이방향으로 20°~ 25°의 경사로 침체(30) 직각방향으로 20°경사로 비틀어 형성된 제2연마면(32)과 제3연마면(33)이 이루어진다. 제1연마면(31)의 각을 중심으로 침체(30)를 회전시켜 제1연마면(31)의 외측에 둥근형상을 생성시키는 제1회전부(34), 제2연마면(32)과 제3연마면(33)의 침체(30)길이 방향의 각을 중심으로 침체(30)를 회전시켜 제2회전부(35)가 형성된다.
다른 침첨(30a)연마 방법으로 스텐레스 파이프 선단을 째서 원추 형상으로 용접가공을 한후 솔잎형태(36)의 연마공정을 거친다. 연마후 침첨(30a)의 끝단에서 일정거리(d) 위치에 약물 주입이 가능하도록 홈(37)이 형성된다.
도 5는 종래의 주사기를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약침공급장치(1)의 침병(10)과 일반 주사기(5)를 결합하여 한의원에서 약침요법을 사용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약침공급장치는 한방에서 침 시술후 시술부위에 농축된 한약액을 주입하여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하는 것으로 그 시술에 있어 편리성을 높였고, 또한 침 시술과 같이 침체를 회전시켜 여러가지 수기를 할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침병은 일반 주사기와 결합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 역할을 위해 약 30mm ~ 35mm 크기로 제작되어 시술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다양한 한방침의 규격에 맞게 침체의 길이를 맞추어 제작이 가능하여, 종래의 시술범위보다 넓은 범위의 약침 시술이 가능하다.

Claims (4)

  1. 약침공급장치에 있어서,
    파이프 형상으로 일단면에 연마된 침첨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침체; UV본드나 에폭시를 이용하여 침체와 결합될수 있도록 작은홀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 주사기와 결합을 위한 큰홀이 형성되어 있는 침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침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침체의 침첨부위는 침체의 길이방향으로 제1연마면, 제2연마면과 제3연마면이 이루어지며, 제1연마면의 각을 중심으로 침체를 회전시켜 제1연마면의 외측에 둥근형상을 생성시키는 제1회전부, 제2연마면과 제3연마면의 침체길이 방향의 각을 중심으로 침체를 회전시켜 제2회전부로 형성되는 방법이나, 스텐레스 파이프 선단을 째서 원추 형상으로 용접가공을 한후 솔잎형태의 연마공정을 거친후 침첨의 끝단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약물 주입이 가능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침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침체의 침첨부위는 약 3mm 정도이고, 침체의 전체길이는 심자가 요구되는 혈 및 복부, 척부 행자에 시술이 가능하도록 8mm ~ 120mm 까지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침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침병은 30mm ~ 35mm의 길이로 시술부위에 자입후 염좌, 염전, 작탈, 괄법, 유법 등의 수기가 가능하며, 약물 주입이 용이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침공급장치.
KR2020050036987U 2005-12-30 2005-12-30 약침공급장치 KR2004120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987U KR200412054Y1 (ko) 2005-12-30 2005-12-30 약침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987U KR200412054Y1 (ko) 2005-12-30 2005-12-30 약침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054Y1 true KR200412054Y1 (ko) 2006-03-22

Family

ID=4176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987U KR200412054Y1 (ko) 2005-12-30 2005-12-30 약침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05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039B1 (ko) 2009-06-19 2011-06-10 류상욱 실 자입기
KR101452089B1 (ko) * 2013-02-07 2014-10-22 이부균 약액 침투가 가능한 한의(韓醫) 약침
KR101507490B1 (ko) 2013-06-07 2015-03-30 주식회사 선진플러스 침 연발식 주사장치
KR101805763B1 (ko) * 2015-10-21 2017-12-07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도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039B1 (ko) 2009-06-19 2011-06-10 류상욱 실 자입기
KR101452089B1 (ko) * 2013-02-07 2014-10-22 이부균 약액 침투가 가능한 한의(韓醫) 약침
KR101507490B1 (ko) 2013-06-07 2015-03-30 주식회사 선진플러스 침 연발식 주사장치
KR101805763B1 (ko) * 2015-10-21 2017-12-07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도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4872B2 (en) Introducer for therapy delivery elements
JP6944959B2 (ja) 歯科および他の用途のための麻酔アプリケータ/インジェクタおよび使用方法
KR200412054Y1 (ko) 약침공급장치
US20120095440A1 (en) Injection port system for intra-marrow injection/infusion
KR101889048B1 (ko) 전기적 자극을 가하는 약물주입용 기구 세트
RU2515147C2 (ru) Инъекционная игла
KR100845713B1 (ko) 통증치료기구
KR200411258Y1 (ko) 일회용 약침공급장치
CN108348280B (zh) 具备可更换手柄的埋线用针刺器
ES2772031T3 (es) Sistema de administración para reparación, protección y crecimiento de cartílago mediante estimulación de interfase osteocondral
US20020156058A1 (en) Medical methods using catheters
KR200183035Y1 (ko) 적외선 온열 자기 맛사지 치료기
CN219355078U (zh) 用于药物针灸的毫针
WO2010026644A1 (ja) 医療用無痛注射針
KR200456705Y1 (ko) 침술용 침
CN110720968A (zh) 一种脊柱内镜定位穿刺针
CN109730743A (zh) 新型神经外科手术用的钻颅器
KR102539291B1 (ko) 롤러타입의 피부용 약물 주입장치
KR200327465Y1 (ko) 한방 침
CN208974608U (zh) 一种医用腕踝针
RU2199294C2 (ru) Физи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их уретрита и простатита
CN209360829U (zh) 一种刃口注射针刀埋线针具
CN202288429U (zh) 微创松骨针
KR200434588Y1 (ko) 메조 니들
CN207804621U (zh) 一种眼部用针灸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