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247Y1 - The illuminating system which uses the led light - Google Patents
The illuminating system which uses the led ligh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1247Y1 KR200411247Y1 KR2020050036848U KR20050036848U KR200411247Y1 KR 200411247 Y1 KR200411247 Y1 KR 200411247Y1 KR 2020050036848 U KR2020050036848 U KR 2020050036848U KR 20050036848 U KR20050036848 U KR 20050036848U KR 200411247 Y1 KR200411247 Y1 KR 20041124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ing
- led bulb
- led
- lighting device
- control bo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6—Details of globes or cove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LED전구를 이용하여 건물의 전기, 전화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의 내부를 밝혀 상기 컨트롤박스의 조작 또는 작업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아울러 파손위험이 없고, 낮은 전력으로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using an LED bulb, to reveal the interior of the control box for controlling the electricity, telephone, etc. of the building using the LED bulb to make the operation or operation of the control box accurately and quickly, It is a lighting device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even at low power without any risk of damage.
더욱 상세하게는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전원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외부로 돌출되고, 전원을 ON/OFF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케이싱과; 상면에 다수개의 LED전구가 결합되고, 상기 케이싱의 설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케이블 및 스위치와 연결되는 LED전구 기판과;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하는 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casing is formed in a box type, the cabl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on one side is projected to the outside, the casing is provided with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An LED bulb substrate coupled to a plurality of LED bulbs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sing and installed at an installation portion of the casing and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and the switch; It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and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using an LED bulb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LED, 컨트롤박스 LED, Control Box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ing device using an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lighting device using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ighting device using an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 컨트롤박스 11 : 조작부10: control box 11: control panel
12 : 컨트롤박스 도어 12a : 도어 센서12: control box door 12a: door sensor
100 : 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 110 : 케이싱100: lighting device using an LED bulb 110: casing
111 : 설치부 112 : 하판111: mounting section 112: lower plate
112a : 설치공 113 : 결합공112a: Installation hole 113: Combined hole
120 : LED 전구 기판 120a : LED 전구120:
130 : 덮개 130a : 엠보싱130:
140 : 전원케이블 150 : 스위치140: power cable 150: switch
160 : 나사 170 : 교류전류변환기판160: screw 170: AC current conversion substrate
본 고안은 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전기, 전화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박스의 조작시에 내부를 밝혀주어 정확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using an LED bulb, and more particularly, the lighting device is installed in a control box that controls the electricity, telephone, etc. of the building to illuminate the interior when the control box is operated so that accurate operation is made. It is about.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건물의 전기나 전화 등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박스가 주로 실내의 구석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컨트롤박스의 조작 또는 작업시에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부가 어두워 정확하고 신속한 작업이 불가능하였다. 때문에 작업자는 한 손에 별도의 손전등과 같은 조명기구를 들고 조작 또는 작업을 하거나, 또 다른 작업자가 조명기구를 들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In general, a control box for controlling electricity or a telephone of a building is mainly installed in a corner wall of a room, and the inside of the control box is dark during the operation or operation of such a control box, so that accurate and quick work was impossible. . Because of this, the worker had to operate or work with a light fixture such as a separate flashlight in one hand, or another worker had to carry a light fixture.
따라서 컨트롤박스 내부에 조명장치의 설치를 필요로 하는 실정이다. 조명장치는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물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조명장치는 여러가지 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며 종래에는 백열등을 이용하거나 형광등을 이용한 조명장치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백열등은 제조비가 저렴하지만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함에 있어서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어 최근에는 사용이 지양되고 있고, 형광등은 백열등에 비해 에너지 전환 효율이 높아 전력 소비가 적지만 점등 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lighting device inside the control box. The lighting apparatus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energy to identify an object even in a dark place. Such lighting apparatus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and conventionally, lighting apparatuses using incandescent lamps or fluorescent lamps have been mainly used. Incandescent lamps are inexpensive to manufacture, but they have been used recently because they generate a lot of heat in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into light energy. Fluorescent lamps consume less energy because they have higher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than incandescent lamps. There is a problem that is short and lifespa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낮은 전력으로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는 LED(발광 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가 개발되고 있다. LED 반도체의 빠른 처리 속도와 낮은 전력소모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고,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에너지 절약효과가 높아서 차세대 전략제품으로 각광 받고 있다. LED 소자는 p형과 n형의 반도체의 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압을 가하면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의 결합으로 반도체의 밴드갭(bandgap)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방출하는 일종의 광전자 소자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색상의 LED가 개발되어 천연색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하여 옥외용 대형 전광판이나, 교통신호등, 자동차 계기판, 가전제품, 네온대체 간판, 의료장비, 경고 및 유도등과 같은 다양한 곳에 적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LEDs (Light Emitting Diodes) that have a long lifespan and obtain high illumination at low power have been developed. It has the advantages of fast processing speed and low power consumption of LED semiconductors, and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next generation strategic product because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as high energy saving effect. The LED device is composed of p-type and n-type semiconductors, and when voltage is applied, electrons and holes are combined to emit energy corresponding to the bandgap of the semiconductor in the form of light. Optoelectronic device. Recently, various colors of LED have been developed to enable natural color display, and are being applied to various places such as outdoor large billboards, traffic lights, automobile dashboards, home appliances, neon replacement signs, medical equipment, warnings and induction lamps.
또한, LED 전구는 기존의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해 약 10∼15% 정도의 낮은 전력소모와 100,000 시간 이상의 반영구적인 수명,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가짐으로 인해 조명기구로서도 각광을 받고 있다.In addition, LED bulbs have been in the spotlight as lighting fixtures because they have about 10 to 15% lower power consumption, more than 100,000 hours of semi-permanent lif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characteristics compared to incandescent and fluorescent lamps.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LED전구를 이용하여 컨트롤박스의 내부를 밝혀 상기 컨트롤박스의 조작 또는 작업이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아울러 파손위험이 없고, 낮은 전력으로도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illuminate the inside of the control box using an LED bulb so that the operation or operation of the control box can be made accurately and quickly, and there is no risk of damage, and It is to provide a lighting device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s a pow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인 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 는 설치부를 갖는 함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전원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외부로 돌출되고, 전원을 ON/OFF하는 스위치가 구비된 케이싱과; 상면에 다수개의 LED전구가 결합되고, 상기 케이싱의 설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케이블 및 스위치와 연결되는 LED전구 기판과;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ighting device using the LED bul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n enclosure type having an installation part, and a cabl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protrudes to the outside, and is provided with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Casing; An LED bulb substrate coupled to a plurality of LED bulbs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sing and installed at an installation portion of the casing and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and the switch; The cover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가 컨트롤박스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ghting device using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lighting device using the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used in the control box, Figure 3 is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ighting device using an LED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본 고안 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100)는 함체형으로 이루어진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밝혀주는 LED전구 기판(120)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결합되는 덮개(130)로 구성되어 있다.Here, the
상기 케이싱(110)은 비전도성,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상기 LED전구 기판(120)이 설치되는 설치부(111)를 갖는 함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판(112)을 양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하판(112)의 양측에 컨트롤 박스(10)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공(112a)이 갖추어져 있다. 상기 설치부(111)의 양측에는 상기 덮개(130)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공(112)을 두고, 벽면에 상기 LED전구기판(120)이 설치되어 임의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고정편(11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설치부(111)의 일측에 전원에 연결되도록 단부에 커넥터(141)를 가지는 전원케이블(140)과, 상기 전원케이블(14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수동으로 ON/OFF하는 스위치(150)가 구비되어 있다. The
상기 LED전구기판(120)은 상면에 다수개의 LED전구(120a)들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110)의 고정편(114)에 대응하는 고정홈(1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케이블(140) 및 스위치(150)에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다.The
상기 덮개(13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LED전구기판(120)의 파손을 막도록 하는 것으로 저면 양측에 상기 케이싱(110)과 결합되는 결합공(131)이 구비되어 있으며, 저면에 다수개의 엠보싱(130a)을 돌출형성하여 상기 LED전구(120a)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굴절시켜 직접 비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구성이다.The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 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먼저 케이싱(110)의 설치부(111)에 다수개의 LED전구(120a)들이 결합되어있는 LED전구기판(120)을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전원케이블(140)과 상기 스위치(150)를 전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고정홈(121)을 상기 케이싱(110)의 고정편(114)에 맞게 상기 설치부(111)로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상기 LED전구기판(120)은 임의로 흔들리지 않게 되어 상기 LED전구(120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LED전구(120a)에서 발산되는 불빛이 흔들리지 않게된다.The lighting devic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LED bulb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is to install the
이때, 필요에 따라 직류전류를 교류전류로 변환하여야 할 경우에는 상기 LED전구기판(120)에 교류전류변환기판(170)을 결합하게 되는데, 상면에 교류변환회로(171)를 갖춘 상기 교류전류변환기판(170)을 상기 전원케이블(140)과 상기 스위치(150)와 전선으로 연결하고, 상기 교류전류변환기판(170)의 일측에 구비된 커넥터(172)를 상기 LED전구기판(120)의 결합핀(122)에 결합하여 구성된다.In this case, when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DC current into an AC current, the AC
상기 LED전구기판(120)의 설치를 마친 후에는 상기 케이싱(110)의 상부에 덮개(130)를 결합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케이싱(110)의 설치부(111) 양측에 구비된 결합공(113)과 상기 덮개(130)의 저면 양측에 구비된 결합공(131)을 밀착하고 나사(160)로 결합하는데, 경우에 따라 끼워맞춤결합 등도 가능하다.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상기와 같이 결합이 완료된 본 고안 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100)는 건물의 전기 또는 전화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10)의 조작부(11)를 제어할 때 조명기구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박스(10)의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컨트롤박스(10)의 내부의 상면 혹은 저면 등 상기 조작부(11)를 원활히 조명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케이싱(110)의 하판(112)에 연장되어 구비된 설치공(112a)에 볼트 혹은 비스결합하여 고정하고 상기 전원케이블(140)의 커넥터(141)를 상기 컨트롤박스(10)의 전원에 연결하여 설치를 마치게 된다. The
이와 같이 상기 컨트롤박스(10)에 설치가 완료된 본 고안 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100)는 상기 컨트롤박스(10)의 박스도어(12)를 개방하고 상기 스위치(150)를ON하여 점등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박스도어(12)에 도어센서(12a)를 구비하여 상기 박스도어(12)의 개폐에 따라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한다. 점등되는 상기 다수개의 LED전구(120a)에서 발산되는 불빛은 상기 덮개(130)의 저면에 돌출된 다수개의 엠보싱(130a)에 의하여 굴절되어 상기 컨트롤박스(10)의 내부 전체를 조명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LED 전구를 이용한 조명장치는 컨트롤박스의 내부를 조명하여 조작 및 작업을 수월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고, 또한 LED전구를 이용함으로써 전력소모가 낮고 조명효과가 뛰어남과 아울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비용절감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ing device using the LED bulb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lluminating the inside of the control box to make the operation and work easy and accurate, and also by using the LED bulb, the power consumption is low and the lighting effect is excellent. In addition,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which has the effect of reducing costs.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6848U KR200411247Y1 (en) | 2005-12-29 | 2005-12-29 | The illuminating system which uses the led ligh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6848U KR200411247Y1 (en) | 2005-12-29 | 2005-12-29 | The illuminating system which uses the led ligh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1247Y1 true KR200411247Y1 (en) | 2006-03-10 |
Family
ID=4176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6848U KR200411247Y1 (en) | 2005-12-29 | 2005-12-29 | The illuminating system which uses the led ligh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1247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2622B1 (en) | 2006-05-16 | 2006-08-14 | 주식회사 누리플랜 | Line type led lighting of capsule style |
KR20190001616U (en) * | 2017-12-20 | 2019-06-28 | 주식회사 엘엠에이치코리아 | Ac lighting device where earth is embedded |
-
2005
- 2005-12-29 KR KR2020050036848U patent/KR200411247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2622B1 (en) | 2006-05-16 | 2006-08-14 | 주식회사 누리플랜 | Line type led lighting of capsule style |
KR20190001616U (en) * | 2017-12-20 | 2019-06-28 | 주식회사 엘엠에이치코리아 | Ac lighting device where earth is embedded |
KR200490639Y1 (en) * | 2017-12-20 | 2020-01-22 | 주식회사 엘엠에이치코리아 | Ac lighting device where earth is embedde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18161B2 (en) | Light unit with internal back-up power supply, communications and display | |
US20140099801A1 (en) | Magnetic light source adaptor and light source therefor | |
KR200413523Y1 (en) | A lightning apparatus comprising led | |
KR20170057186A (en) |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sub-lighting | |
KR100945175B1 (en) | Led lighting apparatus | |
CN201382280Y (en) | LED illumination device | |
KR200411247Y1 (en) | The illuminating system which uses the led light | |
KR101116903B1 (en) | Led lamp utensil | |
KR100936783B1 (en) | Led lighting apparatus | |
KR100945173B1 (en) | Led lighting apparatus | |
KR20120107598A (en) | Lighting lamp using light emitting diode | |
CN106555954B (en) | Dustproof high-efficiency energy-saving multi-light-effect LED hidden lamp | |
KR20100034127A (en) | Save electricity type led lighting device | |
KR20100011565U (en) | LED lighting lamp | |
KR20130039833A (en) | Led-illumination device for ship | |
KR101391340B1 (en) | Led illumination apparatus | |
CN110566858A (en) | LED lamp | |
KR200448152Y1 (en) | Lighting equipment | |
KR20150052493A (en) | Buried led lamp | |
KR100700672B1 (en) | Illuminator using High brightness LED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it | |
CN201819131U (en) | Solar lamp | |
KR200339151Y1 (en) | Mood lamp for rainbow color by light emitting diode | |
KR101114510B1 (en) | Horizontal / Vertical Armature Power LED Lighting System | |
KR20100052981A (en) | Lighting apparatus | |
KR20110000965U (en) | Light device for power receiving and distributing board using LE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307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