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671Y1 -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 Google Patents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671Y1
KR200411671Y1 KR2020060000098U KR20060000098U KR200411671Y1 KR 200411671 Y1 KR200411671 Y1 KR 200411671Y1 KR 2020060000098 U KR2020060000098 U KR 2020060000098U KR 20060000098 U KR20060000098 U KR 20060000098U KR 200411671 Y1 KR200411671 Y1 KR 200411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member
frame
bus duc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경
이민우
신현철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0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6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6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4Parti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ducts and adapted for sliding or rolling current coll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스닥트의 접속부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부스닥트가 서로 연결되는 접속부에서 내부 확인이 가능한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인 부스닥트의 접속부 커버는, 부스닥트가 서로 연결되는 접속부에서 이웃하는 부스닥트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부스닥트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도록 소정의 점검 창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점검 창을 개폐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와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한다.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Description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Bus duct joint cov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가 접속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접속부 커버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접속부 커버의 체결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접속부 커버가 부스닥트 접속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20a,20b,20c : 프레임 40,40a,40b,40c : 커버 부재
60 : 체결 부재
100,100a,100b,100c :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본 고안은 부스닥트의 접속부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부스닥트가 서로 연결되는 접속부에서 내부 확인이 가능한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스닥트(bus duct)는 공장 또는 빌딩 등에서 사용되는 대용량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닥트이다. 부스닥트의 내부에는 전도체로 이루어진 버스바가 설치된다.
부스닥트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속부 커버(10)와, 압착판(12)에 설치된 볼트(1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부스닥트(1)의 접속부에 관해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19529호 등에 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 커버(10)는 고정용 볼트(16)에 의하여 각 부스닥트(1)에 체결된다. 접속부 커버(10)에 형성된 체결공(17a)과 부스닥트(1)에 형성된 체결공(17b)을 맞닿도록 배치한 후 고정용 볼트(16)를 이용하여 커버(10)를 부스닥트(1)에 고정시킨다. 미설명 참조부호 1c는 부스닥트(1) 중 상면닥트를 나타낸다.
이러한 접속부 커버(10)는 이물질이 부스닥트(1) 내부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일단 설치되면 고정용 볼트(16)를 해체한 후에나 부스닥트(1)의 내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부스닥트(1) 내부의 청결 상태 또는 통전 중인 도체의 온 도 등 작동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 커버(10)는 고정용 볼트(16)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감전의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접속부를 유지, 보수하는 동안에 고정용 볼트(16)가 분실될 위험성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폐가 용이한 부스닥트의 접속부 커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감전을 방지할 수 있는 부스닥트의 접속부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용 볼트(16)의 분실 위험성이 없는 부스닥트의 접속부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는, 부스닥트가 서로 연결되는 접속부에서 이웃하는 부스닥트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부스닥트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도록 소정의 점검 창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점검 창을 개폐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와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부 커버는 외부의 이물질이 부스닥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점검 창 둘레에 설치된 가스켓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에는 소정 형상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 는 커버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일체로 형성된 본체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가 결합공에 삽입되어 소정 각도 정회전되면 프레임과 커버 부재가 체결되고, 프레임과 커버 부재가 체결된 후, 소정 각도로 역회전되면 프레임과 커버 부재가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부 커버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마련된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도록 커버 부재의 양측면에 커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커버 부재의 후방쪽 끝단은 상측으로 인입되도록 절곡된 가이드 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장공에 힌지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가 전방으로 슬라이딩을 한 후 회동됨으로써 회동각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 커버는, 부스닥트가 서로 연결되는 접속부에서 이웃하는 부스닥트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속부를 개폐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와 부스닥트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속부 커버는 외부의 이물질이 부스닥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 부재에 설치된 가스켓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스닥트에는 소정 형상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커버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일체로 형성된 본체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가 결합공에 삽입되어 소정 각도 정회전되면 부스닥트와 커버 부재가 체결되고, 부스 닥트와 커버 부재가 체결된 후 소정 각도로 역회전되면 부스닥트와 커버 부재가 분리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접속부 커버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상기 접속부 커버의 체결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접속부 커버(100)는 점검 창(22)이 형성된 프레임(20)과, 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 부재(40) 및, 커버 부재(40)와 프레임(20)을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60)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20)은 부스닥트(도 1의 1)가 서로 연결되는 접속부에서 이웃하는 부스닥트(1)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프레임(20)은 점검 창(22)과, 체결 부재(60)와의 체결을 위한 결합공(24) 및, 부스닥트(1)와의 체결을 위한 볼트공(26)을 구비한다.
상기 점검 창(22)은 부스닥트(1)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소정 크기로 형성된 창이다. 점검 창(22)은 커버 부재(40)에 의하여 개폐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점검 창(1)의 둘레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부스닥트(1)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28)이 설치된다. 가스켓(28)은 고무 등 탄력성 있는 재료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공(24)은 체결 부재(60)와의 체결을 위한 홀이다. 즉, 결합공(24)에는 체결 부재(60)의 회전부(62)가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공(24)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부(62)는 결합공(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24)과 형합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부(62)가 결합공(24)에 삽입된 후 소정 각도로 정회전되면 커버 부재(40)와 프레임(20)이 체결되고, 커버 부재(40)와 프레임(20)이 체결된 후 소정 각도로 역회전되면 프레임(20)과 커버 부재(40)가 분리된다. 한편, 도면은 타원 형상의 결합공(24) 및 회전부(62)를 나타내고 있으나, 결합공(24)과 회전부(62)는 직사각형, 마름모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볼트공(26)은 프레임(20)과 부스닥트(1)를 결합시키는 볼트(미도시)가 삽입되는 홀이다.
상기 커버 부재(40)는 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점검 창(22)을 개폐한다. 커버 부재(40)의 일측에는 경첩(42)이 설치되고, 타측에는 체결 부재(60)가 설치된다. 경첩(42)이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기 때문에 커 버 부재(4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레임(20)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개폐된다.
상기 체결 부재(60)는 결합공(2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부(62) 및, 회전부(62)와 일체로 형성된 본체부(64)를 구비한다. 본체부(64)는 손으로 잡기 쉬운 모양으로 형성된다. 회전부(62)에 관해서는 전술된 바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속부 커버(100)는 본체부(62)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커버 부재(4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 커버(100)는 고정용 볼트(도 1의 16)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점검 창(22)을 통하여 부스닥트(1) 내부를 점검, 확인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체결 부재(60)가 커버 부재(4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실될 우려도 없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접속부 커버(100a)는 점검 창(22)이 형성된 프레임(20a)과, 프레임(20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 부재(40a) 및, 커버 부재(40a)와 프레임(20a)을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60)를 구비한다. 도 5에서 도 2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가진 부재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이다.
상기 프레임(20a)의 양측면에는 힌지축(21)이 형성되고, 커버 부재(40)의 양측면에는 힌지축(21)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장공(43)이 형성된다. 프레임(20a)의 양측면에 힌지축(21)이 형성되기 때문에 커버 부재(40a)는 프레임(20a)의 길이 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가이드 장공(43)은 커버 부재(4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가이드 장공(43)의 후방 끝단(44)은 상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후방 끝단(44)이 상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힌지축(21)이 가이드 장공(43)에 삽입된 채로 커버 부재(40a)가 전방으로 슬라이딩을 한 후 회동되는 경우에 그 회동각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물론, 커버 부재(40a)는 전방으로 슬라이딩을 하지 않고 회동만을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접속부 커버(100b)는 점검 창(22)이 형성된 프레임(20b)과, 프레임(20b)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 부재(40b) 및, 커버 부재(40b)와 프레임(20b)을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60)를 구비한다. 도 6에서 도 2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가진 부재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이다.
상기 커버 부재(40b)의 경첩(42)은 프레임(20b)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커버 부재(40b)는 프레임(2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폐된다. 경첩(42)은 프레임(20b)의 상면에 설치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접속부 커버가 부스닥트 접속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접속부 커버(100c)는 이웃하는 부스닥트(1) 중 상면닥트(도 1 및 도 8의 1c)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프레임(20c)과, 프레임(20c)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속부를 개폐하는 커버 부재(40c) 및, 커버 부재(40c)와 상면닥트(1c)를 선 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60)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20c)에는 상면닥트(1c)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공(25)이 형성된다. 볼트공(25)에는 볼트(27)가 삽입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20c)은 상면닥트(1c)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9)를 구비한다. 지지부(29)는 프레임(20c)의 하부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버 부재(40c)는 그 일측에서 프레임(20c)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버 부재(40c)의 타측에는 체결 부재(60)가 설치되는 체결부재공(45)이 형성된다. 물론, 커버 부재(40c)와 상면닥트(1c)는 통상적인 결합 부재 예를 들면,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 부재(40c)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부스닥트(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켓(미도시)이 설치된다. 가스켓은 고무 등 탄력성 있는 재료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 부재(60)는 상면닥트(1c)의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부(62) 및, 회전부(62)와 일체로 형성된 본체부(64)를 구비한다. 회전부(62)가 결합공에 삽입된 후 소정 각도로 정회전되면 커버 부재(40c)와 프레임(20c)이 체결되고, 커버 부재(40c)와 프레임(20c)이 체결된 후 소정 각도로 역회전되면 프레임(20c)과 커버 부재(40c)가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개폐가 용이한 부스닥트의 접속부 커버를 제공한다.
둘째, 감전을 방지할 수 있는 부스닥트의 접속부 커버를 제공한다.
셋째, 고정용 볼트(16)의 분실 위험성이 없는 부스닥트의 접속부 커버를 제공한다.

Claims (7)

  1. 부스닥트가 서로 연결되는 접속부에서 이웃하는 부스닥트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부스닥트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도록 소정의 점검 창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점검 창을 개폐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와 프레임을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의 이물질이 부스닥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점검 창 둘레에 가스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소정 형상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커버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일체로 형성된 본체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가 결합공에 삽입되어 소정 각도 정회전되면 프레임과 커버 부재가 체결되고, 프레임과 커버 부재가 체결된 후 소정 각도로 역회전되면 프레임과 커버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마련된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도록 커버 부재의 양측면에 커버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커버 부재의 후방쪽 끝단은 상측으로 인입되도록 절곡된 가이드 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장공에 힌지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 부재가 전방으로 슬라이딩을 한 후 회동됨으로써 회동각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5. 부스닥트가 서로 연결되는 접속부에서 이웃하는 부스닥트들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속부를 개폐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커버 부재와 부스닥트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외부의 이물질이 부스닥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 버 부재에 가스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닥트에는 소정 형상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커버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일체로 형성된 본체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가 결합공에 삽입되어 소정 각도 정회전되면 부스닥트와 커버 부재가 체결되고, 소정 각도로 역회전되면 부스닥트와 커버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KR2020060000098U 2006-01-03 2006-01-03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KR200411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098U KR200411671Y1 (ko) 2006-01-03 2006-01-03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098U KR200411671Y1 (ko) 2006-01-03 2006-01-03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340A Division KR100735244B1 (ko) 2006-01-03 2006-01-03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671Y1 true KR200411671Y1 (ko) 2006-03-16

Family

ID=41761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098U KR200411671Y1 (ko) 2006-01-03 2006-01-03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6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6202C1 (ru) Корпус
KR20110100071A (ko) 파이프용 커플링 클램프
US10088875B1 (en) 360° pivotal device for an electronic product
US11598132B2 (en) Double shaft 180 degrees rotation sheet metal mechanism
PT1601074E (pt) Armário eléctrico de perfis de armação.
KR100735244B1 (ko)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KR200411671Y1 (ko) 내부 확인이 가능한 부스닥트 접속부 커버
WO2014139942A1 (de) Pumpenaggregat
CN101990744A (zh) 用于具备两个滑动及旋转单元的便携装置的开启关闭装置
CN109779457A (zh) 一种铰接装置和旋转淋浴房门
KR101095174B1 (ko) 유동구조물 연결용 턴버클
BRPI0610608A2 (pt) sistema de corpos de isolamento, concebido por duas ou mais peças, para a realização de guarnições de cabos de média voltagem
CN109457813A (zh) 一种铰链及一种围护结构
CN103233955A (zh) 管材用紧固连接组件
WO2009057358A1 (ja) ドアパネル
KR100961232B1 (ko) 힌지 조립체
CN101424147B (zh) 门铰
KR101373309B1 (ko) 여닫이문 경첩 및 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출입문
CN209719300U (zh) 一种易拆装的充电桩壳体
JP4309490B2 (ja) 家具のちょう番
KR20120086166A (ko) 파이프 연결밴드
CN218294185U (zh) 一种新型中间轴不动两侧可任意旋转的阻尼转轴
KR200298713Y1 (ko) 스톱퍼 기능을 갖춘 배전반 도어 경첩
EP3483996A1 (de) Anordnung für eine kabeldurchführung
KR20080057566A (ko) 도어용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