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522B1 -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 - Google Patents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522B1
KR101859522B1 KR1020170105339A KR20170105339A KR101859522B1 KR 101859522 B1 KR101859522 B1 KR 101859522B1 KR 1020170105339 A KR1020170105339 A KR 1020170105339A KR 20170105339 A KR20170105339 A KR 20170105339A KR 101859522 B1 KR101859522 B1 KR 101859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box
groove
elastic sealing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종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플러스 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플러스 건설 filed Critical (주)제이플러스 건설
Priority to KR1020170105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씨박스 간 접합부 수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 외측단부에 구성되는 지수재; 상기 접합부 내측단부에 구성되며 탄성재질의 탄성봉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Watertight joint structure for PC box}
본 발명은 피씨박스 접합부의 내측단부에 탄성봉함재가 게재되어 지수재 등의 내측단부로 노출됨에 따른 이물질의 침적 등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탄성거동에 의해 부등침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피씨박스 접합부의 변위발생에 대해서도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또는 지면 상부에 박스형태의 내부 공간이 제공되어 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용되어지는 상하수도, 전력구, 통신구 및 공동구(이하, "구조물"이라함) 등은 통상 현장타설방식이나 현장조립방식에 의하여 시공되어지고 있다.
현장타설방식은 구조물이 시공되어질 부분을 따라 절토나 굴토한 후 평탄화 작업을 거쳐 평탄화 된 부분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기초콘크리트 상부에 거푸집을 시공한 후 가로철근 및 세로철근으로 이루어진 보강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콘크리트가 양생되어진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것을 반복하여 구조물이 시공되어지게 된다. 현장타설방식을 통해 얻어진 구조물은 절토, 굴토, 기초콘트리트, 거푸집, 보강철근, 콘크리트, 양생 및 거푸집 제거 등의 공정이 소요됨에 따라 작업공기와 더불어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장조립방식은 설계치수대로 제조공장에서 제조되어진 피씨박스를 현장으로 운반하여 굴토 및 평탄화 된 부분에 그대로 피씨박스를 안착시킨 후 안착된 피씨박스에 다른 피씨박스가 맞대어지게 바닥에 안치시키고, 맞대어진 부분에 모르타르 및 수팽창지수재가 삽입되는 것을 반복하여 구조물이 시공되어지게 된다. 현장조립방식을 통해 시공되어진 구조물은 피씨박스 간 접합면에 수팽창지수재 등 지수재가 게재되도록 하여 접합부에서 수밀성이 보장되도록 하고 있으나, 수팽창지수재가 사용되는 경우 접합부 내측으로 지수재의 팽창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이러한 부분으로 이물질 등이 침적됨에 따라 오염의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지수재만으로는 연약지반의 부등침하 등에 따라 피씨박스가 맞대어진 부분이 벌어져서 발생되는 누수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404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피씨박스 간 접합부에서 특히 내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으면서 부등침하 등 피씨박스 접합부의 변위발생에 대해서도 수밀성이 유지될 수 있는 피씨박스 접합부 수밀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는, 피씨박스 간 접합부 수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 외측단부에 구성되는 지수재; 상기 접합부 내측단부에 구성되며 탄성재질의 탄성봉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지수재는 부틸지수재 또는 수팽창지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지수재와 상기 탄성봉함재 사이에는 무수축몰탈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탄성봉함재는, 상기 접합부와 평행하게 양단에서 각각 절개홈이 구성되어 피씨박스 간 변위변동에 따라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탄성봉함재는, 양 단부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한쌍의 신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신장부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상기 수팽창지수재가 충진되는 보강수밀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신장부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접합부와 수평한 방향의 제 1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절개홈 끝단에서 상기 제 1절개홈에 수직하게 제 2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2절개홈 양단에 중공형상의 신장인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절개홈과 연하여 상기 보강수밀부 방향으로 찢김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는 피씨박스 간 접합부 내측에 탄성봉함재가 게재되도록 하여 내측의 돌출부분이 발생되는 것을 제어하고, 부등침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피씨박스 간 신장에도 불구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접합부에서 내부로부터 누수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에 의한 오염 등의 문제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의 일 구성으로서 탄성봉함재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탄성봉함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탄성봉함재의 다른 실시 예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1)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씨박스(P) 간 접합부(J) 수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J) 외측단부에 구성되는 지수재(2); 상기 접합부(J) 내측단부에 구성되며 탄성재질의 탄성봉함재(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피씨박스(P) 간 접합부(J)에 적용되어 접합부(J)에서 수밀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1)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J) 내측단부에 탄성재질의 탄성봉함재(3)가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 지수재의 경우 시공후 지수재가 피씨박스(P)에 의한 관로 내부로 노출이 되어 노출된 지수재에 이물질이 침적되어 오염문제가 야기되며 지수재만으로 부등침하 등에 의해 피씨박스(P) 간 접합부(J)의 변위발생에 대해 충분히 수밀성을 보장하지 못해 내부의 하폐수가 외부로 유출되어 토양 등의 오염을 유발할 수 있거나 외부의 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를 더욱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수재(2)는 상기 접합부(J) 외측단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1차적으로 피씨박스(P) 간 접합부(J)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입,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지수재(2)는 공지의 재질로서 부틸지수재 또는 수팽창지수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용도에 따라 피씨박스(P)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물이 공동구인 경우 부틸지수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피씨박스(P)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물이 우수박스인 경우 수팽창지수재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부틸지수재 및 수팽창지수재는 다양한 공지의 재질이 존재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탄성봉함재(3)는 상기 접합부(J) 내측단부에 구성되어 1차적으로 피씨박스(P) 간 접합부(J)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입,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특히 탄성봉함재(3)는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접합부(J) 내측단부에서 압착되는 구성으로 탄성재질에 의해 접합부(J)의 변위발생을 어느 정도 흡수하면서 접합부(J) 내측단부에서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봉함재(3)의 재질은 수밀성이 있으면서 탄성이 있는 재질이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탄성봉함재(3)에는 접합부(J)의 변위발생의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접합부(J)에서 각 피씨박스(P)의 노출면에 접하는 면에 복수의 돌기(31)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돌기(31)가 형성되도록 하여 접합부(J)의 변위발생에 대한 흡수폭을 크게 가져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수재(2)와 상기 탄성봉함재(3) 사이에는 무수축몰탈(4)이 충진되도록 하여 수밀성을 더욱 배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무수축몰탈(4)은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등침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접합부(J)의 변위발생에 대해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봉함재(3)의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 예의 탄성봉함재(3)는, 상기 접합부(J)와 평행하게 양단에서 각각 절개홈(33)이 구성되어 피씨박스 간 변위변동에 대해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 예의 탄성봉함재(3)는, 양 단부에 절개홈(33)이 형성되어 한쌍의 신장부(32)가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신장부(32) 내부에는 중공(34)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34)에 상기 수팽창지수재(35)가 충진되는 보강수밀부(36)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장부(32)는 탄성봉함재(3) 양단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 절개홈(33)이 구성되어 접합부(J)에서 피씨박스(P) 간 간격이 커지는 경우 상기 신장부(32)에서 각각 절개홈(33)이 벌어지면서 탄성봉함재(3)도 각 피씨박스(P)에 부착된 상태에서 신장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접합부(J)에서 피씨박스(P) 간 간격이 더 커지는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절개홈(33) 끝단에서 보강수밀부(36)까지 탄성봉함재(3)가 찢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하여 상기 보강수밀부(36)는 접합부(J)에서 노출되는 것이고 노출된 보강수밀부(36)에서 수팽창지수재(35)가 접합부(J) 내측 또는 외측으로부터의 수분에 노출되면 수팽창지수재(35)가 팽창을 하면서 절단된 탄성봉함재(3) 간을 가압하여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 예는 부등침하 등 접합부(J)의 변위발생의 정도에 따라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누수 또는 유입에 따른 문제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작동거동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시 예가 도 5a 등에 제시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신장부(32)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33)은 상기 접합부(J)와 수평한 방향의 제 1절개홈(331)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절개홈(331) 끝단에서 상기 제 1절개홈(331)에 수직하게 제 2절개홈(332)이 형성되며 상기 제 2절개홈(332) 양단에 중공형상의 신장인가홀(333)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절개홈(331)과 연하여 상기 보강수밀부(36) 방향으로 찢김유도홈(3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우선 접합부(J)에 변위발생시 제 1절개홈(331)이 벌어짐에 의해 탄성봉함재(3)가 확장되는 것이며, 접합부(J)의 변위가 더 커지면 제 2절개홈(332)과 신장인가홀(333)의 구조에 의해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절개홈(332)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탄성봉함재(3)가 벌어지면서 탄성봉함재(3)가 확장되는 것이고, 접합부(J)의 변위가 더 커지면 찢김유도홈(334)이 벌어지면서 보강수밀부(36)로 찢김이 유도되어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강수밀부(36)는 접합부(J)에서 노출되는 것이고 노출된 보강수밀부(36)에서 수팽창지수재(35)가 접합부(J) 내측 또는 외측으로부터의 수분에 노출되면 수팽창지수재(35)가 팽창을 하면서 절단된 탄성봉함재(3) 간을 가압하여 수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2 : 지수재 3 : 탄성봉함재
4 : 무수축몰탈 31 : 돌기
32 : 신장부 33 : 절개홈
34 : 중공 35 : 수팽창지수재
36 : 보강수밀부

Claims (6)

  1. 피씨박스 간 접합부 수밀구조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 외측단부에 구성되는 지수재; 및 상기 접합부 내측단부에 구성되며 탄성재질의 탄성봉함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봉함재는, 양 단부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한쌍의 신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신장부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에 상기 지수재가 충진되는 보강수밀부가 구성되고,
    상기 신장부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접합부와 수평한 방향의 제 1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절개홈 끝단에서 상기 제 1절개홈에 수직하게 제 2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 2절개홈 양단에 중공형상의 신장인가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절개홈과 연하여 상기 보강수밀부 방향으로 찢김유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재는 부틸지수재 또는 수팽창지수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재와 상기 탄성봉함재 사이에는 무수축몰탈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05339A 2017-08-21 2017-08-21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 KR101859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39A KR101859522B1 (ko) 2017-08-21 2017-08-21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339A KR101859522B1 (ko) 2017-08-21 2017-08-21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522B1 true KR101859522B1 (ko) 2018-05-21

Family

ID=6245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339A KR101859522B1 (ko) 2017-08-21 2017-08-21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5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360A (ko) * 2021-10-20 2023-04-27 (주)미래구조엔지니어링 프리캐스트 벽체 조립을 위한 수직 접합 시공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97B1 (ko) * 2007-04-03 2008-01-03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인터록킹 소켓형 콘크리트 암거
KR101416329B1 (ko) * 2013-04-10 2014-07-09 장영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부를 위한 지수용 접합 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697B1 (ko) * 2007-04-03 2008-01-03 주식회사 지구코퍼레이션 인터록킹 소켓형 콘크리트 암거
KR101416329B1 (ko) * 2013-04-10 2014-07-09 장영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부를 위한 지수용 접합 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360A (ko) * 2021-10-20 2023-04-27 (주)미래구조엔지니어링 프리캐스트 벽체 조립을 위한 수직 접합 시공구조
KR102588376B1 (ko) 2021-10-20 2023-10-12 (주)미래구조엔지니어링 프리캐스트 벽체 조립을 위한 수직 접합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39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 이음부 및 균열부의 누수 유도 공법
KR101859522B1 (ko) 피씨박스 수밀접합구조
JP3753729B1 (ja) トンネル防水構造
KR20160046750A (ko) 구조물 연결부위의 누수차단용 신축이음재
KR20200104531A (ko) 방수성을 증대시킨 조립식 pc 암거 박스를 이용한 수로 및 지하 공동구의 시공 방법
JP5014932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継手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692542B1 (ko) 흙막이벽 시공용 강관 파일의 제조방법
JP2006226062A (ja) コンクリ−ト構造物用耐震継手及びその施工方法
JP3905069B2 (ja) 乾式作業函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2010196258A (ja) 非常用止水構造
KR102209227B1 (ko) 지하구조물 신축이음부의 방수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316853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KR10031684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멘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JP5014202B2 (ja) 仮締切作業函およびその設置方法
KR20050008458A (ko) 구조물의 신축이음 장치
KR200333385Y1 (ko) 지하 구조물의 수밀재
JP2006009315A (ja) 目地の遮水構造
KR100316849B1 (ko) 방수 지퍼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멘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KR10031685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멘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KR100617958B1 (ko) 지하 구조물의 수밀재 및 이를 이용한 차수공법
KR1024613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지수판
KR102073074B1 (ko) 지수재 장착형 암거박스
KR20010003039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거푸집
RU26834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ремонтных работ на различных участках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их сооружений
KR10031685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멘트 블록의 이음부 방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