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517Y1 -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 Google Patents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517Y1
KR200408517Y1 KR2020050033394U KR20050033394U KR200408517Y1 KR 200408517 Y1 KR200408517 Y1 KR 200408517Y1 KR 2020050033394 U KR2020050033394 U KR 2020050033394U KR 20050033394 U KR20050033394 U KR 20050033394U KR 200408517 Y1 KR200408517 Y1 KR 2004085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ion
pillow
support
base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주현
Original Assignee
유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주현 filed Critical 유주현
Priority to KR2020050033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5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5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5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61H2201/1261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 A61H2201/1284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combined with active exercising of the patient using own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Abstract

본 고안은 목 디스크 환자의 견인(traction)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침시 척주(vertebral column)의 경추(cervical vertebrae)와 두개골 사이 부분을 지지하여 누워 있는 자세에서 머리가 뒤로 꺾이도록 하여 환부의 염좌 근육을 풀어주어 이완시키고 경추 사이 간격을 넓혀서 척추간격을 벌여 신경근이 통과하는 추간공을 확장함으로써 견인 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열되고,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어, 척주(vertebral column)의 경추(cervical vertebrae) 부위를 지지하는 목받침부; 및 상기 목받침부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돌설되어 경추와 두개골 사이 부분을 지지하여, 누워 있는 자세에서 머리가 뒤로 꺾이도록 하는 견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개, 디스크, 목받침부, 견인, 탄성수단, 각도,

Description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TRACTION PILLOW FOR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PATIENT}
도 1a는 특허등록 제0302153호 공보의 도 4를 도시한 개략도,
도 1b는 실용신안등록 제0373301호 공보의 도 3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다른 견인베개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베개의 결합사시도 및 사용상태도,
도 4는 척주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베개와 일반베개를 사용한 상태에서의 촬영한 목 부분의 비교 방사선 사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견인베개와 일반베개를 사용한 상태에서의 촬영한 흉추 및 요추 부분의 비교 방사선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P: 베개 10: 베이스
11: 장착부 20: 목받침부
21: 탄성수단 30: 견인부
31: 고정부 33: 지지부
35: 탄성부재
본 고안은 목 디스크 환자의 견인(traction)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침시 척주(vertebral column)의 경추(cervical vertebrae)와 두개골 사이 부분을 지지하여 누워 있는 자세에서 머리가 뒤로 꺾이도록 하여 환부의 염좌 근육을 풀어주어 이완시키고 경추 사이 간격을 넓혀서 척추간격을 벌여 신경근이 통과하는 추간공을 확장함으로써 견인 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견인베개와 일견 유사해 보이는 기술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의자의 머리 부분을 받치는 헤드레스트(headrest) 부분을 개량하여 후두부를 받쳐 차량 운행 중 또는 추돌 사고시 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허등록 제0302153호(2001.06.30) 『자동차 헤드레스트의 보조 받침구』가 있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 상에 고정된 베개 본체(20)에 탄발부 재(40)에 의하여 고정되는 안마구(50)를 도입하고, 상기 안마구를 진동시키는 진동구를 도입한 것과 관련된 것으로 실용신안등록 제0373301호(2005.01.06) 『목 맛사지 기능을 갖는 베개』가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의 튜브(30)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안마구(50)와 같이 목을 받치는 부재 외에
후두부를 받치는 부분으로 각 도면에서 헤드레스트(13)와 베개본체(20)가 구비되어 있어
본 고안에서와 같은 디스크 환자 치료의 방법 중 하나인 견인요법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이점에서 상기 두 종래 기술은 일반 베개와 동일하다.
본 고안은 목 디스크 환자가 취침 중에 견인요법을 받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베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일반 베개의 기능 중 목 부위를 받치는 부분에 탄성수단을 도입하여 경추를 지지하도록 하고, 목받침부 상부에 견인부를 도입하여 경추와 두개골 사이 부분을 지지하여 누워 있는 자세에서 머리가 뒤로 꺾이도록 함으로써 견인요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견인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은 견인부 역시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지되는 지지부로 구성하고, 특히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가상의 평면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배열하여 견인 효과를 향상시킨 견인베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열되고,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어, 척주(vertebral column)의 경추(cervical vertebrae) 부위를 지지하는 목받침부; 및 상기 목받침부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돌설되어 경추와 두개골 사이 부분을 지지하여, 누워 있는 자세에서 머리가 뒤로 꺾이도록 하는 견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견인베개를 설명함에 있어 방향 기준을 도 2 및 도 3a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견인베개(P)에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환자의 경추와 후두부 사이 부분이 접촉하는 견인부(30) 쪽을 상부로 하고 그 반대쪽을 하부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견인베개(P)는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베이스(10), 목받침부(20), 그리고 견인부(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서 상부로 갈수록 차츰 높아지는 형태인 것이 누운 자세에서 환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므로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주(vertebral column)는 일련의 추골(vertebra)로 구성는데, 33개의 추골은 그 부위에 따라 7개의 경추(cervical vertebrae), 12개의 흉추(thoracic vertebrae), 5개의 요추(lumbar vertebrae), 5개의 천추(sacrum), 그리고 4개의 미추(coccyx)로 구분된다.
이러한 척주의 추골에서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배열되는 목받침부(20)는 경추(cervical vertebrae)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기 목받침부는 경추의 C3~C7 및 흉추의 T1~T3에 걸쳐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재(21)가 탄성수단, 특히 코일스프링(23C)에 의하여 탄지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조립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탄성수단(23)은 두 고정판(23A)(23B) 사이에 상기 코일스프링(23C)이 상기 고정판 각각의 끼움돌기(23a)(23b)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이루어지고,
하부 고정판(23A)은 상기 베이스(10)의 함몰된 장착부(11)에 체결수단(볼트 또는 접착제 등)(미도시 됨)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고,
상부 고정판(23B)은 상기 받침부재(21)에 역시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상기 받침부재(21)의 상부에는 상기 베이스(10)에 돌설되어 있는 견인부(30)의 형상에 맞게 경사져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핵심을 이루는 견인부(30)는 상기 목받침부(20)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10)에서 돌설되어 경추와 두개골 사이 부분을 지지하여, 누워 있는 자세에서 머리가 뒤로 꺾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 베개나 특허등록 제0302153호, 또는 실용신안등록 제0373301호의 기술과는 달리,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견인부(30) 이후로는 후두부를 지지하는 부재가 없어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경추의 견인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환부의 염좌 근육을 풀어주어 이완해 주며 디스크를 구성하는 섬유륜의 수축을 감소시켜 추간판 및 추간공을 넓혀주게 된다.
특히 상기 견인부(30)는 상기 베이스(10)와 결합된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와 분리되어 있는 지지부(33), 그리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35)로 이루어져 있어 견인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은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가상의 평면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추와 두개골 사이 부분에 작용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경추를 잡아 뽑는 역할을 하도록 견인 효과를 증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탄성부재(35)를 이루는 코일스프링(35C)의 배열 각도(θ)(도 3b 참조)는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가상의 평면, 도면에서는 상기 베 이스(10)의 하면과 예각을 이루는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35C) 배열 각도가 탄성부재(35)의 수축 및 팽창시에도 항상 일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견인부(30)의 고정부(31)와 상기 지지부(33) 사이에는 가이드부재가 배열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부재는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31)에 일단이 고정된 두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변위를 보장하도록 상기 지지부(33)에 형성된 삽입홈일 수 있다.
상기 견인부(30)의 탄성부재(35) 역시 상기 목받침부(20)의 탄성수단(23)과 같이 별도의 고정판(35A)(35B)을 통하여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지지부에 고정 배열되고, 코일스프링(35C)은 상기 고정판의 각 끼움돌기(35a)(35b)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33)에는 경추와 두개골 사이 부분의 안착을 위한 요입부(33a)가 형성되어 있어 베개 사용시 접촉감을 향상시켰다.
환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상기 목받침부(20)와 상기 견인부(30)를 비롯하여 본 고안에 따른 베개(P)는 통상의 베개와 달리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보다 확실한 견인요법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접촉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상기 목받침부와 상기 지지부는 가압시 약간(1~3mm 정도) 수축하였다가 다시 복원될 수 있는 소재인 것도 무관하다.
통상적으로 디스크라고 부르는 질환은 전문의학 용어로는 추간판(또는 수핵) 탈출증으로 불리며,
척추뼈(요추)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하는 "추간판(수핵)"이 퇴행성 변화로 탄력성이 소실되면서 충격흡수 역할을 감당하지 못하여 중압이 가해질 때 추간판이 파열되거나 후방으로 탈출하여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과 근력감퇴, 감각이상 등을 일으키는 증상이다.
그 치료요법으로는 수술적 요법과 보존적 요법이 있으며,
본 고안에 따른 베개(P)가 목적으로 하는 견인(traction) 요법이 속하는 보존적 요법에는 침상안정, 물리치료, 약물치료, 보조기 착용 등이 있다.
원래 견인요법은 환부의 긴장을 이완해 주며, 디스크를 구성하는 섬유륜의 수축을 감소시켜 추간판 및 추간공을 넓혀주기 위한 것으로, 이로 인하여 환부근육을 자연스러운 위치로 만들며 통증으로 인한 근육긴장을 풀어주며 돌출된 디스크를 원상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a 내지 도 6b에 첨부된 방사선 사진은 본 고안에 따른 베개와 일반 베개를 사용하여 실제 목 및 허리 디스크 환자의 목 부분 및 척추 부분의 변화를 촬영하여 비교한 것이다.
첨부된 사진은 서울 강남에 소재한 관절 및 척추 전문 KS병원에서 촬영한 것으로,
도 6a의 측면사진 및 도 6b의 평면사진으로 나타낸 척추 관련 사진에서는 일 견 견인베개와 일반베개의 차이점을 명확히 파악할 수 없으나, 도 6b의 평면도에서는 요추 부분의 굽은 부분이 견인베개에서 약간 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도 5a의 측면사진 및 도 5b의 평면사진에서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목 부분은 견인베개에 누운 상태의 것이 일반 베개에 누운 상태의 경우보다
확연히 경추의 견인으로 척추와 척추 사이의 간격이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KS병원의 남기세 원장의 소견으로는 견인으로 인한 목 근육의 이완으로 목 디스크 환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며, 일반적으로 허리 디스크 환자의 경우에도 약 30% 정도 목 디스크를 동반하므로 본 고안의 베개가 디스크 환자에게 유용하다는 소견을 밝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는 일반 베개의 기능 중 목 부위를 받치는 부분에 탄성수단을 도입하여 경추를 지지하도록 하고, 목받침부 상부에 견인부를 도입하여 경추와 두개골 사이 부분을 지지하여 누워 있는 자세에서 머리가 뒤로 꺾이도록 함으로써 견인요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 견인부 역시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지되는 지지부로 구성하고, 특히 상기 탄성부재를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가상의 평면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배열하여 견인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견인베개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배열되고,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어, 척주(vertebral column)의 경추(cervical vertebrae) 부위를 지지하는 목받침부; 및
    상기 목받침부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에서 돌설되어 경추와 두개골 사이 부분을 지지하여, 누워 있는 자세에서 머리가 뒤로 꺾이도록 하는 견인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베이스와 결합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와 분리되어 있는 지지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대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가상의 평면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에는 요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받침부는 경추의 C3~C7 및 흉추의 T1~T3에 걸친 부위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KR2020050033394U 2005-11-25 2005-11-25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KR2004085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394U KR200408517Y1 (ko) 2005-11-25 2005-11-25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394U KR200408517Y1 (ko) 2005-11-25 2005-11-25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458A Division KR100818692B1 (ko) 2007-01-22 2007-01-22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517Y1 true KR200408517Y1 (ko) 2006-02-13

Family

ID=4175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394U KR200408517Y1 (ko) 2005-11-25 2005-11-25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5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588B1 (ko) * 2012-12-28 2014-02-25 황성연 척추 구조의 개선 및 치료용 베개
KR101421268B1 (ko) * 2014-03-11 2014-07-18 (주)세원메디텍 경추인장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588B1 (ko) * 2012-12-28 2014-02-25 황성연 척추 구조의 개선 및 치료용 베개
KR101421268B1 (ko) * 2014-03-11 2014-07-18 (주)세원메디텍 경추인장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1658U (ja) 熟眠用整形枕
AU2011306484B2 (en) Cervical pillow for treatment of cervical spine diseases
US20090247917A1 (en) Massaging device
KR101630386B1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베개
US20170112702A1 (en) Spinal column support
KR20180068037A (ko) 경추 교정 베개
JP2011167325A (ja) 頚椎矯正用枕
KR100818692B1 (ko)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KR200408517Y1 (ko) 디스크 환자를 위한 견인베개
US9700160B2 (en) Orthopedic pillow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lumbar and thoracic spine diseases
KR100718661B1 (ko) 물리치료용 헤드레스터
CN106419369A (zh) 一种颈枕
JPH11266985A (ja) 人体工学枕
CN210251045U (zh) 一种神经外科护理用腰椎康复性锻炼装置
KR20170133002A (ko) 안마 베개
AU2021206792C1 (en) Artificial spinal disc and artificial disc inser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367074B1 (ko) 척추 측만증 교정용 의자
KR101664462B1 (ko) 두개천골 요법이 적용된 착석용 골반베개
KR101487615B1 (ko) 척추교정대
KR100750631B1 (ko) 척추 견인교정 기구
TWI808651B (zh) 墊子
CN206659597U (zh) 一种颈枕
CN208403964U (zh) 一种具有磁疗功效的颈枕
KR20100127429A (ko) 목 교정 받침
KR20160077014A (ko) 두개천골 요법을 적용한 착석용 목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