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470B1 -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 - Google Patents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470B1
KR101458470B1 KR1020130045174A KR20130045174A KR101458470B1 KR 101458470 B1 KR101458470 B1 KR 101458470B1 KR 1020130045174 A KR1020130045174 A KR 1020130045174A KR 20130045174 A KR20130045174 A KR 20130045174A KR 101458470 B1 KR101458470 B1 KR 101458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ing
support plate
adjusting device
heigh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6911A (ko
Inventor
원종인
김홍은
최원영
Original Assignee
원종인
최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인, 최원영 filed Critical 원종인
Priority to KR1020130045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470B1/ko
Publication of KR2014012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9/00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 A47B19/06Reading-desks; Lecterns; Pulpits, i.e. free-standing with adjustable top leaf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서대의 구조를 개량하여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서 높이와 각도를 전동식으로 보다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책상 등에 구조적으로 잘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 시 사용자의 독서 및 학습 자세를 올바르게 하여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학습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두께를 가진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판과; 지지판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판과; 받침판의 상부면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받침판의 하부면과 지지판의 상부면 사이 하단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1높이조절장치와; 받침판의 하부면과 지지판의 상부면 사이 상단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2높이조절장치와; 제1높이조절장치와 제2높이조절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와; 구동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Reading desk height and angle-controlled electric}
본 발명은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서대의 구조를 개량하여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서 높이와 각도를 전동식으로 보다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책상 등에 구조적으로 잘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 시 사용자의 독서 및 학습 자세를 올바르게 하여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학습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사용자가 책을 읽을 때, 사용자의 시선과 책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독서 및 학습을 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독서대를 사용함에 있어서 종래의 독서대는 그 높이와 각도가 고정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에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따라 앉은키가 각각 다르고, 독서대가 설치되는 책상의 높이 또한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착석한 상태에서의 눈높이는 각각 다른데 반해 독서대의 높이와 각도는 고정된 상태임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 그 높이와 각도가 맞지 않아 불안정한 자세로 학습을 진행하게 되어 피로가 급격하게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집중력이 낮아지게 되어 독서 및 학습의 효과를 제대로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불안정한 자세는 성장하는 어린아이나 청소년들에게 매우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어린아이 또는 청소년들이 앉은 키가 맞지 않은 상태에서 구부정한 자세로 장시간 학습을 진행하게 되면 신체가 구부정하게 형성되고, 심하면 허리가 구부려지거나 허리 디스크 또는 척추 틀어짐과 같은 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독서대가 가진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1994-19922호, 제2007-137251호와 특허 등록번호 제276734호, 제90085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구조를 가진 다양한 종류의 독서대가 개발되어 나온 바 있으나, 이러한 특허에 개시된 독서대들은 높이 조절 및 책받침판의 전후 각도 조절 기능만 구비되어 있을 뿐 사용자의 자세에 따른 더욱 다양한 각도 조절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가 직접 책받침판의 각도와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함에 따라 그 사용과정이 용이하지 못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종래의 독서대는 그 구조상 구성 요소들이 많고 복잡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독서대의 제조 시 발생되는 생산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구조를 전동식 구조로 구성하여 책받침판의 각도와 높이의 조절을 사용자가 직접하지 않고 자동으로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그 사용과정이 용이하고 높이와 각도를 보다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책상 등에 구조적으로 잘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이 편리하고 용이한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해도 눈을 비롯한 목과 허리와 같은 신체의 피로도를 감소 시킬 수 있으며, 책 읽는 자세를 올바르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유사 시 사용자가 직접 책받침판의 각도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두께를 가진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판과; 지지판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판과; 받침판의 상부면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받침판의 하부면과 지지판의 상부면 사이 하단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1높이조절장치와; 받침판의 하부면과 지지판의 상부면 사이 상단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2높이조절장치와; 제1높이조절장치와 제2높이조절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와; 구동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는 그 구조가 전동식 구조로 구성되어 책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의 각도와 높이의 조절을 사용자가 직접하지 않고 작동스위치를 작동시켜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그 작동과정이 용이하고, 높이와 각도의 조절을 보다 쉽게 할 수 있으며, 미세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눈을 비롯한 목과 허리와 같은 신체의 피로도가 적으며, 책 읽는 자세 및 학습 자세를 올바르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유사 시 사용자가 직접 책받침판의 각도와 높이르 조절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 사시도.
도 2의 (a)는 제2높이조절장치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의 (b)는 제1높이조절장치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받침판의 각도 조절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제1높이조절장치와 구동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제2높이조절장치와 받침판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제2높이조절장치의 높이 조절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의 예시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제2높이조절장치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제1높이조절장치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받침판의 각도 조절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높이조절장치와 구동장치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높이조절장치와 받침판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높이조절장치의 높이 조절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서 높이와 각도의 조절을 전동식으로 보다 쉽게 조절할 수 있고, 책상 등에 구조적으로 잘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를 가진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판(1)과; 상기 지지판(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판(2)과; 상기 받침판(2)의 상부면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턱(3)과; 상기 받침판(2)의 하부면과 지지판(1)의 상부면 사이 하단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각각의 제1높이조절장치(4)와; 상기 받침판(2)의 하부면과 지지판(1)의 상부면 사이 상단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각각의 제2높이조절장치(5)와; 상기 제1높이조절장치(4)와 제2높이조절장치(5)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구동장치(6)와; 받침판(2)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장치(6)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7);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작동스위치(7)는 제1높이조절장치(4)와 제2높이조절장치(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됨에 따라 세밀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그 설치되는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국한되지 않고 독서대(100)의 작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라면 얼마든지 그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과 받침판(2)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장방형의 형상 외에도 책상 등에 구조적으로 잘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는 동시에 상부면에 놓여진 책이 외측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변형 및 변경될 수 있고, 지지판(1)의 크기와 받침판(2)의 크기 또한 사용자의 기호와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책상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2)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1높이조절장치(4)와 제2높이조절장치(5)는 웜휠(8)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회전축(9)의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는 높이조절바(10)와; 상기 높이조절바(10)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1);으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9)과 높이조절바(10)는 나사 결합식으로 상호 결합되고, 상기 제2높이조절장치(5)의 높이조절바(10) 상측에는 후설될 체결핀(12)이 삽입되는 체결핀삽입공(1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높이조절장치(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바(10)에 체결된 힌지핀(14)이 받침판(2)의 하부면에 설치된 각도조절판(15)의 핀삽입홈(16)에 삽입되어 슬립되면서 유동됨에 따라 받침판(2)의 각도가 조절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 밖에 상기 구동장치(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에 제1높이조절장치(4)와 제2높이조절장치(5)의 웜휠(8)과 치합되는 웜(17)이 형성되어 구동모터(18)의 구동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동되는 웜샤프트(19)와; 웜샤프트(19)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웜샤프트관(20);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웜샤프트(19)의 외주연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웜샤프트(19)를 회동시킬 수 있는 조절핸들(21)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 및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100)를 실시함에 있어서는 우선, 책을 받침판(2)의 상부면에 놓기에 앞서 사용자의 앉은키에 알맞도록 독서대(100)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2)의 외주면에 설치된 작동스위치(7)를 작동시키면 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8)가 구동되면서 구동모터(18)의 일측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웜샤프트(19)가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웜샤프트(19)의 외주연에 형성된 웜(17) 또한 일정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웜(17)이 회동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17)과 치합되어 연동되는 제1높이조절장치(4)와 제2높이조절장치(5)의 웜휠(8)이 일정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웜휠(8)의 상단에 설치된 회전축(9)을 회동시킴에 따라 회전축(9)의 외주연에 나사 결합식으로 결합된 높이조절바(10)가 상승 또는 하강됨으로써 도 2의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2)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웜샤프트(19)의 외주연에는 웜샤프트(19)를 회동시켜 제1높이조절장치(4) 및 제2높이조절장치(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별도의 조절핸들(21)이 설치됨에 따라 구동장치(6)에 문제가 발생되어 구동이 어려운 상황과 같은 유사 시에 사용자가 임의로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전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서 사용자의 앉은키 및 눈높이와 책상의 상단에 놓여진 본 발명의 전동식 독서대(100)의 높이가 맞춰지게 되면, 사용자의 학습 자세를 올바르게 하여 목을 비롯한 신체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받침판(2)의 각도를 조절하는데, 이는 작동스위치(7)를 작동시켜 제2높이조절장치(5)만 작동시키면 된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작동 과정을 거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높이조절장치(5)의 높이조절바(10)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바(10)의 상단에 삽입되어 체결핀(12)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체결된 힌지핀(14)이 받침판(2)의 배면부에 설치된 각도조절판(15)의 핀삽입홈(16)에 삽입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되면서 유동됨에 따라 받침판(2)의 각도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학습 자세를 올바르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100)는 그 구조가 전동식 구조로 구성되어 책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2)의 각도와 높이의 조절을 사용자가 직접하지 않고 작동스위치(7)를 작동시켜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그 작동과정이 용이하고, 높이와 각도의 조절을 보다 쉽게 할 수 있으며, 미세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눈을 비롯한 목과 허리와 같은 신체의 피로도가 적으며, 책 읽는 자세 및 학습 자세를 올바르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유사 시 사용자가 직접 책받침판의 각도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1 : 지지판 2 : 받침판
3 : 걸림턱 4 : 제1높이조절장치
5 : 제2높이조절장치 6 : 구동장치
7 : 작동스위치 8 : 웜휠
9 : 회전축 10 : 높이조절바
11 : 하우징 12 : 체결핀
13 : 체결핀삽입공 14 : 힌지핀
15 : 각도조절판 16 : 핀삽입홈
17 : 웜 18 : 구동모터
19 : 웜샤프트 20 : 웜샤프트관
21 : 조절핸들
100 : 독서대

Claims (5)

  1. 삭제
  2. 일정 두께를 가진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판(1)과; 지지판(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판(2)과; 받침판(2)의 상부면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턱(3)과; 받침판(2)의 하부면과 지지판(1)의 상부면 사이 하단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1높이조절장치(4)와; 받침판(2)의 하부면과 지지판(1)의 상부면 사이 상단 양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제2높이조절장치(5)와; 제1높이조절장치(4)와 제2높이조절장치(5)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6)와; 구동장치(6)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7);로 구성되고, 상기 제1높이조절장치(4)와 제2높이조절장치(5)는 웜휠(8)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회전축(9)의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되는 높이조절바(10)와; 높이조절바(10)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우징(1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
  3. 제2항에 있어서, 구동장치(6)는 외주연에 제1높이조절장치(4)와 제2높이조절장치(5)의 웜휠(8)과 치합되는 웜(17)이 형성되어 구동모터(18)의 구동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동되는 웜샤프트(19)와; 웜샤프트(19)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웜샤프트관(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
  4. 제 2항에 있어서, 제2높이조절장치(5)의 높이조절바(10)에 체결된 힌지핀(14)이 받침판(2)의 하부면에 설치된 각도조절판(15)의 핀삽입홈(16)에 삽입되어 슬립되면서 유동됨에 따라 받침판(2)의 각도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
  5. 제 3항에 있어서, 웜샤프트(19)의 외주연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웜샤프트(19)를 회동시킬 수 있는 조절핸들(21)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

KR1020130045174A 2013-04-24 2013-04-24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 KR101458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174A KR101458470B1 (ko) 2013-04-24 2013-04-24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5174A KR101458470B1 (ko) 2013-04-24 2013-04-24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911A KR20140126911A (ko) 2014-11-03
KR101458470B1 true KR101458470B1 (ko) 2014-11-07

Family

ID=5228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5174A KR101458470B1 (ko) 2013-04-24 2013-04-24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395A (ko) * 2014-12-08 2016-06-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링 지그의 각도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421B1 (ko) * 2015-02-12 2016-09-23 함양신문 주식회사 자동으로 얼굴을 향하는 독서대
CN110313709A (zh) * 2019-07-10 2019-10-11 濮阳职业技术学院 一种中文文学学习专用辅助装置
CN111067251A (zh) * 2020-01-09 2020-04-28 浙江大学 一种带有可自动调节读书距离的护眼读书架的书桌
KR102478465B1 (ko) * 2021-02-25 2022-12-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 독서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928U (ja) * 1991-10-17 1993-05-14 株式会社新学社 書見台
KR200412970Y1 (ko) * 2005-11-02 2006-04-05 김윤숙 강대용 독서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928U (ja) * 1991-10-17 1993-05-14 株式会社新学社 書見台
KR200412970Y1 (ko) * 2005-11-02 2006-04-05 김윤숙 강대용 독서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395A (ko) * 2014-12-08 2016-06-1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링 지그의 각도 측정 장치
KR101644914B1 (ko) 2014-12-08 2016-08-0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밀링 지그의 각도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911A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470B1 (ko) 높이와 각도가 조절되는 전동식 독서대
US10357103B2 (en) Height adjustable desk
CN109990179A (zh) 显示器升降装置
CN106235653B (zh) 一种高低自动可调的可拆卸式课桌
KR101263464B1 (ko) 책상 부착형 자세교정용 완충쿠션
KR100983792B1 (ko) 책상 높이 조절장치
KR101388382B1 (ko) 높이와 각도 조절이 용이한 독서대
KR20160006671A (ko) 등 하부 통증을 완화하거나 방지하기 위한 장치
KR101762811B1 (ko) 회전각도 조절이 가능한 침대용 테이블
CN203309458U (zh) 一种带支撑件的平板电子装置
CN214197949U (zh) 一种可旋转电子设备支架
CN103653803B (zh) 可折叠自适应智能课桌
CN206491497U (zh) 一种高低自动可调的可拆卸式课桌
CN204654207U (zh) 一种保护脊柱的学生座椅
CN208652050U (zh) 可升降笔记本支架
CN209003083U (zh) 一种语文教学用宣讲装置
KR100597962B1 (ko) 기울기조절 책상
CN106579761A (zh) 一种计算机操作用手臂托放装置
TWI517847B (zh) Eye training device
CN208957131U (zh) 一种可调节书法桌
KR101674473B1 (ko) 책상높이 조절 장치
KR20090012783U (ko) 자유로운 각도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CN205285556U (zh) 一种多功能防近视课桌
CN218129090U (zh) 一种患者护理用头部固定装置
CN213040142U (zh) 一种计算机显示器升降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