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724B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724B1
KR101311724B1 KR1020130015771A KR20130015771A KR101311724B1 KR 101311724 B1 KR101311724 B1 KR 101311724B1 KR 1020130015771 A KR1020130015771 A KR 1020130015771A KR 20130015771 A KR20130015771 A KR 20130015771A KR 101311724 B1 KR101311724 B1 KR 101311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ircumferential surface
coupling groove
connection
signa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구
전정일
이장묵
송화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to CN201310120080.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36797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4Intermediate parts, e.g. adapters, splitters or elbows
    • H01R24/542Adap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본 발명은 일 측에 제 1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끝단이 상기 제 1 결합홈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몸체와 절연되어 있는 제 1 신호핀을 구비하고, 제 1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및 일단이 상기 제 1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결합홈 상에서 상기 제 1 신호핀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신호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몸체와 절연되는 연결도체를 갖는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1 결합홈의 내주면 중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내주면이 구배(grade)되고, 상기 연결몸체는,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 1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연결몸체가 상기 제 1 커넥터와 분리되지 않도록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 접촉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오정렬을 보상하면서 커넥터 조립체의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통신 기기들 사이에는 다양한 신호들이 전송된다. 신호가 전송되는 통신 기기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통상적으로 숫 커넥터부와 암 커넥터부를 구비하는 커넥터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무선 통신 기기들의 내부회로는 일반적으로 기판(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Printrd Circuit Board) 등)에 구현된다. 이러한 기판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딱딱한 성질의 인쇄회로기판뿐 아니라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한 연성회로기판(Flexible PCB ; FPCB)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대상물들 사이를 커넥터 조립체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특히 기판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기판들에 장착되는 커넥터들의 위치가 조금만 틀어져서 오정렬이 발생하는 경우 기판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에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상물들 사이에 커넥터 조립체를 연결하는 경우 안정적인 연결을 위하여 필요 이상의 압력을 가하는 경우, 커넥터 조립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물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오정렬을 보상하고 커넥터 조립체의 손상없이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일 측에 제 1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끝단이 상기 제 1 결합홈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몸체와 절연되어 있는 제 1 신호핀을 구비하고, 제 1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및 일단이 상기 제 1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결합홈 상에서 상기 제 1 신호핀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신호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몸체와 절연되는 연결도체를 갖는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결합홈의 내주면 중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내주면이 구배(grade)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일 측에 제1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끝단이 상기 제1 결합홈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몸체와 절연되어 있는 제 1 신호핀과, 상기 제 1몸체에서 직각 또는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신호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라인을 구비하고, 제 1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와, 일단이 상기 제 1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결합홈 상에서 상기 제 1 신호핀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신호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몸체와 절연되는 연결도체를 갖는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1 결합홈의 내주면 중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내주면이 구배(grade)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양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아래와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몸체는,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 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1 연결몸체가 상기 제 1 커넥터와 분리되지 않도록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 접촉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몸체의 타단에는, 제 2커넥터가 연결된다.
상기 제 2커넥터는 일측에 제 2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 2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끝단이 상기 제 2 결합홈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몸체와 절연되어 있는 제 2 신호핀을 구비하여 제 2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 몸체의 타단은 상기 제 2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 도체는 상기 제 2 결합홈 상에서 상기 제 2 신호핀과 접촉하여 상기 제 2 신호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 1 결합홈은, 상기 연결몸체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내주면의 직경이 감소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몸체는,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2 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 2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부는, 외주면이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신호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대상물의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 1 신호핀과 상기 제 1 대상물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 1 몸체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체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몸체와 상기 제 2 신호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대상물의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 2 신호핀과 상기 제 2 대상물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 2 몸체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체를 더 구비한다.
상기 연결 커넥터는, 상기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도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도체를 절연시키는 연결절연체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도체는, 양 끝단에 연결홈이 형성되고, 일 끝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에 상기 제 1 신호핀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끝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에 상기 제 2 신호핀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1 신호핀 및 상기 제 2 신호핀은, 상기 연결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원호의 형상을 가지고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몸체는, 끝단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제 1 커넥터에서 상기 제 2 커넥터 방향으로 상기 연결몸체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연결몸체에 탄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 결합홈에 삽입되는 전도성 탄성체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도성 탄성체는, 링 형상으로 상기 연결몸체의 끝단과 상기 제 2 몸체 사이에 탄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누설되는 RF 신호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러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제 1 결합홈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위치하여 누설되는 RF 신호를 차단하는 제 1 전도성 러버; 및 상기 제 2 결합홈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위치하여 누설되는 RF 신호를 차단하는 제 2 전도성 러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제 1 커넥터에서 상기 제 2 커넥터 방향으로 상기 연결몸체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연결몸체에 탄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 결합홈에 삽입되는 전도성 탄성체; 및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누설되는 RF 신호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러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제 1 몸체의 하단에는, 체결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몸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 1대상물에서의 고정을 위해 볼트가 결합되는 스크류홀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1 대상물에서의 고정을 위해 리벳이 결합되는 리벳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몸체의 측부에는, 상기 신호 라인이 연결되어 상기 신호 라인과 상기 제 1몸체가 'L' 형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체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신호 라인이 연결되어 상기 신호 라인과 상기 제1 몸체가 'I' 형상으로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상물들의 연결하고자 하는 부분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여, 오정렬을 보상하면서 대상물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대상물들이 기판인 경우 기판에 커넥터들이 장착되는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 하지 않는 경우에도, 커넥터 조립체의 손상없이 오정렬을 보상하면서 안정적으로 기판들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들의 연결에 의한 전기적 특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서 커넥터들이 체결되는 경우에도, 압력을 제거하면 커넥터 조립체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커넥터 조립체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 1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의 결합 과정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오정렬을 보상하면서 대상물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연결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와 전도성 러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도성 러버가 삽입된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연결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와 전도성 탄성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전도성 탄성체가 삽입된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전도성 러버 및 도 8의 전도성 탄성체가 삽입된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 2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 2실시예를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커넥터 조립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커넥터 조립체에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다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커넥터 조립체와 제 1,2대상물과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다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하며, 이와 아울러,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100)의 제 1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100)의 결합 과정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 조립체(100)는 제 1 커넥터(200), 연결 커넥터(30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커넥터(200)는 제 1 몸체(210)와, 제 1 신호핀(270) 및 제 1 절연체(2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 1 몸체(210)는 일 측에 제 1 결합홈(220)이 형성되고 타 측에 제 1 대상물(미도시)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대상물은 기판, 동축케이블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대상물이 기판인 경우 기판의 복수의 접지선마다 제 1 몸체(2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몸체(210)의 내부에는 제 1 신호핀(270)이 삽입될 수 있다.
제 1 신호핀(270)은 제 1 몸체(210)와 절연되도록 제 1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신호핀(270)은 일단이 제 1 결합홈(2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타단이 상기 제 1 대상물의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대상물이 기판인 경우 기판의 복수의 신호선마다 제 1 신호핀(27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절연체(250)는 제 1 신호핀(270)과 제 1 몸체(210) 사이에 결합되어 제 1 신호핀(270)과 제 1 몸체(210)를 절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절연체(250)는 제 1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 1 절연체(25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제 1 신호핀(27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홈(220)의 내측면에는 걸림턱(215)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15)의 작용은 후술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되는 제 1커넥터(200)를 포함하여 연결 커넥터(300)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 2커넥터(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넥터(400)는 제 2 몸체(410), 제 2 신호핀(470) 및 제 2 절연체(450)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몸체(410)는 일 측에 제 2 결합홈(420)이 형성되고 타 측에 제 2 대상물(미도시)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 대상물은 기판, 동축케이블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대상물이 기판인 경우 기판의 복수의 접지선마다 제 2 몸체(4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몸체(410)의 내부에는 제 2 신호핀(470)이 삽입될 수 있다.
제 2 신호핀(470)은 제 2 몸체(410)와 절연되도록 제 2 몸체(4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신호핀(470)은 일단이 제 2 결합홈(4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타단이 상기 제 2 대상물의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대상물이 기판인 경우 기판의 복수의 신호선마다 제 2 신호핀(47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절연체(450)는 제 2 신호핀(470)과 제 2 몸체(410) 사이에 결합되어 제 2 신호핀(470)과 제 2 몸체(410)를 절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절연체(450)는 제 2 몸체(4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 2 절연체(45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홀에 제 2 신호핀(47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커넥터(300)는 연결몸체(310), 연결도체(370, 380) 및 연결절연체(35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몸체(310)는 제 1 결합홈(220)과 제 2 결합홈(420)에 결합되어 제 1 몸체(210)와 제 2 몸체(4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연결몸체(310)의 일 측이 제 1 결합홈(220)에 삽입되어 연결몸체(310)와 제 1 몸체(2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몸체(310)의 타 측이 제 2 결합홈(420)에 삽입되어 연결몸체(310)와 제 2 몸체(4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몸체(310)의 일 측 방향의 외주면은 제 1 결합홈(220)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연결몸체(310)와 제 1 몸체(2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결합홈(220)의 내주면 중 연결몸체(3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부분은 구배(grade)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연결몸체(3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 1 결합홈(220)의 내주면은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결합홈(220)은 연결몸체(310)가 삽입되는 방향(도 2 내지 도 4에서 제 1 몸체(201)의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연결몸체(3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 1 결합홈(220)의 내주면의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결합홈(220)의 내주면이 테이퍼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제 1 커넥터(200)에서 제 2 커넥터(400)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 도 4과 같이 최대 압축이 된 이후 제 1 커넥터(200)에서 제 2 커넥터(400) 방향으로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하여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연결커넥터(300)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연결커넥터(300)의 양끝단은 제 1 커넥터(200) 또는 제 2 커넥터(400)와 소정의 간격(예를 들어, 1 mm 등) 이하의 간격을 가져야 신호 특성이 좋아지므로, 테이퍼되어 있는 제 1 결합홈(220)의 내주면은 연결커넥터(30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연결커넥터(300)의 양끝단은 제 1 커넥터(200) 또는 제 2 커넥터(400)와 소정의 간격(예를 들어, 1 mm 등) 이하의 간격을 가지도록 하여 최상의 신호 특성을 유지하게 된다.
연결커넥터(300)의 연결몸체(310)가 도 4와 같은 형태로 이동하는 경우 연결몸체(31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몸체(310)는 끝단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가압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320)의 크기가 줄어들면서 연결몸체(310)의 손상없이 연결몸체(310)가 이동하게 되고, 도 4에서 도 2 또는 도 3으로 복원된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320)은 원래의 크기로 돌아오게 된다.
도 2 또는 도 3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순간 제 1 커넥터(200)에서 제 2 커넥터(400)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것을 멈추지 못하고 도 4의 경우까지 되는 것은, 제 2 커넥터(400)의 제 2 결합홈(420)에서 연결커넥터(300)의 끝단이 제 2 커넥터(400)와 소정의 간격 이하의 간격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 2 결합홈(420)에서 연결커넥터(300)의 끝단이 제 2 커넥터(400)와 소정의 간격보다 큰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는 경우 RF 신호 특성이 저하되고 제 2 신호핀(470)과 연결도체(370)의 연결부분이 짧아져 신호 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2 결합홈(420)에서 연결커넥터(300)의 끝단이 제 2 커넥터(400)와 소정의 간격 이하의 간격을 가지도록하기 위하여 가압을 하다보면 도 4와 같은 형태가 발생하게 되고, 도 4의 상태에서 압력을 제거하면 연결커넥터(300)가 도 2 또는 도 3 과 같이 복원하게 되어 제 2 결합홈(420)에서 연결커넥터(300)의 끝단이 제 2 커넥터(400)와 소정의 간격 이하의 간격을 가지도록 밀착되면서 연결커넥터(300)에 의하여 제 1 커넥터(200)와 제 2 커넥터(4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연결몸체(310)는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제 1 몸체(210)의 내주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1 접촉부(315)와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제 2 몸체(410)의 내주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 2 접촉부(4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접촉부(315)는 연결몸체(310)의 외주면 중 제 1 커넥터(200) 방향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고, 제 2 접촉부(415)는 연결몸체(310)의 외주면 중 제 2 커넥터(400) 방향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접촉부(315)와 제 2 접촉부(415)는 외주면이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몸체(210)는 연결몸체(310)가 제 1 커넥터(200)와 분리되지 않도록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제 1 접촉부(315)가 걸리는 걸림턱(21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커넥터(300)의 일 측이 제 1 커넥터(200)에 삽입된 이후 제 1 접촉부(315)가 걸림턱(215)에 걸리므로 연결커넥터(300)가 제 1 커넥터(20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커넥터(300)가 제 1 커넥터(200) 및 제 2 커넥터(400)에 삽입된 이후 연결커넥터(300)에서 제 1 커넥터(200) 및 제 2커넥터(4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제 1 접촉부(315)가 걸림턱(215)에 걸리므로 연결커넥터(300)에서 제 2 커넥터(400)보다 제 1 커넥터(200)가 먼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도체(370, 380)는 연결몸체(3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 1 결합홈(220) 상에서 제 1 신호핀(270)과 접촉하고 제 2 결합홈(420) 상에서 제 2 신호핀(470)과 접촉하여 제 1 신호핀(270)과 제 2 신호핀(4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연결몸체(310)와 절연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도체(370, 380)는 양 끝단에 연결홈(379, 389)이 형성되고, 연결도체(370, 380)의 일 끝단에 형성된 연결홈(379)에 제 1 신호핀(270)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연결도체(370, 380)의 타 끝단에 형성된 연결홈(389)에 제 2 신호핀(470)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신호핀(270)은 연결홈(379)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275)이 원호의 형태를 가지고 제 1 신호핀(27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있을 수 있고, 제 2 신호핀(470)은 연결홈(389)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475)이 원호의 형태를 가지고 제 2 신호핀(47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도체(370, 380)는 제 1 신호핀(270)과 대응되는 연결도체(370)와 제 2 신호핀(470)과 대응되는 연결도체(38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연결도체(370)와 연결도체(380)가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된 연결도체(370, 380)는 연결절연체(350)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연결도체(370, 380)는 연결몸체(310)와 절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커넥터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대상물과 상기 제 2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 1 대상물에 제 1 커넥터(200)를 장착하고 제 1 커넥터(200)와 연결 커넥터(300)의 일 측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대상물에 장착된 제 2 커넥터(200)에 연결 커넥터(300)의 타 측을 결합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연결 커넥터(300)와 제 2 커넥터(400)가 결합되기 위하여 제 1 커넥터(200)에서 제 2 커넥터(300)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 후, 제 1 커넥터(200)에서 제 2 커넥터(300)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제거하면 도 2 또는 도 3 과 같은 상태로 연결 커넥터(300)가 이동하여 상기 제 1 대상물과 상기 제 2 대상물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오정렬을 보상하면서 대상물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대상물에서 제 1 커넥터(200)가 결합되는 위치와 상기 제 2 대상물에서 제 2 커넥터(400)가 결합되는 위치가 상이한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대상물과 상기 제 2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커넥터 조립체(100)의 연결 커넥터(300)가 오정렬 보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정확하게 위치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제 1 커넥터(200)와 제 2 커넥터(400)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신호핀(270) 중 연결홈(379)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275)과 제 2 신호핀(470) 중 연결홈(389)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475)이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정렬을 보상하기 위하여 제 1 신호핀(270), 제 2 신호핀(470) 및 연결도체(370)에 긁힘, 파손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연결몸체(310)의 접촉부(315)도 호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정렬을 보상하기 위하여 연결몸체(310), 제 1 몸체(210) 및 제 2 몸체(410)에 긁힘, 파손 등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6은 도 1의 연결 커넥터(300) 및 제 2 커넥터(400)와 전도성 러버(9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전도성 러버(910)가 삽입된 커넥터 조립체(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커넥터 조립체(100')는 제 1 커넥터(200), 연결 커넥터(300), 제 2 커넥터(400) 및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러버(910)를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100')의 제 1 커넥터(200), 연결 커넥터(300) 및 제 2 커넥터(400)는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제 1 커넥터(200), 연결 커넥터(300) 및 제 2 커넥터(40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러버(910)는 연결몸체(310)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누설되는 RF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도 7에는 두 개의 전도성 러버(910)가 연결몸체(310)의 외주면에 삽입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몸체(310)의 외주면과 제 1 결합홈(220) 또는 제 2 결합홈(420)의 내주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러버(91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7의 경우 연결몸체(310)의 외주면과 제 1 결합홈(220)의 내주면 사이에 결합된 전도성 러버(910)는 제 1 결합홈(220)의 내주면과 연결몸체(310)의 외주면 사이에 누설되는 RF 신호를 차단할 수 있고, 연결몸체(310)의 외주면과 제 2 결합홈(420)의 내주면 사이에 결합된 전도성 러버(910)는 제 2 결합홈(420)의 내주면과 연결몸체(310)의 외주면 사이에 누설되는 RF 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전도성 러버(910)는 연결몸체(310)의 외주면에 삽입 결합되어 연결몸체(310)가 제 1 결합홈(220) 또는 제 2 결합홈(42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전도성 러버(910)가 제 1 결합홈(220) 및 제 2 결합홈(420) 중 적어도 하나의 내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몸체(310)가 제 1 결합홈(220) 및 제 2 결합홈(4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1의 연결 커넥터(300) 및 제 2 커넥터(400)와 전도성 탄성체(11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전도성 탄성체(1110)가 삽입된 커넥터 조립체(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커넥터 조립체(100")는 제 1 커넥터(200), 연결 커넥터(300), 제 2 커넥터(400) 및 전도성 탄성체(1110)를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100")의 제 1 커넥터(200), 연결 커넥터(300) 및 제 2 커넥터(400)는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제 1 커넥터(200), 연결 커넥터(300) 및 제 2 커넥터(40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전도성 탄성체(1110)는 제 1 커넥터(200)에서 제 2 커넥터(400) 방향으로 연결몸체(310)가 가압되는 경우 연결몸체(310)에 탄성을 제공하면서 RF 특성이 좋아지도록 제 2 결합홈(420)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탄성체(1110)는 제 2 결합홈(420)의 바닥면에 결합되어 제 1 커넥터(200)에서 제 2 커넥터(400) 방향으로 연결몸체(310)가 가압되는 경우 제 2 결합홈(420)의 바닥면에서 탄성을 제공하여 연결몸체(310)의 끝단과 제 2 몸체(410) 사이의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탄성체(1110)에 의하여 제 2 커넥터(400)의 접지선의 위치가 전도성 탄성체(1110)의 높이만큼 올라온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게 되어 RF 특성도 좋아질 수 있다. 전도성 탄성체(1110)는 도 8과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몸체(310)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면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도 6의 전도성 러버(910) 및 도 8의 전도성 탄성체(1110)가 삽입된 커넥터 조립체(10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커넥터 조립체(100''')는 제 1 커넥터(200), 연결 커넥터(300), 제 2 커넥터(400), 전도성 러버(910) 및 전도성 탄성체(1110)를 구비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100''')의 제 1 커넥터(200), 연결 커넥터(300) 및 제 2 커넥터(400)는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제 1 커넥터(200), 연결 커넥터(300) 및 제 2 커넥터(40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또한, 커넥터 조립체(100''')의 전도성 러버(910)는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설명한 전도성 러버(910)와 동일하고, 커넥터 조립체(100''')의 전도성 탄성체(1110)는 도 8 및 도 9의 전도성 탄성체(111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도 6 내지 도 9와 관련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 2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 2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의 제 2실시예를 보여주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101)는 크게 제 1커넥터(500)와, 연결 커넥터(30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커넥터(500)는 제 1 대상물에 고정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커넥터(500)는 제 1몸체(510)와, 제 1신호핀(570)과, 신호 라인(51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몸체(510)의 일측에는 제 1결합홈(5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결합홈(520)은 외측으로 점직적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신호핀(570)은 상기 제 1 몸체(510)의 내부에 삽입되고 끝단이 상기 제 1 결합홈(520)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몸체(510)와 절연되어 형성된다.
상기 신호 라인(512)은 상기 제 1몸체(510)의 측부 또는 하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신호 라인(512)은 상기 제 1신호핀(5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신호 라인(512)은 동축 케이블과 같은 구성일 수 있고, 이는 상기 제 1몸체(510)와 직각 또는 직선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상기 제 1몸체(510)와 상기 신호 라인(512)은 'L' 또는 'I'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제 2실시예를 따르는 제 1커넥터(500)의 제 1 몸체(510)는 상기 제 1 결합홈(520)의 내주면 중 상기 연결몸체(3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내주면이 구배(grade)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결합홈(520)의 테이퍼진 면에는 제 1결합홈(5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51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 커넥터(300)는 일단이 상기 제 1 결합홈(520)에 결합되어 상기 제 1몸체(5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몸체(310)와, 상기 연결몸체(3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결합홈(520) 상에서 상기 제 1신호핀(570)과 접촉하여 상기 제 1신호핀(5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몸체(310)와 절연되는 연결도체(3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커넥터(300)의 구성은 제 1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커넥터(300)의 연결몸체(310)는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몸체(51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 1접촉부(3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515)은 상기 연결몸체(310)가 상기 제 1 커넥터(500)와 분리되지 않도록 제 1결합홈(520)의 테이퍼진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 접촉부(315)가 걸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커넥터(500)의 상기 제 1몸체(510)의 하단에는, 체결 몸체(51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 몸체(511)의 고정부에는 상기 제 1대상물에서의 고정을 위해 고정체(B)가 결합되는 고정홀(H)이 형성된다. 실시예로 고정부는 상기 체결 몸체(511) 양단 끝부분이 연장되어 상기 제1 대상물과의 고정을 위해 볼트가 결합되는 스크류홀 또는 리벳이 결합되는 리벳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몸체(511)의 측부 또는 하부에는 상기 신호 라인(512)이 연결되어 상기 신호 라인(512)과 상기 제 1몸체(510)가 'L' 또는 'I' 형상으로 직각 또는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 한편, 상기 연결 몸체(310)의 타단인 상단에는 제 2커넥터(4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커넥터(400)는 제 2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고정된다. 실시예로 제2 대상물은 기판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커넥터(400)의 구성과 연결 몸체와의 결합 구성은 제 1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명기하여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2커넥터(400)의 제 2결합홈(420)은 제 1결합홈(520)과 같이 테이퍼진 내주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커넥터(400)의 상기 테이퍼진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걸림턱(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커넥터(500)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515)이 형성됨으로 인해, 제 1커넥터(500)는 연결 몸체(31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연결 몸체(310)의 하단과의 결합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515)에 있어서의 작용은 제 1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커넥터(500)의 제 1결합홈(520) 내주면에는 제 1실시예에서 언급한 전도성 러버(910)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2커넥터(400)에는 전도성 탄성체(1110)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도성 러버(910) 및 전도성 탄성체(1110)의 설치로 인한 작용은 제 1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되는 오정렬을 보상하면서 제 1,2대상물을 연결하는 방식은, 제 1실시예의 도 5에서 오정렬을 보상하면서 대상물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일 측에 제 1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 1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끝단이 상기 제 1 결합홈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몸체와 절연되어 있는 제 1 신호핀을 구비하고, 제 1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및
    일단이 상기 제 1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결합홈 상에서 상기 제 1 신호핀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신호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몸체와 절연되는 연결도체를 갖는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1 결합홈의 내주면 중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내주면의 직경이 상기 연결몸체가 상기 제1 커넥터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구배(grade)되고,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제1 커넥터에 삽입될 때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이 상기 제1 결합홈의 내주면의 구배에 의하여 압축되어 결합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연결몸체의 압축된 외주면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 결합홈의 내주면의 구배를 따라서 압축이 풀릴 때까지 상기 연결몸체가 상기 제1 커넥터에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텍터 조립체.
  2. 일 측에 제 1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끝단이 상기 제 1 결합홈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몸체와 절연되어 있는 제 1 신호핀과, 상기 제 1몸체에서 직각 또는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신호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라인을 구비하고, 제 1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및
    일단이 상기 제 1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결합홈 상에서 상기 제 1 신호핀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신호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몸체와 절연되는 연결도체를 갖는 연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제 1 결합홈의 내주면 중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내주면의 직경이 상기 연결몸체가 상기 제1 커넥터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감소하도록 구배(grade)되고,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제1 커넥터에 삽입될 때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이 상기 제1 결합홈의 내주면의 구배에 의하여 압축되어 결합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연결몸체의 압축된 외주면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1 결합홈의 내주면의 구배를 따라서 압축이 풀릴 때까지 상기 연결몸체가 상기 제1 커넥터에 삽입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텍터 조립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는,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 1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몸체는, 상기 연결몸체가 상기 제 1 커넥터와 분리되지 않도록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 접촉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몸체의 타단에는, 제 2커넥터가 연결되되,
    상기 제 2커넥터는
    일측에 제 2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 2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끝단이 상기 제 2 결합홈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몸체와 절연되어 있는 제 2 신호핀을 구비하여 제 2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 몸체의 타단은 상기 제 2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 도체는 상기 제 2 결합홈 상에서 상기 제 2 신호핀과 접촉하여 상기 제 2 신호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는,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2 몸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 2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와 상기 제 2 접촉부는,
    외주면이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신호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대상물의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 1 신호핀과 상기 제 1 대상물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 1 몸체를 절연시키는 제 1 절연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2 몸체와 상기 제 2 신호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대상물의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 2 신호핀과 상기 제 2 대상물의 접지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 2 몸체를 절연시키는 제 2 절연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 커넥터는,
    상기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도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몸체와 상기 연결도체를 절연시키는 연결절연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체는,
    양 끝단에 연결홈이 형성되고, 일 끝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에 상기 제 1 신호핀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 끝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홈에 상기 제 2 신호핀이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신호핀 및 상기 제 2 신호핀은,
    상기 연결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원형의 구형태를 가지고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는,
    끝단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내주면과 외주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제 1 커넥터에서 상기 제 2 커넥터 방향으로 상기 연결몸체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연결몸체에 탄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 결합홈에 삽입되는 전도성 탄성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탄성체는,
    링 형상으로 상기 연결몸체의 끝단과 상기 제 2 몸체 사이에 탄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누설되는 RF 신호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러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4.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제 1 결합홈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위치하여 누설되는 RF 신호를 차단하는 제 1 전도성 러버; 및
    상기 제 2 결합홈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 사이의 위치하여 누설되는 RF 신호를 차단하는 제 2 전도성 러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제 1 커넥터에서 상기 제 2 커넥터 방향으로 상기 연결몸체가 가압되는 경우 상기 연결몸체에 탄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 2 결합홈에 삽입되는 전도성 탄성체; 및
    상기 연결몸체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누설되는 RF 신호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러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커넥터의 상기 제 1몸체의 하단에는, 체결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몸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제 1대상물에서의 고정을 위해 볼트가 결합되는 스크류홀이 형성되거나, 상기 제1 대상물에서의 고정을 위해 리벳이 결합되는 리벳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몸체의 측부에는, 상기 신호 라인이 연결되어 상기 신호 라인과 상기 제 1몸체가 'L' 형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체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신호 라인이 연결되어 상기 신호 라인과 상기 제1 몸체가 'I' 형상으로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30015771A 2012-04-05 2013-02-14 커넥터 조립체 KR101311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120080.XA CN103367979B (zh) 2012-04-05 2013-04-08 连接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475 2012-04-05
KR20120035475 2012-04-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724B1 true KR101311724B1 (ko) 2013-09-26

Family

ID=4945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771A KR101311724B1 (ko) 2012-04-05 2013-02-14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7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03B1 (ko) 2013-11-29 2015-03-20 주식회사 아이비기술 핀 블록 오토 얼라인 장치
KR101779454B1 (ko) * 2017-03-15 2017-09-18 주식회사 기가레인 연결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메이팅 커넥터
WO2020185816A1 (en) * 2019-03-11 2020-09-17 Samtec, Inc. Impedance controlled electrical contact
KR20220040742A (ko) * 2020-09-24 2022-03-31 커넥서스원(주)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496373B1 (ko) 2021-09-24 2023-02-06 주식회사 기가레인 고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EP4156418A2 (en) 2021-09-24 2023-03-29 GigaLane Co., Ltd. Fix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2415A (ja) * 2005-08-03 2007-02-15 D D K Ltd 同軸コネクタ
JP2007115694A (ja) * 2005-10-20 2007-05-10 Thomas & Betts Internatl Inc 準備工程が不要な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KR101060341B1 (ko) * 2002-08-22 2011-08-29 코닝 길버트 인코포레이티드 동축 전송 매체 커넥터, 및 동축 전송 매체 어셈블리 조립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341B1 (ko) * 2002-08-22 2011-08-29 코닝 길버트 인코포레이티드 동축 전송 매체 커넥터, 및 동축 전송 매체 어셈블리 조립 방법
JP2007042415A (ja) * 2005-08-03 2007-02-15 D D K Ltd 同軸コネクタ
JP2007115694A (ja) * 2005-10-20 2007-05-10 Thomas & Betts Internatl Inc 準備工程が不要な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03B1 (ko) 2013-11-29 2015-03-20 주식회사 아이비기술 핀 블록 오토 얼라인 장치
KR101779454B1 (ko) * 2017-03-15 2017-09-18 주식회사 기가레인 연결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메이팅 커넥터
US10276949B2 (en) 2017-03-15 2019-04-30 Gigalane Co., Ltd. Connector and blind mating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WO2020185816A1 (en) * 2019-03-11 2020-09-17 Samtec, Inc. Impedance controlled electrical contact
KR20220040742A (ko) * 2020-09-24 2022-03-31 커넥서스원(주)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496387B1 (ko) 2020-09-24 2023-02-06 커넥서스원(주) 커넥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496373B1 (ko) 2021-09-24 2023-02-06 주식회사 기가레인 고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EP4156418A2 (en) 2021-09-24 2023-03-29 GigaLane Co., Ltd. Fix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724B1 (ko) 커넥터 조립체
US11239616B2 (en) Coaxial connector
US10181692B2 (en) Coaxial connector with translating grounding collar for establishing a ground path with a mating connector
US7264479B1 (en) Coaxial cable magnetic connector
US20090215288A1 (en) Connector
KR101162659B1 (ko) 동축 케이블 결합 커넥터
US11056807B2 (en) Float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US9203196B2 (en) Electrical coaxial connector
KR101408249B1 (ko)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US20170098898A1 (en) Connector Arrangement
US20170149156A1 (en) Radio frequency connector and assembly having micro-via radial interconnect
KR20200001612U (ko) 연결 단자, 커넥터, 및 카메라 조립체
WO2009061022A1 (en) Connector capable of coupling to printed circuit board
US20210190820A1 (en) Electrical connection socket
KR101922142B1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KR101230978B1 (ko) 결합위치 보상용 커넥터
KR101212716B1 (ko) 동축 커넥터
CN103367979B (zh) 连接器组件
US20200274296A1 (en) Anti-misplug coaxial connector assembly
US20110318971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nti-mismatching mating connectors
US9281640B2 (en) Connector
KR102309404B1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US11611178B2 (en) Electrical connector capable of EMI shielding
KR200409217Y1 (ko) 고주파용 동축 케이블 커넥터
US9559552B2 (en) Coaxial cable and connector with capacitive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