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892Y1 - 분말약제용 방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화기 - Google Patents

분말약제용 방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892Y1
KR200411892Y1 KR2020050035459U KR20050035459U KR200411892Y1 KR 200411892 Y1 KR200411892 Y1 KR 200411892Y1 KR 2020050035459 U KR2020050035459 U KR 2020050035459U KR 20050035459 U KR20050035459 U KR 20050035459U KR 200411892 Y1 KR200411892 Y1 KR 200411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neret
auxiliary
fire
fire extinguisher
powdered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4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호
Original Assignee
이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호 filed Critical 이연호
Priority to KR20200500354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8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말약제용 방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방호대상물을 향해 분말약제를 효과적인 방향으로 분산 방사하여 열기에 의해 확산되는 분말 특성으로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으며, 자동은 물론 와이어 연동에 의한 수동 작동으로 화재에 대한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분말약제용 방사노즐은, 소화기의 방사구에 설치되며, 유선형 곡면으로 굴절된 리플렉스면을 구비하여 상기 방사구로부터 방사되는 분말약제와 접촉하면서 상기 분말약제의 진행방향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소화기는 내부에 분말약제가 충진되고, 상기 분말약제가 방사되는 방사구를 구비한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설치되어 충진된 분말약제를 방사시키는 작동수단과, 상기 메인몸체의 방사구에 설치되며, 유선형 곡면으로 형성된 리플렉스면에 의해 상기 방사구로부터 방사되는 분말약제와 접촉하면서 상기 분말약제의 진행방향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방사노즐을 포함하는 구성된다.
소화기

Description

분말약제용 방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화기{Ejecting nozzle for ejecting dry powder and fire extinguisher having it}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소화기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소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소화기의 입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열감지체가 글라스 벌브 형태로 변형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참조도.
도 7은 본 말명에 따른 방사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방사노즐의 사시도.
도 8은 도 3의 I-I'에 따른 방사노즐을 절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소화기에서 방사된 분말약제의 진행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메인몸체 111 : 방사구
113 : 보조 방사구 120 : 작동수단
121 : 플런저 123 : 압축스프링
125 : 열감지체 127 : 열흡수체
130 : 방사노즐 131 : 리플렉스면
133 : 가이드홀 140 : 보조 방사구 개폐수단
141 : 회전체 143 : 인장스프링
145 : 작동레버 147 : 와이어
225 : 글라스 벌브
본 고안은 화재 진화용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호대상물을 향해 분말약제를 효과적인 방향으로 분산 방사하여 열기에 의해 확산되는 분말 특성으로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으며, 자동은 물론 와이어 연동에 의한 수동 작동으로 화재에 대한 보다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 분말약제용 방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화재의 초기 진압을 목적으로 하는 기구로서, 사용되는 소화약제에 따라 물소화기, 산,알칼리소화기, 강화액소화기, 포말소화기, 소화기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된다.
이 중 소화기는 소화약제에 특수 가공한 탄산수소나트륨분말(소화상 100메시 이상의 미세도가 필요함) 등을 사용하며 질소나 이산화탄소 등 불연성(不燃性) 고 압가스에 의해 분말약제를 방사한다. 방사된 분말약제는 화면(火面)에서 이산화탄소를 발생하여 질식소화를 하고, 일부는 분말의 복사열(輻射熱) 차단에 따른 효과도 있으며, 유류·전기·화학약품의 화재에 적당하다.
상기 소화기의 구조는 안전핀, 레버, 손잡이, 뚜껑, 가압용 가스용기, 사이펀관, 호스, 노즐 등으로 되어 있는데, 사용할 때는 먼저 소화기를 화재현장에서 5[m] 내지 6[m] 되는 곳까지 옮긴 다음 안전핀을 뽑고 손잡이와 레버를 함께 모아 힘껏 움켜쥐어 분말약제를 방출시킨다. 이때 바람을 등지고 불을 향하여 가까운 곳에서부터 비로 쓸듯이 방사한다. 이때, 화재진압 효과는 분말약제의 방사형태, 방사범위, 방사시간, 방사력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이같은 소화기는 사용자가 직접 들고 방화대상물을 향해 소화약제를 방사하는 용도로는 주로 사용되었으나, 사용자가 상주하기 곤란한 곳에서 무인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용도로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소화기의 경우 소화약제를 충분히 방사하기 위해서는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같이 세워져 설치되면 방화대상물을 향해 소화약제가 방사되는 방향을 맞추기가 곤란하였기 때문이다. 이 같이 곤란한 문제는 주로 방사노즐에 기인한 것으로 종래 무인 소화기에 채용되는 방사노즐로는 분말약제의 방사방향을 전환시킬 수 없었기 때문이다. 특히 이 경우 소화약제의 방향을 전환하면서도 방사속도 및 압력을 약화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화재 진원지를 향해 나가는 할론가스의 특성으로 인해 일정 공간에서 무인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 할론소화기는 소화약제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고, 오준 파괴 등의 이유로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사용하는데 규제를 받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열기에 의해 확산되는 분말 특성에 의해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도록 분말약제를 효과적으로 분산 방사하는 분말약제용 방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분말약제용 방사노즐은, 소화기의 방사구에 설치되며, 유선형 곡면으로 굴절된 리플렉스면을 구비하여 상기 리플렉스면에 의해 상기 방사구로부터 방사되는 분말약제와 접촉하면서 상기 분말약제의 진행방향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사노즐은, 상기 방사구와 일치하게 수평 형성된 가이드홀을 구비하고, 상기 리플렉스면은 상기 가이드홀의 상측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곡면을 이루면서 하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굴절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소화기는, 화재시 소화기 메인몸체 내부에 충진된 분말약제를 방사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기에 있어서, 내부에 분말약제가 충진되고, 상기 분말약제가 방사되는 방사구를 구비한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설치되어 충진된 분말약제를 방사시키는 작동수단과, 상기 메인몸체의 방사구에 설치되며, 유선 형 곡면으로 형성된 리플렉스면을 구비하여 상기 리플렉스면에 의해 상기 방사구로부터 방사되는 분말약제와 접촉하면서 상기 분말약제의 진행방향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방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방사노즐은, 상기 방사구와 일치하게 수평 형성된 가이드홀을 구비하고, 상기 리플렉스면은 상기 가이드홀의 상측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곡면을 이루면서 하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굴절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메인몸체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승하면 상기 방사구를 개방하고 하강하면 상기 방사구를 폐쇄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가 상승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상기 플런저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플런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의 상승을 제한하고 있다가 화재시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작동하여 상기 플런저의 상승을 허용하는 열감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열감지체에 결합되어 화재시 주변의 열기를 흡수하는 흡열체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열체는, 상기 열감지체와 결합된 진공 파이프와, 상기 진공 파이프를 따라 나란히 복수 설치된 판형상의 흡열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는 상단부에 보조 방사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방사구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보조 방사구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방사구 개폐수단은, 상기 보조 방사구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방사구를 개폐하는 볼 밸브와, 상기 보조 방사구 외부에서 상기 볼 밸브와 연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시 상기 볼 밸브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보조 방사구를 개폐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과, 와이어에 의해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상기 와이어를 당기면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보조 방사구를 개방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소화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화기(100)는 선박의 엔진실, 내연기관 발전실과 같이 밀폐된 혹은 개방된 공간(10)의 벽면 상부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신속히 작동되면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본 고안의 소화기(100)는 벽면 상부에 세워져 설치되면서도 방사방향을 전환해주는 방사노즐에 의해 하측에 설치된 방화대상물(20)의 바로 상측으로 분말약제를 분산 방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방사된 분말약제가 방화대상물(20)의 상측에서 열기에 의해 순간적으로 확산되면서 방화대상물(20)을 충분한 정도로 덮을 수 있게 되어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소화기(100)는 화재시 주변 열기에 대해 보다 신속히 반응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소화기(100)는 원격지에서 수동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자동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비상사태를 대비할 수 있고 외부에서 관리자가 초기에 화재를 발견했을 때 수동작동에 의해 보다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소화기(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소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소화기의 입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화기는 메인몸체(110), 작동수단(120), 방사노즐(130), 보조 방사구 개폐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몸체(110)는 내부에 분말약제를 충진하여 저장할 수 있는 약제 수용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몸체(110)는 내부에 충진된 분말약제가 방사되는 방사구(111)를 구비한다. 상기 방사구(111)는 상기 메인몸체(110) 상단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 또는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110)는 상단부에 보조 방사구(113)를 더 구비한다.
상기 작동수단(120)은, 상기 메인몸체(110)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분말약제를 방사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플런저(121), 압축스프링(123), 열감지체 (125) 및 흡열체(127)을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121)는 상기 메인몸체(110)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승하면 상기 방사구(111)를 개방하고 하강하면 상기 방사구(111)를 폐쇄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런저(121)의 하부(121A)는 상기 메인몸체(110) 내부에 설치된 사이폰관(115)으로부터 방사구(111)를 연결하는 길목에 위치하면서 상기 플런저(121)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그 길목을 차단하고 있다가 상기 플런저(121)가 상승하면 그 길목을 터주게 되어 상기 방사구(111)가 개방된다. 상기 플런저(121)의 상부(121B)는 상기 메인몸체(110) 상측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에서 상기 플런저(121)의 승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압축스프링(123)은 상기 플런저(121)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121)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로써 상기 플런저(121)가 상승하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121)의 상승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소화기 전체적으로는 상기 방사구(111)가 개방되어 분말약제가 방사되려는 경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감지체(125)는 상기 플런저(121)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121)의 상승을 제한하고 있다. 상기 열감지체(125)는 상기 메인몸체(110)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플런저(121)의 상부(121B)를 덮고 있는 차단캡(125A)과, 상기 차단캡(125A)을 상기 메인몸체(110)의 최상단부에 결합시키고 있다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용융되면서 상기 차단캡(125A)과 메인몸체(110)의 결합을 해체하는 용융제(125B)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용융제(125B)가 용융되어 상기 차단캡(125A)와 메인몸체(110)가 분리되는 동작온도는 72[??] 정도면 적당하다. 이로써 주변온도가 72[??] 이상이 되면 상기 용융제(125B)가 용융되면서 상기 차단캡(125A)이 메인몸체(110)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플런저(121)가 상승하여 방사구(111)가 개방되면서 분말약제가 방사된다.
상기 흡열체(127)는 상기 열감지체(125)와 결합된 진공 파이프(127A)와, 상기 진공 파이프(127A)를 따라 나란히 복수 설치된 사각 판형상의 흡열판(127B)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상기 흡열체(127)는 화재시 주변의 열기를 신속하게 흡수하고 이를 상기 열감지체(125)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열감지체(125)가 보다 신속하게 반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열체(127)를 이루는 진공 파이프(127A)와 흡열판(127B)의 소재는 열전달 성능이 우수한 구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열감지체(125)는 상기 차단캡(125A)과 용융제(125B) 대신 기존에 사용되는 글라스 벌브 형태로 대체 치환될 수 있다.
이에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열감지체가 글라스 벌브 형태로 변형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작동수단(120)의 열감지체(125)는 글라스 벌브(225)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벌브(225)는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내부에 수용된 액체의 부피가 팽창되면서 터져버리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기존의 제품을 그대로 채용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 방사노즐(130)은 본 고안에 의한 소화기에서 분말약제의 방사방향을 전환하여 방화대상물의 상측으로 분말약제를 도달시키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아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사노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말명에 따른 방사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방사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의 I-I'에 따른 방사노즐을 절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사노즐(130)은 상기 메인몸체(110)의 방사구(111)에 체결을 목적으로 후단부 외주면에 나선(135)이 형성된다. 상기 방사노즐(130)은 상기 방사구(111)를 통과한 분사약제를 안내하는 가이드홀(133)을 구비한 중공의 몸체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홀(133)은 상기 방사구(111)의 방향과 일치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사노즐(130)은 상기 가이드홀(133) 상측 내주면(133A)으로부터 연장되어 곡면을 이루면서 하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굴절된 리플렉스면(131)을 갖는다. 상기 리플렉스면(131)은 이처럼 선단부에 유선형 곡면으로 굴절 형성되어 상기 방사구(111)로부터 방사되는 분말약제와의 접촉시 방사속도 및 압력을 약화시키지 않으면서도 분말약제의 진행방향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상기 리플렉스면(131)은 도면에 따르면 90ㅀ 가까이 굴절된 것으로 형성되었지만 상기 분말약제의 진행방향이 90ㅀ 만큼 전환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상기 리플렉스면(131)이 점진적으로 꺽여 있고, 상기 가이드홀(133)에서 나온 분말약제 중 일부는 상기 리플렉스면(131)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리플렉스면(131)에 직접 접촉하는 다른 분말약제에 휩쓸려서 방사되는 관계로 굴절 정도가 약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리플렉스면(131)의 굴절된 정도는 얼마든지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분말약제의 방사방향을 어느 정도 변화시킬 것인지는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보조 방사구 개폐수단을 설명한다. 상기 보조 방사구 개폐수단(140)은 상기 보조 방사구(113)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볼 밸브(미도시됨, 통상의 볼 밸브 사용)와, 회전체(141)와, 인장스프링(143)과, 작동레버(145)를 포함한다.
상기 볼 밸브(미도시 됨)는 통상의 볼 밸브로서 상기 보조 방사구(113)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보조 방사구(113)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체(141)는 와이어(147)를 감을 수 있도록 원형의 물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방사구(113) 외부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의 회전축(141B)은 상기 보조 방사구(113)의 벽면을 관통하여 상기 볼 밸브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141)가 회전하면 상기 볼 밸브도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보조 방사구(113)를 개폐하게 된다.
상기 인장스프링(143)은,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회전체(141)와 메인몸체(110)에 결합된다. 이로써 평상시 상기 회전체(141)의 회전을 제한하고 있다가, 상기 회전체(141)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체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145)는 와이어(147)에 의해 상기 회전체(145)와 연결되어 원격지에서도 상기 와이어(147)를 당기면서 상기 회전체(141)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거리에서 상기 작동레버(145)를 강하게 쥐면 상기 와이어(147)를 통해 연결된 상기 회전체(141)가 회전하면서 소화약제가 보조 방사구(113)를 통해 방사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레버(145)를 벽면 등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체(148)와 상기 고정체(148)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145)를 사용자가 쥐기 편하게 해주는 지지핸들(149)도 함께 구비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소화기는 상기 보조 방사구 개폐장치(140)에 의해 원격지에서 수동으로도 작동 가능하여 방화대상물의 화재시 보다 확실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소화기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변에 화재가 발생하면 흡열체(127)의 흡열판(127B)이 주변의 열을 신속히 흡수하고 이를 진공 파이프(127A)를 통해 작동수단(120)에 속한 열감지체(125)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열감지체(125)에 속한 용융제(125B)가 용융되면서 차단캡(125A)이 상기 메인몸체(110) 상단에서 분리된다.
이로써 방사구(111)를 폐쇄하고 있던 플런저(121)가 구속이 해제되어 압축스프링(12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상승한다. 그러면 상기 방사구(111)는 완전 개방된다.
이후, 상기 메인몸체(110) 내부에 충진되어 있던 분말약제가 순간적으로 사이폰관(115)을 타고 상승하여 상기 방사구(111)를 통해 외부로 방사된다. 이때 상기 방사구(111)에 설치된 방사노즐(130)에 의해 방사되는 분말약제가 안내를 받게 되는데, 먼저 상기 분말약제는 상기 방사노즐(130)의 가이드홀(133)을 따라 안내를 받아 외부로 나오면서 리플렉스면(131)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 리플렉스면(131)은 분말약제의 진행방향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켜 결국 하방향을 향하게 한다. 이로써 방사되는 분말약제는 최종적으로 하방향을 향하게 되며 하측에 위치한 방화대상물 위에 정확하게 도달하게 된다.
상기 방화대상물 위에 도달한 분말약제는 도 9에서 화살표(D)로 표시된 진행방향에서 볼 수 있듯이 도달 순간 방화대상물(20)에서 나오는 열기(H)에 의해 순간적으로 상측으로 확산되었다가 방화대상물(20) 주변에 가라앉으면서 상기 방화대상물 전체를 효과적으로 덮게 된다. 이때 분말약제는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면서 질식소화에 의해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게 된다.
한편, 수동작동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작동레버(145)를 힘껏 움켜쥐면 회전체(141)와 연결된 와이어(147)가 당겨지면서 상기 회전체(141)가 인장스프링(143)의 탄성력을 이기고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체(141)가 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축(141B)에 연결된 볼 밸브가 회전하면서 보조 방사구(113)를 완전 개방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메인몸체(110)에 충진되어 있던 분말약제가 상기 보조 방사구(113)를 통해 방사되며, 방사되는 약제분말은 상기 보조 방수구(113)에 설치된 방사노즐(130)을 거쳐 방사되어 화재 진원지인 방화대상물(20)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분말약제가 상기 방사노즐(130)로부터 방화대상물(20)에 도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순간의 과정은 자동 소화시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본 고안의 소화기는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화재를 진압하게 되며, 열기에 의해 확산되는 분말약제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밀폐공간(10, 도 1 참조)은 물론 개방된 공간에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방사노즐(130)은 분말약제의 방사속도 및 압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분말약제의 방향을 원활하게 바꾸는 역할을 한다. 이같은 방사노즐(130)은 공간(10, 도 1 참조) 벽면 상측으로부터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방화대상물(20)을 향해 분말약제를 분산 방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종래 소화기 포맷을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약간의 변형만으로 작은 공간(10)에서 발생한 화재를 확실하게 진압할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의 무인 자동소화기 및 수동소화기를 손쉽게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분말약제용 방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화기는 밀폐된 공간 또는 개방된 공간에서 분말약제를 방화대상물의 상측으로 분산 방사하여 열기에 의해 확산되는 분말 특성에 의해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분말약제의 방사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방사노즐에 의해 기존 소화기의 포맷을 거의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자동 및 수동 소화기를 용이하게 구 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시설을 위해 별도의 지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주변의 열을 흡수하여 전달하는 흡열체에 의해 화재시 신속하게 반응하여 화재발생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원격지에서 와이어 연동에 의해 수동으로도 작동할 수 있으므로 화재시 자동으로 작동되지 않는 비상사태를 대비할 수 있는 한편, 초기에 관리자가 화재를 발견하는 경우 보다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Claims (10)

  1. 소화기의 방사구에 설치되며, 유선형 곡면으로 굴절된 리플렉스면을 구비하여 상기 리플렉스면에 의해 상기 방사구로부터 방사되는 분말약제와 접촉하면서 상기 분말약제의 진행방향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용 방사노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노즐은, 상기 방사구와 일치한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을 구비하고, 상기 리플렉스면은 상기 가이드홀의 상측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곡면을 이루면서 하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굴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약제용 방사노즐.
  3. 화재시 소화기 메인몸체 내부에 충진된 분말약제를 방사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기에 있어서,
    내부에 분말약제가 충진되고, 상기 분말약제가 방사되는 방사구를 구비한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에 설치되어 충진된 분말약제를 방사시키는 작동수단과;
    상기 메인몸체의 방사구에 설치되며, 유선형 곡면으로 굴절된 리플렉스면을 구비하여 상기 리플렉스면에 의해 상기 방사구로부터 방사되는 분말약제와 접촉하 면서 상기 분말약제의 진행방향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방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노즐은, 상기 방사구와 일치한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을 구비하고, 상기 리플렉스면은 상기 가이드홀의 상측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곡면을 이루면서 하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굴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메인몸체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승하면 상기 방사구를 개방하고 하강하면 상기 방사구를 폐쇄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가 상승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상기 플런저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플런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의 상승을 제한하고 있다가 화재시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작동하여 상기 플런저의 상승을 허용하는 열감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열감지체에 결합되어 화재시 주변의 열기를 흡수하는 흡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7. 제 6에 있어서,
    상기 흡열체는, 상기 열감지체와 결합된 진공 파이프와, 상기 진공 파이프를 따라 나란히 복수 설치된 판형상의 흡열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8.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는 상단부에 보조 방사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방사구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보조 방사구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9. 제 8항에 있어서, 보조 방사구 개폐수단은,
    상기 보조 방사구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방사구를 개폐하는 볼 밸브와;
    상기 보조 방사구 외부에서 상기 볼 밸브와 연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시 상기 볼 밸브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보조 방사구를 개폐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과;
    와이어에 의해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상기 와이어를 당기면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보조 방사구를 개방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10. 화재시 소화기 메인몸체 내부에 충진된 분말약제를 방사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기에 있어서,
    내부에 분말약제가 충진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분말약제가 방사되는 방사구 및 보조 방사구를 구비한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 상단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승하면 상기 방사구를 개방하고 하강하면 상기 방사구를 폐쇄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가 상승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상기 플런저의 하측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플런저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의 상승을 제한하고 있다가 화재시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작동하여 상기 플런저의 상승을 허용하는 열감지체와, 상기 열감지체와 결합된 진공 파이프 및 상기 진공 파이프를 따라 나란히 복수 설치된 판형상의 흡열판으로 이루어진 흡열체와 화재시 주변의 열기를 흡수하는 흡열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메인몸체 내부에 충진된 분말약제를 방사시키는 작동수단과;
    상기 메인몸체의 방사구 및 보조 방사구에 설치되며, 상기 방사구 및 보조 방사구와 일치한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홀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홀의 상측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곡면을 이루면서 하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유선형 굴절된 리플렉스면을 구비하여 상기 리플렉스면에 의해 상기 방사구로부터 방사되는 분말약제와 접촉하면서 상기 분말약제의 진행방향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방사노즐과;
    상기 보조 방사구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방사구를 개폐하는 볼 밸브와, 상기 보조 방사구 외부에서 상기 볼 밸브와 연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시 상기 볼 밸브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보조 방사구를 개폐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장스프링과, 와이어에 의해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어 원격지에서 상기 와이어를 당기면서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켜 상기 보조 방사구를 개방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보조 방사구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보조 방사구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화기.
KR2020050035459U 2005-12-16 2005-12-16 분말약제용 방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화기 KR200411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459U KR200411892Y1 (ko) 2005-12-16 2005-12-16 분말약제용 방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459U KR200411892Y1 (ko) 2005-12-16 2005-12-16 분말약제용 방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892Y1 true KR200411892Y1 (ko) 2006-03-21

Family

ID=4176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459U KR200411892Y1 (ko) 2005-12-16 2005-12-16 분말약제용 방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8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550B1 (ko) 2017-08-30 2018-07-24 주식회사 이앤씨 음파소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550B1 (ko) 2017-08-30 2018-07-24 주식회사 이앤씨 음파소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302B1 (ko) 수동 겸용 자동 분사 소화기
CN111202932B (zh) 一种球式自感应自旋转灭火装置
KR20080114460A (ko) 패널형 소화장치
KR200411892Y1 (ko) 분말약제용 방사노즐 및 이를 구비한 소화기
US8869905B2 (en) Actuation mechanism for a fire extinguisher
KR20180010798A (ko) 음식점의 연기배출 후드를 활용한 자동 소화장치
KR100807078B1 (ko) 다수 자동확산형 수동식 소화기
CN211318692U (zh) 电池组测试装置
CN111659052B (zh) 多用途开启结构、灭火装置、防火门及防火门的生产工艺
KR100992898B1 (ko) 패널형 소화장치
KR200495771Y1 (ko) 소화기
CN201067593Y (zh) 可探测报警撞击式速喷灭火装置
CN103721361A (zh) 手掷式热气溶胶灭火装置
CN211158334U (zh) 联动型悬挂式灭火装置
KR200384962Y1 (ko) 스프링클러 헤드
KR100716471B1 (ko) 스프링쿨러헤드
CN106166345A (zh) 干粉式灭火装置
CN1375344A (zh) 易熔阀式灭火弹
CN113750421A (zh) 一种虚拟屏障式消防喷头
CN202942567U (zh) 手掷式热气溶胶灭火装置
CN205886006U (zh) 干粉式灭火装置
KR101047028B1 (ko) 스프링클러 헤드
CN213444427U (zh) 一种便于灭火的智能垃圾桶
CN201147590Y (zh) 具有手动功能的撞击、雨淋式灭火装置
CN219185683U (zh) 一种可回收的投抛式干粉灭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