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585Y1 - 전기박스의 밀폐커버 - Google Patents

전기박스의 밀폐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585Y1
KR200408585Y1 KR2020050031549U KR20050031549U KR200408585Y1 KR 200408585 Y1 KR200408585 Y1 KR 200408585Y1 KR 2020050031549 U KR2020050031549 U KR 2020050031549U KR 20050031549 U KR20050031549 U KR 20050031549U KR 200408585 Y1 KR200408585 Y1 KR 2004085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groove
cover
packing groove
electric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텍
유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텍, 유인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텍
Priority to KR2020050031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5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5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3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 H02G3/12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with supporting means for mounting on a single wall stu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박스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밀폐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커버의 둘레에 수밀구조를 부가하여 시공시 밀폐커버와 전기박스의 틈새로 콘크리트액이 침투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전기박스의 밀폐커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은, 전기박스(10)의 본체(12)에 탄력적으로 출몰되는 이동몸체(20)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밀폐커버(30)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30)는 일측에 상기 이동몸체(20)의 선단부에 밀착되는 플랜지부(31)와, 상기 이동몸체(20)의 선단부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32)와, 상기 삽입부(32) 측면 둘레에 패킹홈(33) 및 상기 패킹홈(33)에 장착되는 패킹(40)으로 구성하되, 상기 패킹홈(33)은 개구부(34)의 폭을 상기 패킹의 외경 지름보다 협소하게 형성한 것이며, 상기 패킹(40)은 상기 패킹홈(33)과 같은 길이를 가지면서 그 양단이 서로 동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단면(42a,42b)을 가져, 상기 패킹(40)을 패킹홈(33)에 감아 끼움과 동시에 그 양단의 경사단면(42a,42b)은 서로 면접되도록 장착한 것을 특징을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이동몸체의 선단부에 끼워지는 밀폐커버의 삽입부 둘레에 패킹홈을 형성하고 이에 패킹을 개재함에 따라 상기 이동몸체와 밀폐커버의 사이에 틈새가 허용오차 범위를 크게 벗어나더라도 충분히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기박스의 시공시 콘크리트액이 밀폐커버와 이동몸체간의 틈새로 유입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패킹홈의 개구부 넓이가 패킹의 외경보다 좁아 패킹이 안정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고, 패킹을 패킹홈의 길이로 절단하여 패킹홈을 따라 삽입부 둘레로 감아끼우므로 패킹의 장착이 매우 신속 간편한 장점이 있으며, 패킹의 양단부를 경사지게 절단하여 그 경사단면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밀착시켜 장착함으로 패킹의 양단이 절단된 구조이면서도 수밀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기박스, 보양커버, 밀폐커버, 패킹, 패킹홈

Description

전기박스의 밀폐커버{Cover Of Outlet Box}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박스 밀폐커버의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기박스 밀폐커버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밀폐커버의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밀폐커버에 패킹이 결합된 상태의 전기박스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밀폐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전기박스 시공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밀폐커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기박스 12 - 본체 14 - 개구부선단
16 - 걸림턱 20 - 이동몸체 22 - 슬라이딩홈
24 - 발포수지 26 - 걸림편 27 - 걸림홈
30 - 밀폐커버 31 - 플랜지부 32 - 삽입부
33 - 패킹홈 34 - 개구부 35 - 홈벽
36 - 분리홈 37 - 살빼기홈 38 - 보강살
39 - 걸림편 40 - 패킹 42a,42b - 경사단면
본 고안은 전기박스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밀폐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커버의 둘레에 수밀구조를 부가하여 시공시 밀폐커버와 전기박스의 틈새로 콘크리트액이 침투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전기박스의 밀폐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에 조명등의 ON/OFF 스위치나 콘센트 등의 설치를 위해 건물의 벽체의 시공시 전기박스를 설치한다. 전기박스의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발생되는 철근의 위치변동 및 시공 오차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전기박스가 거푸집면에 밀착되지 못하게 되고 그로인해 전기박스가 벽체에 묻혀 결국 거푸집의 제거 후 전기박스를 찾기위해 벽체의 일부를 깨어내야 하는 불필요한 작업이 수반되는 폐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기박스의 개구부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성향을 갖도록 한 간격자동조절 박스가 개발되었다. 그렇지만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전기박스는 수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패킹을 부가하여야 함에 따라 불필요한 수작업공정이 추가됨은 물론이고 인건비 상승 및 제품가격의 상승과 생산성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 뿐만 아니라 수밀성을 위해 부가된 고무재질의 패킹이 마찰계수가 높아 오히려 이동몸체의 이동성을 급격히 저하시키게 되어 패킹의 접촉부위에 식용유와 같은 윤활유를 발라 조립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는 또 윤활유와 플라스틱 재질의 전기박스가 화학반응으로 인해 전기박스가 깨어지는 등의 불량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개선을 위해 본 출원인은 이동몸체에 슬라이딩홈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의 선단이 삽입되어 출몰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딩홈 내에 발포수지를 장착하여 상기 발포수지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와의 밀착력을 높임과 동시에 이동몸체의 탄력 이동에 필요한 탄성력을 동시에 갖도록 함으로써 탄성력과 수밀성을 동시에 해결하도록 한 전기박를 개발하여 널리 보급하고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개선된 전기박스는 구조가 단순하여 최소한의 조립공수를 가짐에 따라 제품의 단가가 낮아지고 또 발포수지의 수밀기능에 의해 시공시 전기박스의 내부에 콘크리트액의 침투를 효율적으로 방지하고 거푸집제거 후 이동몸체의 전면이 벽면에 깨끗하게 노출되므로 전기박스 내부에 침투된 콘크리트의 제거를 위한 별도의 후작업이 필요없는 등 시공이 신속 간편하여 시공비가 크게 절감되므로 업계에서는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사실상 현재의 전기박스는 가격에 비하여 기능적완성도가 더이상의 기술개발이 필요없는 완벽성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을 정도이다.
그렇지만 좀더 완벽성을 기하기 위해 좀더 세부적인 부분까지 조명하여 약간의 개선점이라도 찾아 그에 대한 해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전기박스(1)의 시공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에 탄력돌출성향을 갖도록 결합된 이동몸체(3)의 개구부(4)에 밀폐커버(5)(일명 보양커버라 함)를 닫아 개구(4)부를 통해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데,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거푸집을 제거한 후 노출된 이동커버(3)의 전면에 닫혀져 있는 밀폐커버(5)를 분리해보면 밀폐커버(5)의 삽입부(6) 측면과 이동커버(3)의 내측면 사이에 약간의 콘크리트액이 침투된 흔적을 찾을 수가 있어 전기박스(1)의 완벽성에 작은 흠결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이동몸체의 개구부 넓이가 이에 끼워지는 밀폐커버의 삽입부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으로, 그 원인은 커버와 이동몸체가 각각 별도의 금형에서 만들어지므로 그 제조공정마다 각각 다르게 주어지는 조건의 변수들에 의해 실제 제조되는 부품간에는 설계치수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낳게 된다.
상기 변수로 작용하는 요인은 예를들어 혼합된 합성수지의 배합비와 관련한 재질의 차이, 사출온도 및 압력, 제품이 금형으로부터 머무르는 시간 등 다양한 변수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변수들에 의해 결과적으로 밀폐커버의 삽입부(6)의 넓이가 이동몸체(3)의 개구부(4) 넓이보다 너무 작아 그 틈새가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기박스 본체에 탄력적으로 출몰되는 이동몸체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밀폐커버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는 이동몸체의 개구부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삽입부 측면에 패킹홈을 형성하고, 상기 패킹홈에 패킹을 끼워 구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전기박스 밀폐커버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밀폐커버의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밀폐커버에 패킹이 결합된 상태의 전기박스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밀폐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전기박스 시공상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의하면, 전기박스(10)는 본체(12)와 이동몸체(20) 그리고 밀폐커버(3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2)와 이동몸체(20)의 결합은 도 3에서와 같이 이동몸체(20)의 일측에 슬라이딩홈(22)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발포수지(24)를 내장한 후 상기 슬라이딩홈(22)에 본체(12)의 개구부선단(14)을 끼워 상기 발포수지(24)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성향을 갖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본체(12)와 대응되는 이동몸체(20)의 단부에 도 2에서와 같이 걸림편(26)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본체(12)의 내벽면에는 상기 걸림편(26)이 걸림되는 걸림턱(16)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몸체(20)가 일정거리내에서만 출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박스(10)의 이동몸체(20) 선단부에는 본 고안의 밀폐커버(3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밀폐커버(30)는, 이동몸체(20)의 선단부에 밀착되는 플랜지부(31)와, 상기 이동몸체(20)의 선단부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32)와, 상기 삽입부(32) 측면 둘레에 패킹홈(33) 및, 상기 패킹홈(33)에 끼워지는 원형 단면의 패킹(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패킹홈(33)의 내경과 패킹(40)의 외경은 같은 넓이를 갖거나 상기 패킹(40)의 외경이 약간 큰 구조를 갖도록 하여 상기 패킹(40)이 패킹홈(33)에 압박을 받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홈(33)의 개구부(34)의 폭을 지름보다 협소하게 형성되어 상기 패킹(40)이 끼워질 때에는 상기 패킹홈(33)의 개구부(34) 넓이만큼 탄력수축되어야만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때문에 패킹(40)이 패킹홈(33)에 일단 끼워지면 강제로 힘을 가하여 분리시키지 않는 한 그 결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패킹(40)이 패킹홈(33)에 결합되면 패킹(40)의 몸체 일부가 패킹홈(33)의 개구부(34) 외부로 일정두께 돌출되게 되어 있다. 그 돌출두께는 밀폐커버(30) 삽입부(32)의 크기 변화가 허용오차 범위를 크게 벗어나게 변형되었다 하더라도 삽입부(32)와 이동몸체(20)의 내벽면 간에 형성되는 틈새를 차단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이다. 다시말하면 패킹홈(33)에 결합된 패킹(40)의 최대 외각 넓이는 이동몸체(20)의 선단부 내측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밀폐커버(30)를 이동몸체(20)의 선단부에 끼워 닫게 되면 삽입부(32)와 이동몸체(20)의 내측면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상기 패킹(40)이 수축하면서 도 5와 같이 채워지기 때문에 콘크리트액의 침투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수밀성을 갖게 된다.
또한 패킹(40)의 형상에 있어서, 대부분의 패킹(40)은 단부가 없는 폐쇠된 링형태의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나, 조립작업시 패킹(40)을 삽입부(32)의 넓이보다 넓게 신장시켜야만 조립이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힘이들고 조립시간이 지체되 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문에 패킹(40)을 패킹홈(33)에 끼우는 조립 작업의 효율성을 위해 상기 패킹(40)을 양단이 있는 길이재로 형성하는 타입으로 설계하여 해소하였다.
즉, 패킹(40)을 상기 패킹홈(33)의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패킹홈(33)에 조립시 일단을 임의의 위치부터 삽입시킨 후 삽입부(32) 둘레의 패킹홈(33)을 따라 감아 돌려 패킹(40)의 양단이 맞대응되도록 조립한다. 이때 양단이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단하게 되면 그 절단부에 틈새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길이방향과 경사지게 절단하여 경사단면(42a,42b)을 갖도록 하며, 그 경사단면(42a,42b) 방향은 동일한 방향을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패킹(40)이 패킹홈(33)에 끼워지게 되면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홈(33)내에서 수축하면서 양 경사단면(42a,42b)이 밀착되어 틈새가 차단 되므로 수밀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패킹(40) 및 패킹홈(33)의 구조에 의해 밀폐커버(30)가 이동커버의 내부에 억지끼움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후술되는 걸림편(39)과 걸림홈(27) 없이도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에 표시된 참조부호 38은 삽입부(32)의 반대측면에 살빼기 홈(37)을 형성하면서 외력에 의한 휨 또는 수축과 같은 형상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한 보강살이다. 그리고 밀폐커버(30)의 양측에는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편(39)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이동몸체(20)의 내벽에는 상기 걸림편(39)이 걸림되는 걸림홈(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편(39)과 걸림홈(27)에 의해 상기 밀폐커버 (30)는 강제로 분리시키지 않는 한 이동몸체(20)에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 고안의 밀폐커버(3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양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한 벌의 금형이 필요하고, 이에 더하여 상기 패킹홈(33)을 형성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사이드금형이 더 필요하게 되므로 금형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또 이러한 단점은 제품의 생산성에도 큰 장애물로 작용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이드금형 없이도 밀폐커버(30)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밀폐커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커버(30)에 있어서, 상기 패킹홈(33)을 이루는 양측 홈벽(35) 중 상기 플랜지부(31)와 반대측에 위치한 홈벽(35)부 둘레에 상기 패킹홈(33) 깊이의 분리홈(36)을 복수개 형성하였다.
상기 분리홈(36)은 제조금형의 이형시 상기 홈벽(35)이 이형방향으로 휘어져 금형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성위치는 삽입부(32)의 형상에 따라 급격한 각이나 굴곡을 갖는 부위로 형성형성다. 즉 금형의 이형시 홈벽(35)이휘어져 금형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밀폐커버(30)의 재질은 금형이 이형될 때 휘어졌다가 다시 복원이 가능한 유연탄력성을 가진 재질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상기 분리홈(36)은 그 갯수가 많을 수록 금형의 분리가 용이해지지만 대체 로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부(32)의 형상에 따라 그 측면의 방향이 급격하게 바뀌는 지점에 설치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각형의 모서리부에 분리홈(36)을 두며 원형이나 호의 구조에서는 분리홈(36)의 간격을 좁게하여 형성한다.
이 구조에 의해 금형을 형합시킨 상태에서 고압으로 사출한 성형한 후 이형시킬 때에는 두 금형을 단순히 양측방향으로 분리시키면, 상기 패킹홈(33)을 이루는 일측 홈벽(35)이 상기 분리홈(36)을 경계로 각각 이형방향으로 휘어지게 되어 언더컷 없이 용이하게 이형되게 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동몸체의 선단부에 끼워지는 밀폐커버의 삽입부 둘레에 패킹홈을 형성하고 이에 패킹을 개재함에 따라 상기 이동몸체와 밀폐커버의 사이에 틈새가 허용오차 범위를 크게 벗어나더라도 충분히 수밀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기박스의 시공시 콘크리트액이 밀폐커버와 이동몸체간의 틈새로 유입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패킹홈의 개구부 넓이가 패킹의 외경보다 좁아 패킹이 안정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고, 패킹을 패킹홈의 길이로 절단하여 패킹홈을 따라 삽입부 둘레로 감아끼우므로 패킹의 장착이 매우 신속 간편한 장점이 있으며, 패킹의 양단부를 경사지게 절단하여 그 경사단면이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밀착시켜 장착함으로 패킹의 양단이 절단된 구조이면서도 수밀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전기박스(10)의 본체(12)에 탄력적으로 출몰되는 이동몸체(20)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밀폐커버(30)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30)는 일측에 상기 이동몸체(20)의 선단부에 밀착되는 플랜지부(31)와, 상기 이동몸체(20)의 선단부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32)와, 상기 삽입부(32) 측면 둘레에 패킹홈(33) 및 상기 패킹홈(33)에 장착되는 패킹(40)으로 구성하되, 상기 패킹홈(33)은 개구부(34)의 폭을 상기 패킹의 외경 지름보다 협소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박스의 밀폐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40)은 상기 패킹홈(33)과 같은 길이를 가지면서 그 양단이 서로 동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단면(42a,42b)을 가져, 상기 패킹(40)을 패킹홈(33)에 감아 끼움과 동시에 그 양단의 경사단면(42a,42b)은 서로 면접되도록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박스의 밀폐커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홈(33)을 이루는 홈벽(35) 중 상기 플랜지부(31)와 반대측 방향의 홈벽(35)에 삽입부(32)의 형상에 따라 급격한 각이나 굴곡을 갖는 부위로 패킹홈(33)을 형성하여 금형의 이형시 상기 홈벽(35)이 이형방향으로 휘어져 금형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박스의 밀폐커버.
KR2020050031549U 2005-11-07 2005-11-07 전기박스의 밀폐커버 KR2004085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549U KR200408585Y1 (ko) 2005-11-07 2005-11-07 전기박스의 밀폐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549U KR200408585Y1 (ko) 2005-11-07 2005-11-07 전기박스의 밀폐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585Y1 true KR200408585Y1 (ko) 2006-02-13

Family

ID=4175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549U KR200408585Y1 (ko) 2005-11-07 2005-11-07 전기박스의 밀폐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5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95B1 (ko) * 2015-09-30 2016-02-0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콘센트박스 설치방법
KR101594299B1 (ko) * 2015-09-30 2016-02-16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295B1 (ko) * 2015-09-30 2016-02-03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콘센트박스 설치방법
KR101594299B1 (ko) * 2015-09-30 2016-02-16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4508B2 (ja) コネクタ
KR200408585Y1 (ko) 전기박스의 밀폐커버
US20050236058A1 (en) Position adjusting spac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ng pipe using such
EP3220728B1 (en) Water-proof control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water-proof control unit
KR101831563B1 (ko) 굴절 수로관
KR102477305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거푸집용 철근연결구
KR2010009519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20150031841A (ko) 주름관 연결 기구
KR200396149Y1 (ko) V자 스프링 결합 아웃렛 박스
KR200390924Y1 (ko) 맨홀용 사다리
KR101859522B1 (ko)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
KR102319941B1 (ko) 거푸집 플랫타이 마감구 및 벽체 시공방법
KR200381082Y1 (ko) 옥내배선용 접속함 고정장치
CA2992781C (en) Trench drain connection interface
EP4253772A1 (en) Fixing assembly
KR200487781Y1 (ko) 산업용 기기의 하우징
JP4312370B2 (ja) 後付け止水リング
JP6815907B2 (ja) 溝蓋
JP2006125070A (ja) コンクリート製接合物の止水用接合部材
KR1024613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지수판
JP2011187377A (ja) コネクタ
JP7162921B2 (ja) 固定具およびグレーチングユニット
KR200271634Y1 (ko) 조립식 암거
KR200187688Y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WO2002037634A1 (en) Cable sea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