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843Y1 -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843Y1
KR200407843Y1 KR2020050031723U KR20050031723U KR200407843Y1 KR 200407843 Y1 KR200407843 Y1 KR 200407843Y1 KR 2020050031723 U KR2020050031723 U KR 2020050031723U KR 20050031723 U KR20050031723 U KR 20050031723U KR 200407843 Y1 KR200407843 Y1 KR 200407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er
memory
image
output por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수
Original Assignee
정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수 filed Critical 정현수
Priority to KR2020050031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8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8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TV의 영상 처리 장치는, RF 수신부(25); 상기 RF 신호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디모듈레이터(20); 외부 컴퓨터(5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입출력 포트(50); 실행코드및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40); 프로그램의 실행시 상기 제 1 메모리로 부터 전송된 실행코드, 및 대응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메모리(45); 상기 디모듈레이터(20) 및 상기 입출력 포트(5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기 위한 제 1 디코더(15); 상기 제 1 디코더(15)의 실행에 필요한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제 3 메모리(17); 상기 디모듈레이터(20) 및 상기 입출력 포트(50)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기 위한 제 2 디코더(19); 상기 제 1 디코더(15)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5); 상기 구성을 제어하고, 상기 입출력 포트(5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 1 디코더(15) 및 제 2 디코더(19)로 전송하기 위한 메인CPU(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IN DIGITAL TV}
도 1은 본고안에 따른 TV의 내부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고안에 따른 TV의 프론트의 내부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액자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리모콘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리모콘을 통해 TV의 화면에서 정지 영상을 선택하는 과정을 표시한 화면,
도 6은 리모콘을 통해 TV의 화면에서 동영상을 선택하는 과정을 표시한 화면,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5 : 표시수단 10 : 이미지 데이터 유지 수단
15 : 제 1 디코더 17 : 제 3 메모리
19 : 제 2 디코더 20 : 디모듈레이터
25 : RF 수신부 30 : 메인CPU
31 : 타이머 40 : 제 1 메모리
45 : 제 2 메모리 50 : 입출력 포트
60 : 프론트 63 : 적외선 수신부
65 : 키패드 67 : CPU
80 : 리모콘
본 고안은 디지털 TV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V를 시청하지 않는 동안 외부 장치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내장함으로써, TV로서의 통상의 기능외에 디지털 액자로서도 기능을 할 수 있는 디지털 액자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TV에서의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종래의 아날로그 방식의 TV에 비해 고화질의 화면과 깨끗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TV가 보급되고 있으며 향후 디지털 TV가 아날로그 TV를 대체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디지털 위성 방송이 시작되면서, 기존의 채널에 비해 훨씬 다양한 채널과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고, 이동중이나 오지에서도 고화질의 화면과 깨끗한 음질을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디지털 TV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벽걸이용 TV로 서 대화면과 얇은 두께를 가진 PDP가 인기가 있으나, 가격대가 높아 통상의 TV의 기능만으로는 수요자에게 가격면에 있어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러가지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가능한 디지털 TV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TV를 시청하지 않는 동안 이미지를 TV화면에 표시하여 디지털 액자의 기능을 함으로써, 실내미관을 좋게 하는 디지털 TV의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이미지를 TV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외부 컴퓨터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TV의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내부에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보조기억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컴퓨터에 연결하지 않고도 이미지를 TV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TV의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TV(70)의 일측에 내장된 RF 수신부(25); 상기 RF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디모듈레이터(20); 외부 컴퓨터(5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입출력 포트(50); 실행코드 및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40); 프로그램의 실행시 상기 제 1 메모리로 부터 전송된 실행코드, 및 대응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메모리(45); 상기 디 모듈레이터(20) 및 상기 입출력 포트(5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기 위한 제 1 디코더(15); 상기 제 1 디코더(15)의 실행에 필요한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제 3 메모리(17); 상기 디모듈레이터(20) 및 상기 입출력 포트(50)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기 위한 제 2디코더(19); 상기 제 1 디코더(15)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5); 상기 디모듈레이터(20), 입출력 포트(50), 제 1 메모리(40), 제 2 메모리(45), 제 1 디코더(15), 제 3 메모리(17), 제 2 디코더(19), 표시수단(5)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입출력 포트(5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 1 디코더(15) 및 제 2 디코더(19)로 전송하기 위한 메인CPU(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디코더(15)와 상기 표시수단(5) 사이에는 상기 제 1 디코더(15)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 중 정지영상을 전송받아 유지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유지 수단(1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디코더(15)는 TV(70)상에 표시된 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해상도 조절수단과 TV(70)상에 표시된 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해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CPU(30)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31)와 복수의 정지 영상을 상기 타이머(31)에 의해 설정되는 주기마다 슬라이드하도록 하는 슬라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TV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수신기(25), 디모듈레이터(20), 입출력 포트(50), 제 1 메모리(40), 제 2 메모리(45), 제 1 디코더(15), 제 3 메모리(17), 제 2 디코더(19), 표시수단(5), 이미지 데이터 유지 수단(10), 메인CPU(30)로 구성된다. 상기 RF 수신부(25)는 벽걸이 TV(70)의 일측에 내장되어 있고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RF 수신부(25)는 통상의 안테나 및 위성방송을 위한 파라볼라 안테나 등이 이용된다.
상기 디모듈레이터(20)는 상기 RF 수신부(25)로부터 수신된 상기 아날로그 로부터 베이스 밴드 신호를 추출한후, 상기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입출력 포트(50)는 외부 컴퓨터(5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입출력장치이다. 상기 입출력 포트(50)로는 IEEE-1394 포트, USB 포트, 적외선 포트, 전화선등이 가능하다. 상기 IEEE-1394 포트는 최대 63대까지의 외부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초당 400메가비트의 전송속도를 가지고 있어 동영상등의 이미지 데이터를 주고 받기에 적합하며, 상기 USB 포트도 최신버전인 2.0 은 초당 500메 가비트의 전송속도를 가지므로 외부 컴퓨터나 디지털 카메라등에 연결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적외선 포트는 상기 IEEE-1394나 USB 포트에 비해 단거리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며, 케이블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저가인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메모리(40)는 실행코드 및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보조 기억장치로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대용량인 경우가 일반적이며, 따라서 대용량을 가진 HDD가 주로 사용되나 비교적 적은 용량을 위해서는 약 8M Byte 정도의 용량을 가진 플레시 롬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메모리(45)는 프로그램의 실행시 상기 제 1 메모리로부터 전송된 실행코드, 및 대응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주기억 장치로서, 주로 RAM이 사용되는데 그 종류로는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한 주기마다 리프레시(refresh) 조작을 해주어야만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다이내믹램(DRAM)과 전원만 연결되어 있으면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스태틱램(SRAM)이 있으며 고밀도 집적회로를 사용하여 제작된다. 디지털 TV에는 주로 D RAM이 사용되며 약 2 - 4MByte의 용량을 가진다.
상기 제 1 디코더(15)는 상기 디모듈레이터(20) 및 상기 입출력 포트(5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MPGE-2가 사용되며 디먹스(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디먹스(미도시)는 상기디모듈레이터(20) 및 상기 입출력 포트(5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중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제 1 디코더(15)로 전송하고, 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제 2 디코더(19)로 전송한다.
상기 제 3 메모리(17)는 상기 제 1 디코더(15)의 실행에 필요한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이다. 상기 제 3 메모리(17)에는 압축 해제를 위한 코드, 해상 도를 조절할 수 있는 코드, 화면을 캡쳐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등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제 3 메모리(17)는 SD RAM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제 2 디코더(19)는 상기 디모듈레이터(20) 및 상기 입출력 포트(50)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AC-3 오디오 디코더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표시수단(5)은 상기 제 1 디코더(15)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TV에는 일반적으로 PDP(Plasma Display Panel)가 사용된다. PDP는 네온 가스 등의 방전을 이용해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이다. 브라운관에 비해 박형화, 경량화가 가능하여 벽걸이 TV로 적합하다.
상기 이미지 데이터 유지 수단(10)은 상기 제 1 디코더(15)와 상기 표시수단(5)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디코더(15)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 중 정지영상을 전송받아 이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정지영상의 경우에는 상기 표시수단(5)에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계속해서 방전을 일으킬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메인CPU(30)는 상기 디모듈레이터(20), 입출력 포트(50), 제 1 메모리(40), 제 2 메모리(45), 제 1 디코더(15), 제 3 메모리(17), 제 2 디코더(19), 표시수단(5)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입출력 포트(5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신호를 상기 제 1 디코더(15) 및 제 2 디코더(19)로 전송한다. 상기 메인CPU(30)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31)와 복수의 정지 영상을 상기 타이머(31)에 의해 설정되는 주기마다 슬라이드 하도록 하는 코드가 내장되어 있다 . 상기 메인CPU(30)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빠른 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32bit CPU로서 최소 100 MHZ이상의 클락 주파수를 가져야 한다.
도 2는 본고안에 따른 TV의 프론트(60)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상기 프론트(60)는 상기 벽걸이 TV(7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키패드(65), 적외선 수신부(63), CPU(67)로 구성된다. 상기 키패드(6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공급되는 전원과 별도로 전원이 연결되어 있어 TV전원이 오프되더라도 프론트는 온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키패드(65)는 상기 벽걸이 TV(70)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고 외부에서 버튼식으로 TV 동작을 위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키패드(65)에는 전원 키, 채널키, 액자기능키, 음량키 등의 여러 키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적외선 수신부(63)는 상기 TV(70)의 외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리모콘(80)으로부터 TV를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CPU(67)로 전송하며 외부 기기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용도로도 이용할 수 있다.상기 적외선 수신부(63)는 주로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하며 송신측으로부터 적외선을 수신받으면 상기 포토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상기 CPU(67)는 주전원이 온될 때 상기 키패드(65) 또는 적외선 수신부(63)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신호가 어떤 키인지 판단하여 전원이 온되는 키로 판단되면 상기 메인CPU(30)가 있는 주전원을 온 시켜줌으로써 TV의 기능이 동작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의 CPU(67)는 저가의 8051 8bit CPU로 충분하다. 상기 메인 CPU(30)와 상기 CPU(67)는 시리얼 포트로 연결되어 시리얼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TV(70)가 디지털 액자 기능으로서 동작할 때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TV에서의 디지털 액자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상기 TV(70)의 입출력 포트(50)가 외부 컴퓨터(55)에 연결되 고(S10), 상기 외부 컴퓨터(55)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입출력포트(50)를 통해 상기 메인CPU(30)로 전송된다(S20). 그 다음, 상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제 2 메모리(45)에 저장한다(S30). 상기 과정은 이미지 데이터를 외부 컴퓨터(55)로부터 상기 TV(70)내의 보조 기억장치인 제 2 메모리(45)에 저장하는 상기 TV(70)가 디지털 액자로서 동작하기 위한 준비 과정이다. 이처럼 준비되는 과정은 TV제조/판매 단계 또는 고객이 TV를 사용하는 단계에서 이루어 질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TV의 전원을 오프시키면 주전원은 OFF되나 상기 프론트의 전원은 온상태를 유지한다(S40).
그 다음, 상기 메인CPU(30)에 내장된 상기 타이머(31)가 전원이 오프된 후 부터의 시간을 카운트한다(S50).
상기에서 카운트 한 시간이 일정 시간(본 실시에에서는 5분을 일예로 설명한 것임)이 경과하면(S60), 상기 메인CPU(30)의 명령에 따라 제 2 메모리(45)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제 1 메모리(40)로 전송된다(S70).
그 다음, 상기 메인CPU(3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 호출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제 1 메모리(40)로부터 상기 제 1 디코더(15)로 전송되고, 상기 제 1 디코더(15)는 압축되어 있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압축을 해제한다(S80).
상기와 같은 타이머에 의한 실행외에 TV의 키패드나 리모콘의 키패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도 실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정지 화상인 경우 디코딩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데이터 유지 수단으로 전송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유지시킨 후 표시장치에 표시하고(S80, S90), 동영상인 경우에는 바로 표시장치로 전송하여 표시한다(S90).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리모콘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TV기능에 이용되는 키 이외에 디지털 액자 기능을 위해 액자 기능키(81), 화면 캡쳐키(82), 설정키(83), 해상도키(84), 조절키(85,87)가 상기 리모콘(80) 하단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액자 기능키(81)는 TV 시청중이나 또는 TV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 디지털 액자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설정키(82)는 상기 벽걸이 TV(70)가 디지털 액자로서 동작할 때 정지영상과 동영상중 원하는 영상의 선택, 가족 사진, 졸업식 사진, 영화, 에니메이션등 화면에 표시하고 싶은 영상의 선택, 음량의 조절등을 한 후 상기 설정키(82)를 눌러 상기 선택한 사항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화면 캡쳐키(83)는 TV 시청중 다시 보고 싶은 영상이 있을 때 상기 캡쳐키(83)를 누르면 상기 제 3 메모리(17)에 저장되어 있는 캡쳐 코드를 상기 제 1 디코더(15)가 판독, 실행하여 화면을 캡쳐하고, 상기 메인CPU(30) 상기 제2 메모리(45)에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을 보고 싶을 때 디지털 액자기능을 실행하면 상기 메인CPU(30)가 상기 제 2 메모리(45)에 저장된 상기 영상을 호출하여 볼 수 있게 된다.
상기 해상도키(84)는 TV 화면에 표시할 영상의 해상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 되는 것이다. 상기 해상도키(84)를 눌러 상기 조절키(85, 87)을 조절하여 460 ㅧ230, 1024 ㅧ768, 1920 ㅧ1080 등으로 다양하게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키(85, 87)는 상향키(85)와 하향키(87)의 두개의 키로 구성되며, 상기 두개의 키를 조절하여 영상과 함께 사운드를 제공할 때 그 음량을 조절하고, 원하는 영상을 선택하거나 또는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리모콘(80)을 통해 TV의 화면에서 정지 영상을 선택하는 과정을 표시한 화면이다. 상기 TV(70)의 우측 하단에는 프론트(60)가 위치해 있고, 그 하단에 외부 컴퓨터(55)와 연결하기 위한 입출력 포트(50)가 구비되어 있다.
TV(70)의 화면 좌측 하단에는 정지 영상, 동영상, 음량을 선택할 수 있는 영상 선택창(75)이 위치하고 있다.
상기 리모콘(80)의 액자 기능키(81)를 누르면 도 5와 같은 영상 선택창이 벽걸이 TV(70)의 좌측 하단에 표시된다. 상기 리모콘(80)의 조절키(85, 87)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선택창(75)에서 정지 영상을 선택하면, 그 우측에 상기 제 2 메모리(45)에 저장되어 있는 정지 영상의 목록을 표시한 정지 영상 목록 표시창(77)이 표시된다. 상기 리모콘(80)의 조절키(85, 87)로 상기 정지 영상 목록 표시창(77)에 표시된 목록중에서 원하는 영상을 선택할 수 있고, 최하단의 슬라이드 기능을 선택하면 복수개의 영상을 상기 타이머(31)에 의해 설정된 주기로 슬라이드 할 수있다.
도 6은 상기 리모콘(80)을 통해 TV의 화면에서 동영상을 선택하는 과정을 표시한 화면이다. 상기 리모콘(80)의 조절키(85, 87)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기 영상 선택창(75)에서 동영상을 선택하면 그 우측에 상기 제 2 메모리(45)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의 목록을 표시한 동영상 목록 표시창(78)이 표시된다. 상기 리모콘(80)의 조절키(85, 87)로 상기 동영상 목록 표시창(78)에서 원하는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입출력 포트(50)와 연결되는 수단으로 외부 컴퓨 터(55)가 이용되었으나, 그 외에도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휴대폰, PDA, 노트북등 각종 디지털 기기와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TV의 영상 처리 장치는 TV를 시청하지 않는 동안 사진, 그림등의 정지영상과 영화, 애니메이션등의 동영상등의 각종 이미지를 상기 TV화면에 표시하여 디지털 액자의 기능을 함으로써, 실내미관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 컴퓨터와 데이터를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외부기기에 저장된 많은 각종 이미지 데이터들을 액세스하여 상기 TV로 호출하여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많은 다양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TV의 내부에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보조기억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컴퓨터에 연결하지 않고도 이미지를 TV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5)

  1. 벽걸이 TV(70)의 일측에 내장된 RF 수신부(25);
    상기 RF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디모듈레이터(20);
    외부 컴퓨터(5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입출력 포트(50);
    실행코드 및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메모리(40);
    프로그램의 실행시 상기 제 1 메모리로 부터 전송된 실행코드, 및 대응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메모리(45);
    상기 디모듈레이터(20) 및 상기 입출력 포트(5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기 위한 제 1 디코더(15);
    상기 제 1 디코더(15)의 실행에 필요한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제 3 메모리(17);
    상기 디모듈레이터(20) 및 상기 입출력 포트(50)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기 위한 제 2 디코더(19);
    상기 제 1 디코더(15)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5); 상기 디모듈레이터(20), 입출력 포트(50), 제 1 메모리(40), 제 2 메모리(45), 제 1 디코더(15), 제 3 메모리(17), 제 2디코더(19), 표시수단(5)을 각각 제어하고, 상기 입출력 포트(50)로부터 전송된 이미지/음성 데이터를 상기 제 디코더(15) 및 제 2 디코더(19)로 전송하기 위한 메인CPU(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코더(15)와 상기 표시수단(5) 사이에는 상기 제 1 디코더(15)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 중 정지영상을 전송받아 유지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 유지 수단(1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코더(15)는 TV(70)상에 표시된 방송화면을 캡쳐하여 상기 제 2 메모리(45)상에 저장하게 할 수 있는 캡쳐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코더(15)는 TV(70)상에 표시된 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해상도 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CPU(30)는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31)와 복수의 정지 영상을 상기 타이머(31)에 의해 설정되는 주기마다 슬라이드하도록 하는 슬라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
KR2020050031723U 2005-11-09 2005-11-09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 KR200407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723U KR200407843Y1 (ko) 2005-11-09 2005-11-09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723U KR200407843Y1 (ko) 2005-11-09 2005-11-09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843Y1 true KR200407843Y1 (ko) 2006-02-03

Family

ID=44481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723U KR200407843Y1 (ko) 2005-11-09 2005-11-09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8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008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using the same
JP2004328741A (ja) 移動通信端末機で受信されたテレビ信号を伝送する装置及び方法
KR20060047355A (ko) 휴대단말기의 멀티 데이터 처리장치 및 방법
US20120008001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data in portable terminal
KR100800000B1 (ko) 외부영상기기의 조건에 맞추어 데이터 포맷을 변환시키는영상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3493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brightness in portable terminal
KR100710264B1 (ko) 피아이피 기능을 이용한 화면 캡쳐 장치
KR200407843Y1 (ko) 디지털 티브이에서의 영상 처리 장치
KR20030080450A (ko) 디지털 액자 기능이 내장된 벽걸이 tv
KR100842572B1 (ko) 카메라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0900215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digital broadcasting in a mobile terminal having camera
KR100713355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멀티비젼 표시장치 및 방법
KR20010044861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전자 액자 기능 수행 방법
KR100607264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화면비 설정방법
JP507337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1863822B2 (en) Audio/video receiving device and wireless display system
US11854382B2 (en) Audio/video transmitting device and audio/video receiving device
US80591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reception
US20240056143A1 (en) Audio/video transmitting device and wireless display system
US8610829B2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tion of program contents
KR100547706B1 (ko) 티브이폰의 배경화면 등록방법
KR100731357B1 (ko) 화질 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KR20000009456A (ko) 텔레비젼 기능을 가진 무선 단말 장치 및 방법
KR20040091948A (ko) 티브이의 객체 표시장치 및 방법
JP2007104394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