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712Y1 - 배관용 연결관 - Google Patents

배관용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712Y1
KR200408712Y1 KR2020050029916U KR20050029916U KR200408712Y1 KR 200408712 Y1 KR200408712 Y1 KR 200408712Y1 KR 2020050029916 U KR2020050029916 U KR 2020050029916U KR 20050029916 U KR20050029916 U KR 20050029916U KR 200408712 Y1 KR200408712 Y1 KR 200408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ain
main tube
pipes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금진
Original Assignee
전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금진 filed Critical 전금진
Priority to KR2020050029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7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7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중에 매설되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상/하수관을 위치에 상관없이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관용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수관을 자유롭게 원하는 각도록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이웃한 상/하수관의 축중심이 서로 어긋나게 위치될 경우에도 연결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배관용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의 메인관(100)과; 일단부가 상기 메인관(10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타단부가 메인관(100)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메인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 및 전방위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링홈(260)이 형성된 한 쌍의 제1,2접속관(200,230)과; 상기 링홈(260)에 그 외측이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메인관(100)과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링형상의 패킹(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연결관이 제공된다.
메인관, 접속관, 링홈, 오목홈, 삽입돌기, 패킹

Description

배관용 연결관{piping connector}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관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관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메인관 190. 삽입돌기
200, 제1접속관 230. 제2접속관
260. 링홈 290. 오목홈
300. 패킹
본 고안은 배관용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상/하수관을 위치에 상관없이 연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배관용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 또는 우수를 정화시켜서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기 위해 지중에 매설되는 관을 하수관이라하고, 정수사업소에서 정화된 물을 각 가정 등으로 보내기 위해 지중에 매설되는 관을 상수관이라 칭한다.
이러한 상하수관(이하, ‘배관’이라 칭함)은 종래에 주로 콘크리트관을 사용하였으나, 시공성이 떨어져 근래들어서는 시공성이 우수한 PVC,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배관을 연결관으로 다수 연결 매설시공 하였으며, 배관을 소정각도로 틀어지게 연결할 경우에는 엘보우(L자형 관) 등의 연결관을 사용하여 상/하수관을 연결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엘보우 등의 정해진 각도로 절곡된 형태로 된 연결관으로만 배관을 연결하게 되면, 상기 연결관을 정해진 각도로만 상/하수관을 매설하여야 하는 등의 시공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 쌍의 접속관체가 서로 사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연결관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사방 회동식 연결관은 서로 이웃한 상/하수관의 축중심이 서로 동일 평면상에 잊지 않고 어긋난 위치에 위치될 경우 연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중에 매설되는 상/하수관을 자유롭게 원하는 각도록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이웃한 상/하수관의 축중심이 서로 어긋나게 위치될 경우에도 연결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배관용 연결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형의 메인관과; 외경이 상이 메인관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메인관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타단부가 메인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메인관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 및 전방위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링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2접속관과; 상기 링홈에 그 외측이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메인관과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링형상의 패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연결관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원형의 메인관과; 내경이 상기 메인관의 외 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메인관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타단부에 메인관의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 메인관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 및 전방위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 내주면에는 외측으로 오목한 링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2접속관과; 상기 링홈에 그 내측이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메인관과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링형상의 패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연결관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연결관(10)은 메인관(100)과, 상기 메인관(100)의 양측에 일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각각 삽입되는 제1,2접속관(200,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관(100)은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재로 원형관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메인관(100)의 양단부에는 서로 대칭되게 내향 돌출된 단면‘
Figure 112005059559833-utm00001
’자 형상의 삽입돌기(190)가 둘레부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돌기(190)는 메인관(100)의 양단부에서 직각으로 내향 돌 출된 직각부(192)와 이 직각부(192)의 단부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메인관(100)의 외측으로 외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19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삽입돌기(190)가 후술할 제1,2접속관(200,230)에 형성된 오목홈(290)에 삽입되어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이 메인관(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제1,2접속관(200,230)이 메인관(100) 내부로 더이상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은 상기 메인관(100)의 양측에 각각 삽입 결합되어 상/하수관 등의 배관(2)을 연결관(10)에 접속/연결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관(100)과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재로 원형관 형태로 성형하되, 그 외경이 상기 메인관(10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일단부가 상기 메인관(10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타단부가 메인관(100)의 양측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의 외경이 메인관(10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이 메인관(100)에서 길이 방향으로 위치 이동 가능함은 물론 전방위로 소정각도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이 메인관(100)에서 방사방향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어연결하기 위한 배관(2)의 축중심이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아도 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2접속관(200,230)의 타단부는 즉, 서로 이웃하는 타단부는 각각 단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각각의 접속관(200,230)의 타단부 외주면에 둘레부를 따라 ‘∨’자 형상의 링홈(26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링홈(260)에는 제1,2접속관(200,230)과 메인관(1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고무나 실리콘 등의 플렉시블한 재질로 된 링형상의 패킹(300)이 고정 결합된다. 상기 패킹(300)은 단면 원형으로 형성되되 제1,2접속관(200,230) 타단부 일측 둘레부가 메인관(100)의 내벽면에 접촉되더라도 접촉되지 않는 반대방향으로 기밀이 누설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와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이 메인관(100)에서 어느 일측으로 회동되거나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의 축중심이 서로 동일평면상에 없어도 제1,2접속관(200,230)과 메인관(1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접속관(200,230) 중앙의 외주면 둘레부에는, 즉, 상기 링홈(260)측 외주면 둘레부에는 제1,2접속관(200,23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내측으로 오목한 링형상의 오목홈(29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오목홈(290)은 그 깊이보다 폭의 길이가 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오목홈(290)에 메인관(100)의 삽입돌기(190)가 삽입되어,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이 메인관(1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메인관(100)에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의 타단이 어느정도 삽입되면 더이상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목홈(290)의 직경은 상기 삽입돌기(19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이 메인관(100)에 전방위로 소정각도 회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메인관(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의 일단부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관되는 경사부(270)가 마련되어, 상기 경사부(270)에 의해 배관(2)을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의 일단부에 용이하게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배관용 연결관(10)은 메인관(100)과 이 메인관(100)의 내경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관(100)의 양측에 일단부가 메인관(10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삽입 결합되며 패킹(300)에 의해 메인관(100)의 기밀을 유지하는 한 쌍의 제1,2접속관(200,230)으로 이루어지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이 메인관(100)에서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 및 전방위로 소정각도 회동될 수 있어, 서로 이웃하는 배관(2)이 소정각도로 틀어질 경우에도 이를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이 메인관(100)에서 축중심을 서로 다른 평면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상/하수관 등의 배관(2)을 지중에 매설시 서로 이웃하는 배관(2)의 축중심이 서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지 않을 경우에도 이웃하는 배관(2)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시예 2>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첩되는 작동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제1,2접속관(200a,230a)의 타단부가 메인관(100a)의 양측을 감싸는 것으로, 즉, 메인관(100a)의 양측이 제1,2접속관(200a,230a)의 타단부 내측에 삽입되도록 메인관(100a)의 외경이 제1,2접속관(200a,230a)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며, 삽입돌기(190a)가 제1실시예와 반대 방향인 메인관(100a)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링홈(260a) 및 오목홈(290a)도 제1실시예와 반대로 제1,2접속관(200a,230a)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1,2접속관(200a,230a) 일단부의 경사부(270a)는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배관(2)을 제1,2접속관(200a,230a)의 일단부 외주면에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패킹(300a)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2접속관(200a,230a)이 메인관(100)에서 어느 일측으로 회동되거나 상기 제1,2접속관(200,230)의 축중심이 서로 동일평면상에 있지않고 서로 어긋나 있어도 제1,2접속관(200,230)과 메인관(10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직경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배관용 연결관은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의 양측에 일단부가 메인관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가 결합되며 패킹에 의해 메인관의 기밀을 유지하는 한 쌍의 제1,2접속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접속관이 메인관에서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 및 전방위로 소정각도 회동될 수 있어, 서로 이웃하는 배관이 소정각도로 틀어질 경우에도 이를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제1,2접속관이 메인관에서 축중심을 서로 다른 평면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지중에 매설 안착된 서로 이웃한 배관의 축중심이 서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지 않 을 경우에도 이웃하는 배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목적, 구성,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원형의 메인관(100)과;
    외경이 상기 메인관(10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메인관(10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타단부가 메인관(100)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메인관(10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 및 전방위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링홈(260)이 형성된 한 쌍의 제1,2접속관(200,230)과;
    상기 링홈(260)에 그 외측이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메인관(100)과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링형상의 패킹(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연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접속관(200,230) 중앙의 외주면에는 링형상의 오목홈(290)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100)의 양단부에는 상기 오목홈(290)에 삽입되도록 내향 돌출된 삽입돌기(19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연결관.
  3. 원형의 메인관(100a)과;
    내경이 상기 메인관(100a)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메인관(100a)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타단부에 메인관(100a)의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 메인관(100a)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 및 전방위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부 내주면에는 외측으로 오목한 링홈(260a)이 형성된 한 쌍의 제1,2접속관(200a,230a)과;
    상기 링홈(260a)에 그 내측이 돌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메인관(100a)과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링형상의 패킹(300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연결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접속관(200a,230a) 중앙의 내주면에는 링형상의 오목홈(290a)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관(100a)의 양단부에는 상기 오목홈(290)에 삽입되도록 외향 돌출된 삽입돌기(19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연결관.
KR2020050029916U 2005-10-21 2005-10-21 배관용 연결관 KR200408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916U KR200408712Y1 (ko) 2005-10-21 2005-10-21 배관용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916U KR200408712Y1 (ko) 2005-10-21 2005-10-21 배관용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712Y1 true KR200408712Y1 (ko) 2006-02-13

Family

ID=4175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916U KR200408712Y1 (ko) 2005-10-21 2005-10-21 배관용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7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559B1 (ko) * 2019-07-22 2020-02-13 (주)동명전기 지중 배전선로의 지하수 유입 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559B1 (ko) * 2019-07-22 2020-02-13 (주)동명전기 지중 배전선로의 지하수 유입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304B1 (ko) 합성수지제 파형관
KR100540816B1 (ko) 수지제파형관
KR200408712Y1 (ko) 배관용 연결관
US7104574B2 (en) Corrugated pipe connection joint
JPH07145889A (ja) 自在継手の構造
KR100426405B1 (ko) 배수로관연결장치
JP2002323179A (ja) 管継手
JP3701909B2 (ja) コルゲートパイプアダプタ及び結合システム
JP2001248774A (ja) リブ付管継手
WO2002040910A1 (en) Sewer pipe coupling
KR20170003104U (ko) 하수관거
KR101086666B1 (ko) 이중벽관의 원터치 연결구조
CN212804628U (zh) 一种双壁波纹管
CN217653441U (zh) 一种活动式直壁卡扣接头
JP4979652B2 (ja) リブ付管のゴム輪接合部の接続方法、リブ付管および下水管路
CN218326824U (zh) 带承插口的检查井
KR100236836B1 (ko) 맨홀용 연결관
CN210424015U (zh) 一种内衬软管的混凝土管道
CN210141400U (zh) 多密封锁扣承插接口
KR200211155Y1 (ko)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KR200184262Y1 (ko) 나선형 관 밀폐용 패킹
JPH0336629Y2 (ko)
CN112628468A (zh) 一种用于顶管上的密封结构
JP7032171B2 (ja) 帯状部材及び既設管の更生方法
KR200228343Y1 (ko) 배수관용 패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