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964Y1 - 조형물 꽃탑 - Google Patents

조형물 꽃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964Y1
KR200411964Y1 KR2020060000924U KR20060000924U KR200411964Y1 KR 200411964 Y1 KR200411964 Y1 KR 200411964Y1 KR 2020060000924 U KR2020060000924 U KR 2020060000924U KR 20060000924 U KR20060000924 U KR 20060000924U KR 200411964 Y1 KR200411964 Y1 KR 200411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rame
net
flower tower
outer periphery
scul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희
Original Assignee
박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희 filed Critical 박상희
Priority to KR2020060000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9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9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2Implements, apparatus, or machines for making artificial flow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를 구성하고 지지하는 중심지주를 형상하고 이의 외주연 2중으로 내벽체프레임을 구성하여 중앙부에 공간부를 구성하고 내측벽체프레임의 외주연에는 모기장같이 그물코가 촘촘하게 작은 네트 망을 설치구성하고 외벽체프레임의 외주연에는 그물코가 큰 네트 망을 설치구성 하여 그 사이에는 구성된 공간부에 용토가 아닌 저수부재(이끼류, 보습매트)를 주입 설치하여 꽃탑 전체 무게를 줄이고 하단에는 회전판을 설치하여 꽃탑을 회전시켜 거리를 조경할 수 있는 조형물 꽃탑을 구성하는 것이다.
회전장치, 꽃탑, 조형물, 저수부재.

Description

조형물 꽃탑{Moldeling tower decorataed with flowers}
도 1은 본 고안을 적용한 조형물 꽃탑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본체에 구성된 회전판에 중심지주에 지지프레임 및 중간프레임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 사시도로서 중심지주의 외주연에 내,외벽체프레임과 횡봉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의 일부를 확대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회전장치의 상부에 꽃탑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회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요부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본체...10 100.101.102... 중심지주
110.111.112... 지지프레임 120.121.122... 중간프레임
130... 내벽체프레임 131.. 외벽체프레임
132.132-1... 종봉 140.141... 네트망
150.151... 공간부
160...저수부재(이끼류,보습매트) 200... 회전장치
201.202... 회전판 210....감속모터
220...감속기 230...체인
240...광고판
본 고안은 조형물 꽃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를 구성하고 지지하는 중심지주를 형상하고 상기 중심지주의 외주연에 2중으로 내벽체프레임을 구성하여 중앙부에 공간부를 구성하고 내측프레임의 외주연에는 모기장같이 그물코가 촘촘하게 작은 네트 망을 설치구성하고 외벽체프레임의 외주연에는 그물코가 큰 네트 망을 설치구성하였고 그 사이에는 용토가 아닌 저수부재(이끼류, 보습매트)를 설치하여 꽃탑 전체 무게를 줄이고 하단에는 회전장치를 설치하여 꽃탑을 회전시켜 거리를 조경할 수 있는 조형물 꽃탑을 구성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꽃탑 조형물이나 또는 대형 꽃탑 조형물을 구성할 때 주로 원추형상을 이루면서 형성하는 한편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계단형태와 같이 다수개의 받침판이 설치되어 꽃이 심어진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경우 화분에 심어진 꽃이 생기 있고 오랜 시간을 전시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하여야 하는데 여간 불편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20-0206241호(명칭: 조형물 꽃탑)는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판 프레임의 중앙에 원통형상 또는 사각형상등 여러 모양으로 상하 중심지주를 형성하고 상기 중심지주를 지주지지프레임을 구성하며 지지한다, 중심지주는 중앙부측을 분리하되 상,하 중간프렌지를 형성하고 이의 외주연에 종봉과 횡봉으로 어떤 형상으로도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는 상하, 내벽체프레임과 상,하외측구조물프레임의 외주연에 각각 폴리에틸렌-네트를 다수 겹으로 감아 고정부재를 고정하여 내외벽체를 구성하고 이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용토를 주입시켜 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체에 용토를 주입시키는 작업이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주입된 용토가 무겁기 때문에 무게를 분산 시키기 위해 횡봉과 종봉 사이에 다수개의 판체를 넣고 상기 판체위에 용토를 주입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무게 또한 매우 무거워 운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의 외주연에 꽃이나 나무를 식재하기 위해서는 외주연에 다수 겹으로 감은 폴리에틸렌-네트에 칼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꽃이나 나무를 넣을 수 있는 구멍을 천공하고 상기 구멍에 꽃이나 나무를 삽입시켜 식재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식재된 꽃이나 나무가 시들어 교체할 때 주입된 용토가 외부로 흘러나오는 등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실용신안등록제 20- 0206241호와 20-0209654호를 더욱 발전 보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그 지역에 따른 상징물 또는 다양한 형상을 이루면서 주변의 경관을 조경하고, 조형물에 식재된 꽃이나 식물이 장시간 전시될 수 있도록 한 조형물 꽃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내에 설치된 내,외벽체프레임의 외주연에 네트망을 설치하되 내측에는 내벽체프레임의 주연에는 모기장같이 그물코가 촘촘하게 작은 네트 망을 설치구성하고 외벽체프레임의 주연에는 그물코가 큰 네트 망을 설치구성 하였고 그 사이에는 용토가 아닌 저수부재 또는 이끼류 및 보습매트를 설치하여 꽃탑 전체 무게를 줄이고 하단에는 회전장치를 설치하여 꽃탑을 회전시켜 거리를 조경할 수 있는 조형물 꽃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측 주연에 설치된 그물코가 큰 네트망을 통해 간편하게 꽃이나 나무를 식재할 수 있도록 하여 식재작업을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 조형물 꽃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단에 감속모터(210), 감속기(220), 체인(230)으로 구성하고 외주연에는 상면에 구성된 회전판(201)(202)과 같이 회전하는 광고판(240)이 구성된 회전장치(200)를 구성한다.
상기 회전장치(200)의 상면에 구성된 회전판(201)(202)에는 본체(10)를 구성하는 중심지주(100)(101)(102)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중심지주(100)(101)(102)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10)(111)(112)을 설치하고 이에 분리되는 중심지주를 각각 분리하고 결합할 수 있는 중간프레임(120)(121)(122)을 구성하고 이를 볼트, 너트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중심지주(100)(101)(102)의 외주연에는 가로형으로 다수개의 내벽체프레임(130)과 외벽체프레임(131)을 구성하고 이에 세로형으로 다수개의 종봉(132)(132-1)을 각각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내벽체프레임(130)의 외주연에는 그물코가 촘촘한 네트망(140)을 설치하여 중앙부에 공간부(150)가 구성되게 구성하고 외벽체프레임(131)의 외주연에는 그물코가 큰 네트망(141)을 설치하여 내, 외측사이에 공간부(151)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내,외벽체프레임에 각각 네트망(140(141)을 설치하여 구성된 공간부(151)에는 무게가 가벼운 저수부재(160) 또는 이끼류 및 보습매트 등 보습을 위한 재질의 소재를 주입시킨다.
본 고안에서 보습을 위한 보습장치 및 관수장치는 생락한다.
미설명부호 300은 꽃 또는 나무임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본체를 구성하는 중심지주(100)(101)(102)를 회전장치(200)의 상면에 구성된 회전판(201)(202)에 각각 고정 설치한다.
상기 중심지주(100)(101)(102)의 외주연에 설치된 내벽체프레임(130)과 외벽 체프레임(13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51)에 무게가 가벼운 저수부재(160) 또는 이끼류 및 보습매트 등 보습을 위한 재질의 소재를 주입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내에 무게가 가벼운 저수부재(160) 또는 이끼류 및 보습매트 등 보습을 위한 재질의 소재를 주입시키면 본체(10)내에 충진되어 본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의 주연부에 꽃이나 나무(300)를 식재할 때에는 외벽체프레임(131)의 외주연에 감싸진 그물코가 큰 네트망(141)을 통해 바로 식재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식재된 꽃이나 나무가 시간이 경과 되어 시들어 교체할 때 종래와 같이 주입된 용토가 흘러내지 않고 저수부재에 바로 교체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교체작업이 간편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를 지지하고 있는 회전장치(200)의 상면에 구성된 회전판(201)(202)에 설치 고정된 중심지주(100)(101)(102)를 회전시켜 꽃탑이 서서히 회전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멋진 조경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며 회전장치(200)의 외주연에 설치된 광고판(240)을 이용하여 부수적인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내벽체프레임의 외주연에 모기장같이 그물코가 촘촘하게 작은 네트 망을 설치구성하고 외측프레임의 주연에는 그물코가 큰 네트 망을 설치구성 하여 내,외벽체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저수부재 또는 이끼류 및 보습매트 등을 주입시켜 본체의 무게를 줄이고 꽃이나 나무를 식재할 때 간편하게 식재할 수 있으며 식재된 꽃이나 나무를 교체할 때 역시 간편하게 교체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회전장치에 의해 본체를 회전시켜 시각적으로 멋진 조경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본체를 구성하는 중심지주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중심지주를 각각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이에 분리되는 중심지주를 각각 분리하고 결합할 수 있는 중간프레임을 구성하고 이를 볼트 너트로 결합하여 구성하는 조형물 꽃탑에 있어서
    상기 중심지주(100)(101)(102)의 외주연에는 가로형으로 다수개의 내벽체프레임(130)과 외벽체프레임(131)을 구성하고 이에 세로형으로 다수개의 종봉(132)(132-1)을 각각 연결 설치하고 내벽체프레임(130)의 외주연에는 그물코가 촘촘한 네트망(140)을 설치하여 중앙부에 공간부(150)가 구성되게 구성하고 외벽체프레임(131)의 외주연에는 그물코가 큰 네트망(141)을 설치하여 구성된 공간부(151)에 저수부재(160) 또는 이끼류 및 보습매트등을 설치하여 꽃탑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꽃탑.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내에 설치된 내,외 벽체프레임의 외주연에 네트망을 설치하되 내측에는 내벽체프레임의 외주연에는 모기장같이 그물코가 촘촘하게 작은 네트 망을 설치구성하고 외벽체프레임의 외주연에는 그물코가 큰 네트 망을 설치구성 하여 상기 그물코가 큰 네트망을 통해 간편하게 꽃이나 식물을 식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꽃탑
  3. 제1항에 있어서 조형물 꽃탑의 하단에는 감속모터 및 감속기로 구성된 회전장치를 설치하여 꽃탑을 회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조형물 꽃탑.
KR2020060000924U 2006-01-12 2006-01-12 조형물 꽃탑 KR200411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924U KR200411964Y1 (ko) 2006-01-12 2006-01-12 조형물 꽃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924U KR200411964Y1 (ko) 2006-01-12 2006-01-12 조형물 꽃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397A Division KR20070075072A (ko) 2006-01-12 2006-01-12 조형물 꽃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964Y1 true KR200411964Y1 (ko) 2006-03-21

Family

ID=4176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924U KR200411964Y1 (ko) 2006-01-12 2006-01-12 조형물 꽃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9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6891B (zh) 植被墙结构
US20110258925A1 (en) Vertical planter
CN202396214U (zh) 一种垂直绿化支撑架与模块箱
KR101227836B1 (ko) 수경화분 및 수경재배장치
JP2007107275A (ja) 建物緑化構造体
KR101419119B1 (ko) 수직형 녹화구조물
KR20130028211A (ko) 다단조립식 화분
KR101345525B1 (ko)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KR200411964Y1 (ko) 조형물 꽃탑
KR200206241Y1 (ko) 조형물 꽃탑
KR20070075072A (ko) 조형물 꽃탑
KR101258475B1 (ko) 조경용 꽃 조형물
KR200461953Y1 (ko) 조립식 화분
CN204518612U (zh) 快速拼接式栽培槽
KR101345553B1 (ko)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KR200420151Y1 (ko) 조경용 주택 울타리
RU76774U1 (ru) Мхово-торфяной блок (варианты) и гидроп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на их основе
KR20210157755A (ko)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
KR100995339B1 (ko) 관수장치가 내장된 조립식 조경용 꽃구조물
JP2006055176A (ja) 植物栽培コンテナ及び植栽設備並びに植栽設備の施工方法
KR20090079778A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TWM586521U (zh) 組合立地式花盆
JP2002315439A (ja) 垂直に配置可能な植栽装置
CN214430412U (zh) 一种园林绿化藤蔓养殖支架
KR101280432B1 (ko) 다층형 식물 재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