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217Y1 -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217Y1
KR200409217Y1 KR2020050034096U KR20050034096U KR200409217Y1 KR 200409217 Y1 KR200409217 Y1 KR 200409217Y1 KR 2020050034096 U KR2020050034096 U KR 2020050034096U KR 20050034096 U KR20050034096 U KR 20050034096U KR 200409217 Y1 KR200409217 Y1 KR 2004092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coupled
cap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스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2020050034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2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2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adio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Abstract

본 고안은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특히 커넥터의 중심부에 황동캡 및 스프링을 더 부가 설치하여 암 커넥터를 결합시에 절연체를 보호토록 함으로서 절연체의 손상을 막아 주파수의 변이를 막은 상태에서 원활한 고주파 중계가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2층 계단형 구조인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아랫층 내측벽에 끼움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상부 절연체와; 상기 상부 절연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유자 형태의 절연수단이며, 상부 절연체와 결합되면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부 절연체와; 상기 상부 절연체와 하부 절연체를 관통하여 하우징의 중심에 위치되며 암 커넥터와 결합되어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신호 전달용 핀과; 상기 상부 절연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캡 형태이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을 통해 신호 전달용 핀이 끼움 돌출되는 구조이며, 절연체의 공간부에 삽입 황복되는 구조인 황동캡과; 상기 하부 절연체의 상부면과 황동캡의 하부면 사이에 결합되어 황동캡의 상부면을 탄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탄발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고주파, 동축, 케이블, 커넥터

Description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Coixial Cable Connecter of Radio Frequency}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20: 상부 절연체
30: 하부 절연체
40: 황동캡
50: 탄발 스프링
60: 신호전달용 핀
70: 외부 스위치 단자
80: 커넥터 연결 공간부
90: 절연체 공간부
본 고안은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넥터의 중심부에 황동캡 및 스프링을 더 부가 설치하여 암 커넥터를 결합시에 절연체를 보호토록 함으로서 절연체의 손상을 막아 주파수의 변이를 막은 상태에서 원활한 고주파 중계가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의 커넥터는 고주파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장비 등에 적용되고 있다. 고주파용 커넥터는 크게 두 가지 특성이 요구된다. 그중 하나는, 고주파의 전기적인 특성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요소로서의 임피던스 값을 케이블과 잘 맞게 하는 것이며, 나머지 하나는 커넥터라는 용어 자체 그대로 연결을 신뢰성 있게 보장할 수 있는 특성으로서 이와 같이 두 가지 요소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이 설계의 요체이다.
그러나 기존의 고주파용 커넥터는 체결상태에서의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나사방식 또는 돌려꽂음(BNC 등) 방식을 사용하여 자체의 몸체에 각각의 체결 조건을 부여하고 있는바, 이와 같은 조건시 사용자가 각자의 손을 이용하여 체결해야 하므로, 적절한 체결압박 강도를 유지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러한 체결방법은 체결시 소요되는 힘과 분리시 소요되는 힘이 비슷하여 걸림의 힘을 약화시켰을 때는 사용상의 부주의 등으로 이탈(신호의 단락)이 발생된다.
또한, 걸림의 힘이 강화되었을 때는 절연체에 손상을 가하게 되어 고주파의 정확한 신호전달에 걸림돌이 되었으며, 특히 잦은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절연체의 손상이 심하게 발생하여 주파수의 변이가 발생하게 됨으로서, 50회 이상 결합 및 분리를 진행하게 되면 절연체의 손상으로 인하여 원하는 주파수의 출력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커넥터를 결합하기 위하여 커넥터를 강하게 압박하여도 커넥터의 절연체가 손상되지 않토록 하는 구조의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2층 계단형 구조를 형성하여 아래층에는 수 커넥터의 구성요소들이 실장되고, 윗층에는 암 커넥터가 결합되는 공간부(8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아랫층에 결합되는 캡 형태의 절연수단이며, 하우징 아랫층의 내측벽에 끼움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상부 절연체(20)와;
상기 상부 절연체(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유자 형태의 절연수단이며, 상부 절연체(20)와 결합되면서 내부에 공간부(90)를 형성하는 하부 절연체(30)와;
상기 상부 절연체(20)와 하부 절연체(30)를 관통하여 하우징(10)의 중심에 위치되며 암 커넥터와 결합되어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신호 전달용 핀(60)과;
상기 상부 절연체(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캡 형태이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을 통해 신호 전달용 핀(60)이 끼움 돌출되는 구조이며, 절연체의 공간부(90)에 삽입 왕복하는 구조인 황동캡(40)과;
상기 하부 절연체(30)의 상부면과 황동캡(40)의 하부면 사이에 결합되어 황동캡(40)의 상부면을 탄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탄발 스프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상부 절연체(20)와 하부 절연체(30) 사이의 간극을 통해 설치되고, 그 일단이 황동캡(40)에 접촉되어, 타단을 통해 상기 황동캡(40)의 접점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외부 스위치 단자(70)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 커넥터에 대한 기술사상으로서, 하우징(10)과, 상부 절연체(20)와, 하부 절연체(30)와, 황동캡(40)과, 탄발 스프링(50)과, 신호전달용 핀(60)과, 외부 스위치 단자(7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고안은 수 커넥터를 예시하고 있는바, 이는 암 커넥터는 통상의 장치가 그대로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며, 간단히 설명하면 암 커넥터에는 수 커넥터의 신호전달용 핀(60)을 삽입하는 홈 구조의 신호전달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커넥터의 신호전달용 핀과 연동하여 고주파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특징은 수 커넥터의 구조변경이므로 암 커넥터에 대한 도시 및 별도의 구조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즉, 본 고안의 특징은 수 커넥터에 있으므로 도면 및 설명에서 수 커넥터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하에서 각 구성수단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10)은 암 커넥터를 결합하기 위한 공간부(80)를 형성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2층 계단형 구조를 형성하여 아래층에는 수 커넥터의 구성요소들이 실장되고, 윗층에는 암 커넥터가 결합되는 공간부(80)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절연체(20)는 하우징(10)의 아랫층에 결합되는 캡 형태의 절연수단이며, 하우징 아랫층의 내측벽에 끼움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절연체(30)는 상부 절연체(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유자 형태의 절연수단이며, 상부 절연체(20)와 결합되면서 내부에 공간부(90)를 형성한다.
상기 신호 전달용 핀(60)은 상부 절연체(20)와 하부 절연체(30)를 관통하여 하우징(10)의 중심에 위치되며 암 커넥터와 결합되어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황동캡(40)은 상부 절연체(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캡 형태이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을 통해 신호 전달용 핀(60)이 끼움 돌출되는 구조이며, 절연체의 공간부(90)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상기 탄발 스프링(50)은 하부 절연체(30)의 상부면과 황동캡(40)의 하부면 사이에 결합되어 황동캡(40)의 상부면을 탄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 스위치 단자(70)는 상부 절연체(20)와 하부 절연체(30) 사이의 간극을 통해 설치되고, 그 일단이 황동캡(40)에 접촉되어, 상기 황동캡(40)의 접점에 따라 스위칭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암 커넥터를 결합하기전에는 스프링(50)이 황동캡(40)을 상부로 탄발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암 커넥터를 결합하게 되면 황동캡(40)을 절연체의 공간부(90)로 밀어넣게 된다.
그러면 황동캡(40)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황동캡(40)의 상부가 상부 절연체(20)와 같은 높이가 되며, 따라서 암 커넥터는 신호전달용 핀(60)과 정확히 결합되면서도 상부 절연체(20)를 파손하지 않게 된다.
즉, 암커넥터를 결합하기 전에는 스프링력에 의하여 황동캡(40)이 상승하고, 암커넥터를 결합하게 되면 절연체의 공간부(90)로 황동캡(40)이 하강하게 되어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력은 동일하게 유지시키면서 암커넥터가 수커넥터의 절연체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막아 절연체가 파손되지 않토록 보호하는 것이다.
이때, 탄발 스프링(50)의 탄성계수를 적절히 조절하여 암 커넥터를 결합시에는 내부로 쉽게 인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스프링(50)의 탄성계수가 너무 크게 되면 암커넥터를 결합한 후에도 강한 탄성력이 제공되어 암터넥터가 수커넥터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스프링의 탄성계수를 적절히 조절하여 암커넥터를 삽입시에는 수커넥터의 절연체 공간부(90)로 황동캡(40)이 하강후 튀어나오지 않토록 한다.
한편, 상기 황통캡(40)의 하강에 의하여 외부 스위치 단자(70)와 접점하게 되며, 상기 외부 스위치 단자(70)는 기판등에 연결하여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바, 온 상태에서 황동캡(40)이 스위칭 되면 오프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오프 상태에서 황동캡(40)이 스위칭 되면 온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황통캡(40)의 유동에 의하여 외부 스위치 단자가 스위칭 되므로 암 커넥터의 접속에 따른 스위칭신호를 동시에 인가할 수 있게 되어 암커넥터의 접속에 따른 스위칭 신호처리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은 황동캡(40)이 상부 절연체(20)를 보호하게 되어 암커넥터를 강하게 수커넥터에 압박하더라도 상부 절연체(20)가 손상되는 일을 막게 된다.
이는 종래의 커넥터가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강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 커넥터에 힘을 주어 수커넥터의 절연체가 손상되는 것을 막도록 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와 같이 황동캡(40)을 설치하여 상기 황동캡(40)이 상부 절연체(20)를 보호토록 하여 암커넥터를 수커넥터에 강하게 접근시키더라도 절연체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의 변이가 일어나지 않게 되어 고주파가 전송에러 없이 중계됨으로서 DMB 등에 적용시 원하는 화면을 원활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신호전달용 핀과 절연체를 포함하는 수커넥터에 황동캡과 상기 황동캡을 탄발지지하는 탄발스프링을 더 부가토록 하여 상부 절연체를 강하게 보호할 수 있고, 동시에 암커넥터와 수커넥터의 결합력을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2)

  1. 전체적으로 2층 계단형 구조를 형성하여 아래층에는 수 커넥터의 구성요소들이 실장되고, 윗층에는 암 커넥터가 결합되는 공간부(8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아랫층에 결합되는 캡 형태의 절연수단이며, 하우징 아랫층의 내측벽에 끼움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상부 절연체(20)와;
    상기 상부 절연체(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유자 형태의 절연수단이며, 상부 절연체(20)와 결합되면서 내부에 공간부(90)를 형성하는 하부 절연체(30)와;
    상기 상부 절연체(20)와 하부 절연체(30)를 관통하여 하우징(10)의 중심에 위치되며 암 커넥터와 결합되어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신호 전달용 핀(60)과;
    상기 상부 절연체(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캡 형태이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을 통해 신호 전달용 핀(60)이 끼움 돌출되는 구조이며, 절연체의 공간부(90)에 삽입 왕복하는 구조인 황동캡(40)과;
    상기 하부 절연체(30)의 상부면과 황동캡(40)의 하부면 사이에 결합되어 황동캡(40)의 상부면을 탄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탄발 스프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절연체(20)와 하부 절연체(30) 사이의 간극을 통해 설치되고, 그 일단이 황동캡(40)에 접촉되며, 타단을 통해 상기 황동캡(40)의 접점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외부 스위치 단자(70)를 더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2020050034096U 2005-12-02 2005-12-02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200409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096U KR200409217Y1 (ko) 2005-12-02 2005-12-02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096U KR200409217Y1 (ko) 2005-12-02 2005-12-02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217Y1 true KR200409217Y1 (ko) 2006-02-22

Family

ID=41759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096U KR200409217Y1 (ko) 2005-12-02 2005-12-02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2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747B1 (ko) * 2008-07-16 2011-06-27 주식회사 텔콘 알에프신호의 위상 조정이 가능한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1162659B1 (ko) 2011-03-31 2012-07-04 (주)기가레인 동축 케이블 결합 커넥터
KR20160072862A (ko) 2014-12-15 2016-06-24 (주)유에스티 고주파용 동축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747B1 (ko) * 2008-07-16 2011-06-27 주식회사 텔콘 알에프신호의 위상 조정이 가능한 동축케이블 커넥터
KR101162659B1 (ko) 2011-03-31 2012-07-04 (주)기가레인 동축 케이블 결합 커넥터
KR20160072862A (ko) 2014-12-15 2016-06-24 (주)유에스티 고주파용 동축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48503A1 (en) 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WO2007005598A3 (en) Electrical connector for interconnection assembly
US9559471B2 (en) Coaxial cable and connector with capacitive coupling
JPH0757823A (ja) 電子回路基板の電気的接続構造
CN101964484A (zh) 电插头和插座组件
KR101166431B1 (ko) 알에프 동축 커넥터
KR20020087404A (ko) 전원코드 접속세트
KR101922142B1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US11114806B2 (en) Coaxial connector device having main connector to which cable is connected and board connector to which main connector is connected
US20150118897A1 (en) Coaxial cable and connector with capacitive coupling
KR101311724B1 (ko) 커넥터 조립체
MX2011004213A (es) Conector electrico que tiene mecanismo de alineacion.
KR200409217Y1 (ko)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1162659B1 (ko) 동축 케이블 결합 커넥터
CN207250874U (zh) 一种微同轴电连接器
US11196204B2 (en) Spring-loaded inner-conductor contact element
KR101004602B1 (ko) 다면 패킹구조 방수 커넥터
US8142204B2 (en) Automation appliance which uses the same configuration plug connectors for connecting antenna plug and coaxial cable
CN105722305A (zh) 具有改进的端子的印刷电路板组件
US6398568B1 (en) Self-terminating electrical connector
KR101708413B1 (ko) 통신용 커넥터
EP3703197B1 (en) Connector having surge prevention function and circuit board including same
US20160126664A1 (en) Connector providing combined fastener and radio frequency interface
US20160285179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tubular casing system
WO2009061099A2 (en) 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