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629Y1 - 분무기용 피스톤 - Google Patents

분무기용 피스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629Y1
KR200407629Y1 KR2020050031205U KR20050031205U KR200407629Y1 KR 200407629 Y1 KR200407629 Y1 KR 200407629Y1 KR 2020050031205 U KR2020050031205 U KR 2020050031205U KR 20050031205 U KR20050031205 U KR 20050031205U KR 200407629 Y1 KR200407629 Y1 KR 200407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ompression
cylinder
ai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환수
Original Assignee
배환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환수 filed Critical 배환수
Priority to KR2020050031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6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6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스톤의 구조를 개선하여 흡입행정 시 실린더내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고, 윤활유가 빨리 마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압축오링 및 실린더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윤활유가 용액에 섞여 들어가 농작물이나 화초류 등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분무기용 피스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압축봉(100)의 고정봉(110)에 끼워지는 봉삽입공(510)을 구비하여 너트(200)체결로 고정되고, 압축오링(300)이 끼워지는 링홈(520)을 구비하여 실린더(400)내로 끼워지는 분무기용 피스톤(500)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500)의 봉삽입공(510)에 다수개의 공기통로(530)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500)의 하부에 공기통로(530)와 너트(200)를 이격시키는 다수개의 간극유지용 돌기(540)를 형성한 것이다.
분무기, 피스톤, 공기통로, 돌기

Description

분무기용 피스톤{piston for spray}
도 1은 일반적인 분무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분무기용 피스톤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a는 종래 피스톤의 흡입행정 시 작동상태를 보인 조립단면도.
도 3b는 종래 피스톤의 압축행정 시 작동상태를 보인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피스톤의 흡입행정 시 작동상태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피스톤의 압축행정 시 작동상태도.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피스톤의 정면도.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피스톤의 평면도.
도 7c는 본 고안에 따른 피스톤의 저면도.
도 7d는 본 고안에 따른 피스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압축봉 110 : 고정봉
200 : 너트 300 : 압축오링
400 : 실린더 500 : 피스톤
510 : 봉삽입공 520 : 링홈
530 : 공기통로 540 : 돌기
본 고안은 분무기용 피스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피스톤의 구조를 개선하여 흡입행정 시 실린더내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고, 윤활유가 빨리 마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압축오링 및 실린더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윤활유가 용액에 섞여 들어가 농작물이나 화초류 등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분무기용 피스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무기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액,농약,영양제,물 등의 용액이 수용되는 분무통(1), 상기 분무통(1)의 중앙에 내장된 실린더(2)내로 끼워져 상하 왕복 운동하는 압축봉(3), 상기 분무통(1)의 주수구에 결합되는 주수구마개(4), 상기 주수구마개(4)에 설치되어 압축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안전핀(5), 상기 분무통(1)에 호스(6)로 연결되어 분사노즐(7)을 통해 용액을 배출시키는 분사기(8)로 구성된다.
한편, 도 2와 도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내로 끼워지는 압축봉(3)의 상부에는 손잡이(3a)가 일체로 형성되고, 압축봉(3)의 하부에는 피스톤(10)이 끼워지는 볼트(3b)가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볼트(3b)에는 피스톤(10)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11)가 나사체결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0)에는 링홈 (10a) 및 통공(10b)이 형성되고, 상기 링홈(10a)에는 압축오링(12)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피스톤(10)은 흡입행정(피스톤을 상부로 당길 때) 시 도 3a에서와 같이 피스톤(10)과 실린더(2) 사이를 거쳐 통공(10b)으로 공기가 유입되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공기유입 시 실린더(2) 내벽의 윤활유가 압축오링(12)에 의해 위로 긁혀 올라가면서 실린더(2)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접촉되고 또한 일부는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내부로 들어가기 때문에, 실린더(2) 내벽의 윤활유가 깨끗이 닦아져 빨리 마르게 되고, 이로 인해 압축오링(12) 및 실린더(2) 내벽이 손상되어 압축오링(12)과 실린더(2)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압축오링(12)과 실린더(2)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실린더(2)에 윤활유를 자주 주입하면 이 윤활유는 계속해서 분무통(1)의 내부로 흘러 들어가 소독액,농약,영양제,물 등의 용액에 섞여서 분사되므로 농작물이나 화초류 등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구조적으로 흡입행정 시 공기가 실린더(2)내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실린더(2)의 내부에는 공기가 꽉 차지 못하고 대략 ⅓정도는 진공이 형성되어 압축 시 공기 압축량이 작아지는 문제점과, 이로 인해 펌프질을 많이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 으로, 피스톤의 흡입행정 시 실린더내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압축 시 공기 압축량을 증대시키고, 또한 공기의 유입구조를 개선하여 윤활유가 빨리 마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압축오링 및 실린더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윤활유가 용액에 섞여 들어가 농작물이나 화초류 등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분무기용 피스톤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분무기용 피스톤의 봉삽입공에 흡입행정 시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시키는 다수개의 공기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통로와 너트를 이격시키는 다수개의 간극유지용 돌기를 일체로 돌출시킨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4 내지 도 7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압축봉(100)의 고정봉(110)에 끼워지는 봉삽입공(510)을 구비하여 너트(200)체결로 고정되고, 압축오링(300)이 끼워지는 링홈(520)을 구비하여 실린더(400)내로 끼워지는 분무기용 피스톤(500)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500)의 봉삽입공(510)에 다수개의 공기통로(530)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500)의 하부에 공기통로(530)와 너트(200)를 이격시키는 다수개의 간극유지용 돌기(540)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축봉(100)은 실린더(400)내로 끼워져 상하 왕복 운동하는 것 으로, 도 6a에서와 같이 압축봉(100)을 상부로 당기면 실린더(400)내로 새로운 공기를 유입시키는 피스톤(500)의 흡입행정이 이루어지고, 도 6b에서와 같이 압축봉(100)을 하부로 밀면 실린더(400)내로 유입된 공기를 압축시키는 피스톤(500)의 압축행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봉(100)의 하부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고정봉(110)과 볼트(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봉(110)에는 오링(600)과 피스톤(500)이 순차적으로 끼워진다. 이때, 상기 오링(600)은 고정봉(110)의 최상부에 위치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피스톤(500)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압축봉(100)의 고정봉(110)에 끼워진 오링(600)은 압축행정 시 피스톤(500)의 공기통로(530)를 통해 실린더(400)내의 공기가 외부로 새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압축봉(100)의 볼트(120)는 고정봉(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이때 볼트(120)의 외경은 고정봉(1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너트(200)는 볼트(120)의 최상단까지만 체결되고, 체결된 상태에서 너트(200)의 상부에는 피스톤(500)이 얹혀진다.
상기 너트(200)는 압축봉(100)의 볼트(120)에 나사결합되어 피스톤(50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피스톤(500)은 실린더(400)내로 끼워져 상하 왕복 운동하는 것으로, 이러한 피스톤(500)을 도 6a에서와 같이 상부로 당기면 흡입행정이 이루어지고, 피스톤(500)을 도 6b에서와 같이 하부로 밀면 압축행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피스톤(500)의 중앙에는 압축봉(100)의 고정봉(110)에 끼워지는 봉삽입공(510)이 수직으로 관통되고, 피스톤(500)의 상부와 하부 외경에는 압축오링(300)이 끼워지는 링홈(520)이 형성되며, 피스톤(500)의 봉삽입공(510)에는 다수개의 공기통로(530)가 수직으로 관통되고, 피스톤(500)의 하부에는 공기통로(530)와 너트(200)를 이격시키는 다수개의 간극유지용 돌기(54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서와 같이 흡입행정 시 압축봉(100)을 상부로 당기면 너트(200)가 피스톤(500)의 돌기(540)에 접촉된 상태에서 실린더(400)의 내경에 밀착된 압축오링(300)을 상승시키고, 이때 오링(600)과 피스톤(500)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화살표와 같이 새로운 공기는 피스톤(500)의 봉삽입공(510)에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통로(530)와 다수개의 돌기(540) 사이를 통해 실린더(400)내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다음, 도 6b에서와 같이 압축행정 시 압축봉(100)을 하부로 밀면 오링(600)이 피스톤(500)에 밀착된 상태에서 압축오링(300)을 하강시켜 실린더(400)내로 유입된 공기를 압축시키고, 이때 오링(600)이 피스톤(500)에 기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에 의해 공기통로(530)가 차단되어 공기가 외부로 새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은 흡입행정 시 봉삽입공(510)에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통로(530)를 통해 실린더(400)내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므로, 즉 본 고안에서는 흡입행정 시 종래와 같이 피스톤(500)과 실린더(400) 사이로 공기가 유 입되지 않고 공기통로(530)를 통해 유입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흡입행정 시 실린더(400)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윤활유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기유입 시 실린더(400) 내벽의 윤활유가 압축오링(300)에 의해 위로 긁혀 올라가면서 실린더(400)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실린더(400)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윤활유가 접촉되고 또한 윤활유가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내부로 들어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실린더(400) 내벽의 윤활유가 깨끗이 닦아져 빨리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압축오링(300)과 실린더(4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윤활유가 실린더(400)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내부로 흘러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즉 소독액,농약,영양제,물 등의 용액에 윤활유가 섞이지 않으므로 농작물이나 화초류 등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흡입행정 시 공기가 공기통로(530)와 돌기(540) 사이를 통해 실린더(400)내로 원활하게 유입되기 때문에, 실제로 실린더(400)의 내부에는 공기가 꽉 찬 상태를 유지하여 진공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압축 시 공기 압축량이 커지고, 이와 같이 공기 압축량이 커지므로 종래와 같이 펌프질을 많이 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피스톤의 흡입행정 시 공기가 공기통로를 통해 실린더내로 원활하게 유입되므로 압축 시 공기 압축량을 증대시킬 수 있 으며, 또한 구조적으로 윤활유가 빨리 마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압축오링 및 실린더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윤활유가 용액에 섞여 들어가 농작물이나 화초류 등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압축봉(100)의 고정봉(110)에 끼워지는 봉삽입공(510)을 구비하여 너트(200)체결로 고정되고, 압축오링(300)이 끼워지는 링홈(520)을 구비하여 실린더(400)내로 끼워지는 피스톤(500)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500)의 봉삽입공(510)에 다수개의 공기통로(530)를 수직으로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500)의 하부에 공기통로(530)와 너트(200)를 이격시키는 다수개의 간극유지용 돌기(540)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용 피스톤.
KR2020050031205U 2005-11-03 2005-11-03 분무기용 피스톤 KR200407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205U KR200407629Y1 (ko) 2005-11-03 2005-11-03 분무기용 피스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205U KR200407629Y1 (ko) 2005-11-03 2005-11-03 분무기용 피스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629Y1 true KR200407629Y1 (ko) 2006-02-02

Family

ID=4448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205U KR200407629Y1 (ko) 2005-11-03 2005-11-03 분무기용 피스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62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64Y1 (ko) * 2008-05-26 2010-06-09 배영태 압축공기를 이용한 분무기
KR200456488Y1 (ko) 2010-02-25 2011-11-02 최국진 공기압축용 분무기
KR101182511B1 (ko) 2010-02-09 2012-09-12 김찬동 동력분무기의 피스톤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964Y1 (ko) * 2008-05-26 2010-06-09 배영태 압축공기를 이용한 분무기
KR101182511B1 (ko) 2010-02-09 2012-09-12 김찬동 동력분무기의 피스톤 구조
KR200456488Y1 (ko) 2010-02-25 2011-11-02 최국진 공기압축용 분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76755C (zh) 扳机致动的抽吸喷射器
KR200407629Y1 (ko) 분무기용 피스톤
US20150144661A1 (en) Foam dispensing assembly
US4984742A (en) Container and pump assembly
US7080761B1 (en) Spray head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backflow of perfume liquid
DE69942345D1 (de) Sprühpumpe
KR200204381Y1 (ko) 압축식 자동분무기의 압축봉
KR200204380Y1 (ko) 압축식 자동분무기의 압축봉
KR200238809Y1 (ko) 분무기용 압축 피스톤
KR20090085786A (ko) 펌프분무기
JPH03182688A (ja) 手動ポンプ
CN204124576U (zh) 新型可拆卸可充式喷液瓶
KR102310254B1 (ko) 동력 분무기
KR20200018515A (ko) 동력 분무기의 실린더 장착구조
KR102463402B1 (ko) 압축 분무기용 호스 구조
KR960002919Y1 (ko) 농약물 살포용 분무기의 플런저펌프
CN217300910U (zh) 油分离芯组件、二次回油装置及喷油螺杆装置
KR200275508Y1 (ko) 수동 분무기용 실린더 고정구
CN210422941U (zh) 一种用于真空泵中的新型油箱
JP2004067237A (ja) ディスペンサーポンプ
KR200282181Y1 (ko) 수동식 분무기
KR200282180Y1 (ko) 수동식 분무기
KR101068781B1 (ko) 밸브식 휴대용 펌프
KR200214125Y1 (ko) 에어 배출이 가능한 휴대용 분무기
KR20020075050A (ko) 수동식 정량 분사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