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8035Y1 -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 - Google Patents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8035Y1
KR200408035Y1 KR2020050031117U KR20050031117U KR200408035Y1 KR 200408035 Y1 KR200408035 Y1 KR 200408035Y1 KR 2020050031117 U KR2020050031117 U KR 2020050031117U KR 20050031117 U KR20050031117 U KR 20050031117U KR 200408035 Y1 KR200408035 Y1 KR 200408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cket
portable
tissue
tissu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유진
Original Assignee
변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유진 filed Critical 변유진
Priority to KR2020050031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80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8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80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측에 소정의 휴지(20)를 수납하는 한 쌍의 포켓부(12)와 상기 포켓부(12)의 일측을 개방시킨 제1인출부(13)를 구비하는 휴대용 휴지 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포켓부(12)표면에 제2인출부(1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휴지 케이스는 휴지 케이스의 포켓부 표면에 인출이 용이하도록 중앙부에 제2인출부를 형성하여 사용시에 뽑아 쓸 수 있고, 낱장의 인출이 용이하여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휴대용 휴지 케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휴대용, 휴지 케이스, 포켓부, 인출부

Description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 {A Portable Tissue Package for Drawing Out Easily}
도 1은 본 고안의 열은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덮은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보인 참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휴지 케이스 12 - 포켓부
13 - 제1인출부 14 - 제2인출부
20 - 휴지
본 고안은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켓부에 수납된 휴지를 상기 포켓부의 표면에 형성된 제2인출부를 통해 간편하 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휴지 케이스는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휴지가 수납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휴지 케이스는 포켓부의 일측만을 개방시킨 제1인출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휴지가 쉽게 인출되지 않아 포켓부 내부로 직접 손을 넣어 휴지를 인출해야하고, 여러장의 휴지가 한꺼번에 인출됨으로써 낭비를 초래하며, 여러장이 인출된 휴지를 낱장으로 분리해서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을 야기시켰다.
이에 본 고안자들은 낱장으로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를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포켓부의 표면에 제2인출부를 형성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결국,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휴지의 포켓부의 표면에 낱장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중앙부에 제2인출부를 형성하여, 간편하게 휴지를 낱장으로 뽑아 사용할 수 있는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스 내측에 소정의 휴지(20)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포켓부(12)가 구비된 휴대용 휴지 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형성된 한 쌍의 포켓부(12)표면에 제2인출부(14)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2인출부(14)는 인위적으로 쉽게 절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2인출부(14)는 포켓부 표면의 중앙부에 제1인출부와 평행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2인출부(14)는 상기 휴대용 휴지 케이스(10)가 절첩되었을 때 상기 포켓부(12)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열은 상태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고안의 덮은 상태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참고도를 나타낸 것으로, 제2인출부(14)를 통해 휴지(20)가 뽑혀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휴지 케이스(10)는 포켓부(12), 제1인출부(13) 및 제2인출부(14)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휴지 케이스는 케이스 내부의 좌, 우측에 한 쌍의 포켓부(1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포켓부(12)의 일측을 개방시켜 제1인출부(13)를 형성하여, 상기 제1인출부(13)를 통해 휴지(20)를 수납하고, 상기 포켓부(12)사이를 절첩시켜 수납된 휴지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포켓부 (12) 표면의 중앙부에 제2인출부(14)을 형성하여 사용시에 뽑아 쓸 수 있고, 낱장의 인출이 용이하여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제2인출부(14)는 표켓부(12) 표면의 중앙부에 제1인출부(13)와 평행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인위적으로 쉽게 절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휴지 케이스는, 지갑식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된 케이스에 소량의 휴지가 담겨진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스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된 것이고, 상호 인접한 부위가 개방된 한 쌍의 포켓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 포켓부에 휴지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케이스의 표면에는 상호나 광고문구 등이 인쇄될 수 있다.
상기 포켓부에 휴지가 담긴 상태에서 케이스의 중간부를 접어서, 케이스의 사이즈를 줄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케이스를 접으면 포켓부의 제1인출부(13)가 자동으로 밀폐되므로, 휴지가 저절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휴대용 휴지 케이스는 절첩된 상태에서 휴대하다가 내부에 수납된 휴지를 사용할 경우, 상기 휴지 케이스를 펼쳐 포켓부를 개방시킨 다음 제2인출부(14)를 통해 휴지를 낱장으로 뽑아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휴지 케이스의 포켓부 표면 중앙부에 제2인출부(14)를 형성하여 휴지 사용시에 낱장으로 뽑아 쓸 수 있고, 낱장의 인출이 용이하여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휴대용 휴지 케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케이스 내측에 소정의 휴지(20)를 수납하는 한 쌍의 포켓부(12)와 상기 포켓부(12)의 일측을 개방시킨 제1인출부(13)를 구비하는 휴대용 휴지 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포켓부(12)표면에 제2인출부(1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출부(14)는 인위적으로 쉽게 절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출부(14)는 포켓부 표면의 중앙부에 제1인출부(13)와 평행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출부(14)는 상기 휴대용 휴지 케이스(10)가 절첩 되었을 때 상기 포켓부(12)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휴지 케이스.
KR2020050031117U 2005-11-03 2005-11-03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 KR200408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117U KR200408035Y1 (ko) 2005-11-03 2005-11-03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117U KR200408035Y1 (ko) 2005-11-03 2005-11-03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8035Y1 true KR200408035Y1 (ko) 2006-02-07

Family

ID=4448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117U KR200408035Y1 (ko) 2005-11-03 2005-11-03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80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4342A1 (en) * 2007-10-03 2009-04-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illable travel dispenser for wet wip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4342A1 (en) * 2007-10-03 2009-04-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illable travel dispenser for wet wipes
US8033421B2 (en) 2007-10-03 2011-10-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illable travel dispenser for wet wip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45309A (en) Sanitary tissue container
KR200408035Y1 (ko) 인출이 용이한 휴대용 휴지 케이스
JP2000052678A (ja) 古新聞・チラシ・古雑誌収納箱
JP3060275B2 (ja) 収納ケース
KR20100001511U (ko) 인솔지를 갖는 티슈저장용 케이스
KR200234092Y1 (ko) 낱장 사용이 가능한 스케치북
KR20090102008A (ko) 쓰레기 수거부가 구비된 기능성 티슈팩
KR101505989B1 (ko) 리필식 시트 패키지, 리필식 시트 케이스 및 리필식 시트 카트리지
JP3232634U (ja) ティッシュ収容箱
GB0020411D0 (en) Improvements to cassettes for storing paper money
KR200452921Y1 (ko) 간편지갑
KR101112060B1 (ko) 재활용 가능한 리필용 티슈박스
JP3785565B2 (ja) 香典袋
JP2010142400A (ja) カードケース
KR200173837Y1 (ko) 카세트테이프용 보관케이스
KR200273040Y1 (ko) 액약 용기와 면봉 케이스의 결합장치
KR200391115Y1 (ko) 확대경이 수납된 수첩
KR200236875Y1 (ko) 지폐 묶음 띠지의 인출 케이스
KR200487422Y1 (ko) 기능성 담배 케이스
WO2006111306A2 (en) A dispenser for folders
KR200286779Y1 (ko) 방향성 티슈 리필케이스
JP3180575U (ja) ポケット付紙おしぼり
KR200240037Y1 (ko) 지폐 묶음 띠지의 인출 케이스
KR200176931Y1 (ko) 일회용 티슈 용기
KR200259337Y1 (ko) 면봉 수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