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672Y1 - 절첩식 농구대 - Google Patents

절첩식 농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672Y1
KR200407672Y1 KR2020050032753U KR20050032753U KR200407672Y1 KR 200407672 Y1 KR200407672 Y1 KR 200407672Y1 KR 2020050032753 U KR2020050032753 U KR 2020050032753U KR 20050032753 U KR20050032753 U KR 20050032753U KR 200407672 Y1 KR200407672 Y1 KR 200407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p
hinged
piece
protruding piec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응진
Original Assignee
동화에스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화에스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화에스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2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6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6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63B63/08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2063/002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variable in siz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63B2210/56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electrically folded and erec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차(100) 상에 형성된 앞지주(104), 뒷지주(102) 및 이에 힌지결합된 백보드대(101)가 절첩되는 절첩식 농구대에 있어서, 농구대가 일정 정도까지 펼쳐지게 되어 상기 뒷지주(102)가 바닥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게 되면 상기 뒷지주(102)의 힌지축(106)측 끝단측에 고정결합된 돌출편(110)에 힌지회동가능하게 결합 형성된 리미트 누름수단(160)이 상기 대차의 상측에 고정된 리미트 스위치(142)의 버튼부(144)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리미트 스위치(142)의 절환 동작을 유도하여 농구대가 펼쳐지는 구동 동작이 중지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농구대, 절첩식, 리미트 스위치

Description

절첩식 농구대{A basketball p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농구대가 접힌 상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농구대가 완전히 펴진 상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리미트스위치 작동 전의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리미트스위치 작동 순간의 상태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각도조정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관한 설명>
100 : 대차 102 : 뒷지주
104 : 앞지주 106 : 힌지축
110 : 돌출편 112 : 호형 개구
116 : 회동편 118 : 나사공
120 : 각도조정볼트 160 : 리미트 누름수단
142 : 리미트 스위치 144 : 버튼부
본 고안은 절첩식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농구대는 고정식,이동식,거치식, 절첩식 농구대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높낮이 조절 기능이 없어서 어린이가 성인용 농구대를 사용하거나 별도로 어린이용 농구대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과 공간적, 경제적 비효율성이 있었으며, 동일한 농구대를 높이를 변경하면서 성인용으로도 사용하고 필요시 어린이용으로 쉽게 전환하여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절첩식 농구대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농구대의 절첩을 구동하는 경우에 일정한 정도까지 농구대가 펴지면 절첩 구동을 중지시켜야 오작동으로 인한 지나친 구동 또는 이로 인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나 종래 이를 확실히 보장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농구대가 펼쳐지는 경우 일정 정도 이상 펼쳐지게 되면 구동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되, 경우에 따라 펼쳐지는 정도를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농구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성인용 농구대로 사용하다가 필요시 어린이용 농구대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어린이용 농구대로 사용하다가 필요시 성인용 농구대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은 농구대가 펼쳐지는 구동 동작시 일정 정도까지 농구대가 펼쳐지면 반드시 구동력을 OFF 시키게 함으로써 지나친 구동 동작으로 인한 파손, 오작동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을 한다.
본 고안은, 대차(100) 상에 형성된 앞지주(104), 뒷지주(102) 및 이에 힌지결합된 백보드대(101)가 절첩되는 절첩식 농구대에 있어서, 농구대가 일정 정도까지 펼쳐지게 되어 상기 뒷지주(102)가 바닥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게 되면 상기 뒷지주(102)의 힌지축(106)측 끝단측에 고정결합된 돌출편(110)에 힌지회동가능하게 결합 형성된 리미트 누름수단(160)이 상기 대차의 상측에 고정된 리미트 스위치(142)의 버튼부(144)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리미트 스위치(142)의 절환 동작을 유도하여 농구대가 펼쳐지는 구동 동작이 중지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돌출편(110)에 힌지 결합된 상기 리미트 누름수단(160)의 힌지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호를 형성하는 호형 개구(112)가 상기 돌출편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미트 누름수단은 상기 돌출편에 힌지축(130)을 축으로 하여 힌 지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회동편(116)과, 상기 회동편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118)에 나사결합되는 각도조정볼트(120)를 포함하며, 상기 호형 개구(112)를 관통하는 각도조정볼트(120)가 상기 나사공(118)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편이 상기 돌출편에 대하여 힌지회동하지 못하게 고정되어, 상기 회동편이 상기 돌출편에 대하여 고정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동편(116)에는 리미트 스위치의 버튼부를 눌러주기 위한 누름부재(134)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호형 개구(112) 주변에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서 사용하고자 하는 농구대의 높이에 따라 상기 회동편이 상기 돌출편에 대하여 힌지회동되어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142)의 절환에 의하여 농구대가 펼쳐지는 동작이 멈추는 순간의 상기 뒷지주(102)의 회동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농구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절첩식 농구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 개략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모타의 구동력을 동력으로 하여 대차(100)상에 결합된 앞지주(104)와 뒷지주(102)와 이들에 힌지결합된 백보드대(101)가 힌지회동하면서 절첩되는 것이다. 도 1처럼 접혀진 상태에서 대차 내부에 형성된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하여 앞지주를 세워줌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구대가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펼쳐진 상태에서의 농구대의 높낮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고안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지주의 힌지축(106) 부근에 돌출편(110)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편에는 리미트 누름수단(160)이 결합되어 있다. 리미트 누름수단은 뒷지주에 고정된 돌출편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농구대가 펼쳐지면서 뒷지주가 힌지축(106)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함께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농구대가 펼쳐지면서 일정 각도 이상 뒷지주가 회동되면 리미트 누름수단(160)이 대차(100)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대차 내부의 구동모터의 전원을 절환하는 리미트 스위치(142)의 버튼부(144)에 접촉하게 되어 리미트 스위치(142)의 절환 동작을 유도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대차 내부의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어 농구대가 펼쳐지는 구동 동작이 중지되는 것이다.
도 5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110)에는 호형 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호형 개구는 돌출편에 힌지 결합된 리미트 누름수단(160)의 회동편(116)이 회동하는 힌지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호를 형성하게 형성된다.
리미트 누름 수단은, 돌출편에 힌지축(130)을 축으로 하여 힌지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회동편(116)과, 회동편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118)에 나사결합되는 각도조정볼트(120)와, 회동편(116)에 결합되며 리미트 스위치의 버튼부를 눌러주기 위한 누름부재(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부분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다 음과 같다.
회동편은 돌출편에 힌지 결합되는데, 힌지 결합의 일실시예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에 의하여 힌지축(130)을 형성하도록 돌출편의 개구(114)를 관통하여 볼트가 힌지공(122)에 삽입되어 너트(128)에 결합된다. 복수의 와셔(132, 126)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회동편이 돌출편에 힌지결합되는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회동편(116)에는 누름부재(134)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편에 형성된 개구(135)를 관통하여 볼트 등으로 구성된 누름부재(134)가 캡부재(136)에 결합되고 너트(138)가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누름부재를 고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호형 개구(112)를 관통하는 각도조정볼트(120)가 회동편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118)에 나사결합되어 조여줌으로써 회동편이 돌출편에 대하여 자유롭게 힌지회동하지 못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 때도 와셔(124, 125)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각도조정볼트가 조여줌으로써 회동편이 돌출편에 대하여 힌지회동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각도조정볼트를 풀고 회동편을 원하는 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각도조정볼트를 조여서 회동편을 고정시키는 간단한 방식에 의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도로 회동편이 돌출편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도로 회동편이 돌출편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게 된다. 도 6의 경우는 도 5의 경우에 비하여 농구대가 펼쳐질 때 훨씬 일찍 누름부재(134)가 리미트 스위치의 버튼부(144)를 눌러주게 되어, 도 6의 경우는 도 5의 경우에 비하여 농구대가 덜 펼쳐진 상태에서 농구대 펼침 동작이 종료되게 된다. 따라서 농구대가 펼쳐진 상태에서 도 6의 경우가 농구대 림의 높이가 낮게 되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140)을 호형 개구 부근에 그려 넣고 이러한 눈금에 해당하는 만큼 회동편을 회전시킨 후 회동편을 고정시키고 농구대를 펼치게 될 때 펼쳐진 후의 농구대의 높이를 눈금에 표시해 두면, 어린이용 농구대의 높이나 성인용 농구대의 높이를 간단하게 선택하여 농구대를 펼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호형 개구(112) 주변에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서 사용하고자 하는 농구대의 높이에 따라 상기 회동편이 상기 돌출편에 대하여 힌지회동되어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142)의 절환에 의하여 농구대가 펼쳐지는 동작이 멈추는 순간의 상기 뒷지주(102)의 회동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농구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실시 태양 중 하나의 예를 든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와 등가물, 균등물을 포함함을 밝혀 둔다.
본 고안은 농구대가 펼쳐지는 경우 일정 정도 이상 펼쳐지게 되면 구동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되, 경우에 따라 펼쳐지는 정도를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농구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성인용 농구대로 사용하다가 필요시 어린이용 농구대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어린이용 농구대로 사용하다가 필요시 성인용 농구대로 용이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고안은 농구대가 펼쳐지는 구동 동작시 일정 정도까지 농구대가 펼쳐지면 반드시 구동력을 OFF 시키게 함으로써 지나친 구동 동작으로 인한 파손, 오작동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대차(100) 상에 형성된 앞지주(104), 뒷지주(102) 및 이에 힌지결합된 백보드대(101)가 절첩되는 절첩식 농구대에 있어서,
    농구대가 일정 정도까지 펼쳐지게 되어 상기 뒷지주(102)가 바닥면과 일정 각도를 이루게 되면 상기 뒷지주(102)의 힌지축(106)측 끝단측에 고정결합된 돌출편(110)에 힌지회동가능하게 결합 형성된 리미트 누름수단(160)이 상기 대차의 상측에 고정된 리미트 스위치(142)의 버튼부(144)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리미트 스위치(142)의 절환 동작을 유도하여 농구대가 펼쳐지는 구동 동작이 중지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농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110)에 힌지 결합된 상기 리미트 누름수단(160)의 힌지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동심호를 형성하는 호형 개구(112)가 상기 돌출편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미트 누름수단은 상기 돌출편에 힌지축(130)을 축으로 하여 힌지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회동편(116)과, 상기 회동편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공(118)에 나사결합되는 각도조정볼트(120)를 포함하며,
    상기 호형 개구(112)를 관통하는 각도조정볼트(120)가 상기 나사공(118)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편이 상기 돌출편에 대하여 힌지회동하지 못하게 고정되어, 상기 회동편이 상기 돌출편에 대하여 고정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농구대.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편(116)에는 누름부재(134)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농구대.
  4.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개구(112) 주변에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서 사용하고자 하는 농구대의 높이에 따라 상기 회동편이 상기 돌출편에 대하여 힌지회동되어 고정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142)의 절환에 의하여 농구대가 펼쳐지는 동작이 멈추는 순간의 상기 뒷지주(102)의 회동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농구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농구대.
KR2020050032753U 2005-11-21 2005-11-21 절첩식 농구대 KR200407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753U KR200407672Y1 (ko) 2005-11-21 2005-11-21 절첩식 농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753U KR200407672Y1 (ko) 2005-11-21 2005-11-21 절첩식 농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672Y1 true KR200407672Y1 (ko) 2006-02-01

Family

ID=4448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753U KR200407672Y1 (ko) 2005-11-21 2005-11-21 절첩식 농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6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898B1 (ko) * 2016-07-05 2016-10-24 동화체육주식회사 농구대
CN108553855A (zh) * 2018-03-12 2018-09-21 江苏金陵体育器材股份有限公司 电动升降篮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898B1 (ko) * 2016-07-05 2016-10-24 동화체육주식회사 농구대
CN108553855A (zh) * 2018-03-12 2018-09-21 江苏金陵体育器材股份有限公司 电动升降篮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3526B1 (en) Baby head pattern forming cot
US6273842B1 (en) Electric treadmill with a single motor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running board and for folding the treadmill
US6761180B1 (en) Dual direction-swinging device for an umbrella
JPH0769256A (ja) 自転車スタンド
JPH08242840A (ja) 波動形に旋回揺動する振盪機
KR200407672Y1 (ko) 절첩식 농구대
CN207980285U (zh) 一种折叠式跑步机
US5695439A (en) Rotatable exerciser
CN207203322U (zh) 一种多功能辅助下腰装置
WO2007049791A3 (en) Game machine
CN109276864B (zh) 一种乒乓球拍底板
KR101458470B1 (ko)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
US20110105250A1 (en) Basketball Practicing Apparatus
KR20080012138A (ko) 절첩 이동식 농구대
CN208756870U (zh) 一种防绊倒跳绳摇绳器
US6402710B1 (en) Motor-driven massaging bar with swivel balls
KR200324500Y1 (ko) 자전거 보조바퀴 접이 지지대
JPH0617037Y2 (ja) 扇風機
US20090146039A1 (en) Electricity-Powered Apparatus Support with a Safety Device
KR200258862Y1 (ko) 킥보드 절첩구조
CN219743813U (zh) 一种多功能健身一体机
KR0126840Y1 (ko) 선풍기의 풍향절환장치
KR200222163Y1 (ko) 지지수단이 구비된 킥보드
CN215995481U (zh) 一种带有折叠式防摔板装置的跑步机
CN216468252U (zh) 简易型滑板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