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587Y1 -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587Y1
KR200407587Y1 KR2020050033111U KR20050033111U KR200407587Y1 KR 200407587 Y1 KR200407587 Y1 KR 200407587Y1 KR 2020050033111 U KR2020050033111 U KR 2020050033111U KR 20050033111 U KR20050033111 U KR 20050033111U KR 200407587 Y1 KR200407587 Y1 KR 200407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omposition
hand
module
exterior case
composition analy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Priority to KR2020050033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는, 일측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발 전극; 상기 발 전극을 포함하여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제1 측정회로부; 상기 제1 측정회로부로부터 전달되는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하고, 상기 제1 측정회로부를 제어하는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 피측정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제1 키입력부 및 상기 분석결과등을 출력하는 제1 표시부를 구비하는 외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성분 분석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관케이스 일측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더 형성하고, 다수개의 손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공간 내에 결합되고, 결합 후의 외관면이 외관케이스의 인접하는 면과 대략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 손 전극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는, 모듈부에 별도의 키입력부 및 표시부를 구비치 아니하므로, 탈거후 피측정자가 상기 손 전극 모듈을 손에 쥐어서 측정하는 경우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어서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모듈을 바닥에 떨어뜨린 경우라 하더라도 낙하에 의한 파손에 따른 피해가 저감되므로 수리에 소요되는 비용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는, 손 전극 모듈이 외관케이스의 수납공간 내에 결합 된 후, 모듈의 외관면이 외관케이스의 인접하는 면과 대략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루므로써, 디자인 구성상 일체형의 제품 (one - body)의 느낌을 주게 되며, 모듈이 상기 외관케이스의 외곽 일측면에 위치하므로 외관케이스에 대한 착탈이 용이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외관케이스, 수납공간, 손전극

Description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Body Composition Analyz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체성분 분석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작동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손 전극 모듈을 갖는 다른 예의 체성분 분석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손 전극 모듈을 갖는 또 다른 예의 체성분 분석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체성분 분석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손 전극 모듈부가 외관케이스에서 탈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체성분 분석기 21 : 외관 케이스 22 : 모듈부
23 : 모듈부 외관면 24 : 외관케이스 인접면 25 : 표시부
26 : 입력키 27 : 발 전극 28 : 손 전극
29 : 연결코드 30 : 모듈부 수닙공간 31 : 연결코드 수납공간
본 고안은 인체 성분을 분석하는 체성분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체 전기 임피던스 분석(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BIA)을 통하여 인체 성분을 분석하는 체성분 분석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외관케이스와 손 전극부를 개선하되 손 전극부 만을 별도로 모듈화하고 상기 손 전극 모듈을 본체의 외관케이스내에 수납시킴으로써, 디자인 구성상 일체형의 제품(one - body)의 느낌을 주게 되며, 손 전극 모듈이 외관케이스의 외곽 일측면에 위치하므로 외관케이스에 대한 착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어서 취급이 용이하고, 낙하에 의한 파손에 따른 피해가 저감되므로 수리에 소요되는 비용도 최소화할 수 있는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성분 분석장치는 병원 또는 헬스센터 등 공공장소에서 다수의 피측정자에게 쓰이는 경우에 있어서는, 발바닥 전극을 갖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는 스탠드부 및 이에 결합되되, 키입력부와 표시부를 구비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탠드형의 체성분 분석장치를 사용케 되나, 이와 더불어 최근들어서 비만, 성인병 등의 예방에 대한 개개인의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가정 또는 제한된 장소에서 간편하게 자신의 체성분을 수시로 측정하고, 이들 측정 결과값을 꾸준히 데이터화 함으로써 자신의 건강증진을 스스로 도모코자하는 경향이 증가하면서,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제품으로서 체중계 형상의 체성분 분석기가 널리 상용화되기에 이르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체성분 분석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체성분 분석기는 다수개의 발 전극(4)을 상측면에 구비하는 본체부(2)와 상기 본체부(2)에 연결코드(8)에 의하여 상호간에 연결되는 모듈부(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특히, 본체부(2)의 발 전극(4) 윗쪽 일측면상의 일정한 곳에 상기의 모듈부(3)가 본체부(2)와는 별개의 구성품으로서 얹혀지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듈부(3)는 피 측정자의 손바닥등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손 전극(5)과 피 측정자의 신장, 성별, 연령 등의 개인의 신체적 특징을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키(6) 및 상기 입력키(6)에 의하여 입력된 값 또는 체성분 분석기에 의하여 분석된 체성분 결과값을 나타내는 표시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종래기술에 따른 체성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피 측정자가 자신의 체성분 등을 분석하고자 하는 때에는, 상기 본체부(2)상의 발 전극(4)에 자신의 양쪽 발바닥면이 접촉되도록 자세를 취한 후, 상기 체성분 분석기를 작동키 위하여 우선 상기 모듈부(3)를 상기 본체부(2)로부터 탈거시킨 뒤, 상기 손 전극(5)에 자신의 양 손가락이 접촉되도록 파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에 따른 종래의 체성분 분석기는, 상기 본체부(2)에 별개의 제품과도 같은 모듈부(3)를 얹는 구조를 취하므로, 이동시 본체부(2)로부터 모듈부(3)가 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으며, 상기 모듈부(3)에 입력키(6) 및 표시부(7)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무게가 무거워져서 피 측정자가 다루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실수로 상기 모듈부(3)를 바닥면에 떨어뜨리게 되는 경우에는 충격에 의한 파손으로 입력키(6) 및 표시부(7)를 포함하는 모듈부(3)를 전체적으로 수리해야 하 므로 비용부담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작동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손 전극 모듈을 갖는 다른 예의 체성분 분석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 제품의 형태를 취하며, 전극부(14)와 입력키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작동부(11)를 일체로 하는 손 전극 모듈부(10)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과 상호 유사하다.
다만, 도 2에 있어서는, 상기 손 전극 모듈부(10)를 본체측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구성을 갖는 것이 차이점인 바, 상기 작동부(11)가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홈(12)을 본체의 상측면에 구비토록 하되, 상기 전극부(14)를 포함하는 손 전극 모듈부(10)의 상단부는 본체측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거치대(13)에 안착되게 형성시킨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에 따른 종래의 체성분 분석기는, 도 1과 마찬가지로, 손 전극 모듈부(10)에 전극부(14)와 입력키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작동부(11)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토록 함으로써 무게가 무거워져서 피 측정자가 다루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파손시에는 마찬가지로 비용부담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극부(14)를 포함하는 손 전극 모듈부(10)의 상단부가 안착되도록 하는 거치대(13)가 본체의 바깥 측에 돌출되게 형성시키므로써, 구조에 있어서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손 전극 모듈을 갖는 또 다른 예의 체성분 분석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체성분 분석기는 본체부(16)와 연결코드(18)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손 전극 모듈부(17)를 포함하되, 상기 손 전극 모듈부(17)는 본체부(16)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거치대(19)에 안착되도록 하는 구조일 뿐만 아니라, 손 전극 모듈부(17)가 거치대(19)에 안착된 후에도 상기 연결코드(18)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더우기, 상기의 구성에 따른 종래의 체성분 분석기는, 손 전극 모듈부(17)가 거치대(19)상에 얹혀지는 구조를 취하므로, 이동시 외부에서 건드리게 되면 상기 손전극 모듈부(17)가 거치대(19)로부터 쉽게 탈거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코드(18)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취하므로 장기간 사용에 의한 변형에 의하여 외관상 흉하게 됨과 동시에, 변형된 연결코드(18)에 간섭되어 상기 손 전극 모듈부(17)가 거치대(19)에 정상적인 위치에 안착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경량이어서 취급이 용이하고, 파손에 따른 피해가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 구성상 일체형의 제품(one - body)의 느낌을 주게 되며,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는, 일측면에 구 비되는 다수개의 발 전극; 상기 발 전극을 포함하여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제1 측정회로부; 상기 제1 측정회로부로부터 전달되는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하고, 상기 제1 측정회로부를 제어하는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 피측정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제1 키입력부 및 상기 분석결과등을 출력하는 제1 표시부를 구비하는 외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성분 분석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관케이스 일측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더 형성하고, 다수개의 손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공간 내에 결합되고, 결합 후의 외관면이 외관케이스의 인접하는 면과 대략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 손 전극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체성분 분석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체성분 분석기는, 외관케이스(21) 일측면에 내측 방향으로만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더 포함하고, 다수개의 손 전극(28)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공간 내에 결합되고, 결합 후의 외관면(23)이 외관케이스의 인접하는 면(24)과 대략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 모듈부(22)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과 달리 본 고안에 따른 체성분 분석장치는, 피 측정자의 신장, 성별, 연령 등의 개인의 신체적 특징을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키(26) 및 상기 입력키(26)에 의하여 입력된 값 또는 체성분 분석기(20)에 의하여 분석된 체성분 결과값을 나타내는 표시부(25)가, 피 측정자의 발바닥면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발 전극(27)이 상측면에 구비되는 본체부 외관케이스(21)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모듈부(22)가 상기 본체부 외관케이스(21)에 장착되는 경우, 모듈부(22)가 수납공간에 완전하게 결합되는 형태가 되므로, 상기 체성분 분석기(20)가 마치 단품으로 구성된 제품처럼 보여지게 되는 것으로서, 더우기 이렇게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체성분 분석기(20)의 외관으로는 별도의 연결 코드등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인 것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손 전극 모듈부가 외관케이스에서 탈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체성분 분석기는, 피 측정자의 손 바닥면 등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손 전극(28)만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모듈부(22)가 본체부의 외관케이스(21)의 최외곽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모듈부 수납공간(30)에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모듈부(22)는 연결코드(29)에 의하여 본체부의 외관케이스(21)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되며, 연결코드(29)는 상기 모듈부 수납공간(30)에 나란하게 구비되는 연결코드 수납공간(31)내에 수납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피 측정자가 본 고안에 따른 체성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체성분 등을 측정하고자 하는 때에는, 외관 케이스(21)의 상측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발 전극(27)에 자신의 양쪽 발 바닥면을 접촉시킨 뒤 전원을 온(on)시키고 나서, 입력키(26)를 이용하여 자신의 신장, 성별, 연령 등의 개인의 신체적 특징을 입력시키거나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면, 표시부에 나타나는 바에 따라 비로소 체성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나서 모듈부 수납공간(30)에 수납되어서 결합되어 있는 모듈부(22)를 탈거시키고 자신의 손 바닥면 등을 모듈부(22) 외관면에 노출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손 전극(28)에 접촉시키면, 상기 모듈부(22)는 연결코드(29)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본체에 연결되어 비로소 측정이 이루어 지게 되고, 이때 측정된 결과값은 표시부(25)상에 나타나게 된다.
또한, 피 측정자가 본 고안에 따른 체성분 분석기를 이용하여 체성분 등을 측정한 후 작동을 멈춘 뒤에는, 연결코드 수납공간(31)내에 상기 연결코드(29)가 완전히 수납되도록 유지시킨 상태에서 모듈부(22)를 상기 모듈부 수납공간(30)에 결합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연결코드(29)는 체성분 분석기 외관으로는 전혀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체성분 분석기는, 외관케이스 최외곽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더 포함하고, 다수개의 손 전극을 구비하며 수납공간 내에 결합되고, 결합 후의 외관면이 외관케이스의 인접하는 면과 대략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 모듈부를 더 포함하는 구조를 취하므로써, 모듈부 결합후 연결코드가 외부로 일체 노출되지 않으며, 외관 디자인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피 측정자가 다루기에 수월한 체성분 분석기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는, 모듈부에 별도의 키입력부 및 표시부를 구비치 아니하므로, 탈거후 피측정자가 상기 손전극 모듈을 손에 쥐어서 측정하는 경우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어서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모듈을 바닥에 떨어뜨린 경우라 하더라도 낙하에 의한 파손에 따른 피해가 저감되므로 수리에 소요되는 비용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는, 손 전극 모듈이 외관케이스의 수납공간 내에 결합 된 후, 모듈의 외관면이 외관케이스의 인접하는 면과 대략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루므로ㅆ(one - body)의 느낌을 주게 되며, 모듈이 상기 외관케이스의 외곽 일측면에 위치하므로 외관케이스에 대한 착탈이 용이한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일측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발 전극; 상기 발 전극을 포함하여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제1 측정회로부; 상기 제1 측정회로부로부터 전달되는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하고, 상기 제1 측정회로부를 제어하는 제1 마이크로프로세서; 피측정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제1 키입력부 및 상기 분석결과등을 출력하는 제1 표시부를 구비하는 외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체성분 분석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관케이스 일측면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수납공간을 더 형성하고,
    다수개의 손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공간 내에 결합되고, 결합 후의 외관면이 외관케이스의 인접하는 면과 대략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루는 형상을 갖는 손 전극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 전극 모듈은, 우측 손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손 전극을 갖는 제1 전극부와 좌측 손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손 전극을 갖는 제2 전극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전극부가 제2 전극부에 막대형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 전극 모듈은, 상기 외관케이스와 신호케이블로 상호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 전극 모듈은, 상기 외관케이스에 무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 전극 모듈은, 상기 외관케이스에 적외선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외관케이스의 수납공간에 인접되게 구비되는 케이블 수납공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손 전극 모듈이 외관케이스의 수납공간 내에 결합 된 후에는, 상기 신호케이블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손 전극 모듈은, 상기 손 전극을 포함하여 생체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제2 측정회로부; 상기 제2 측정회로부로부터 전달되는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체성분을 분석하고, 상기 제2 측정회로부를 제어하는 제2 마이크로프로세서; 피측 정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제2 키 입력부 및 상기 분석결과 등을 출력하는 제2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성분 분석장치.
KR2020050033111U 2005-11-23 2005-11-23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 KR200407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111U KR200407587Y1 (ko) 2005-11-23 2005-11-23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111U KR200407587Y1 (ko) 2005-11-23 2005-11-23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587Y1 true KR200407587Y1 (ko) 2006-02-01

Family

ID=4448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111U KR200407587Y1 (ko) 2005-11-23 2005-11-23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5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315B1 (en) Portable bioelectrical impedance measuring instrument
JP3688184B2 (ja) 生体計測装置
EP1193494B1 (en) Body fat determining device
US20130158364A1 (en) Device Embodied to Measure Vital Parameters of a Patient
JP3722663B2 (ja) 生体測定装置
KR1005912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그 정보관리방법
KR20010067347A (ko) 분리가능형 생체 임피던스 계측장치
JP6317721B2 (ja) 携帯型心電計装置
JP2009050508A (ja) 生体インピーダンス測定用ハンドユニット
US20210145363A1 (en) Measuring device
EP1671583A1 (en) Body composition monitor
KR200407587Y1 (ko)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성분 분석장치
EP1092389B1 (en) Bioelectrical impedance measuring apparatus with handgrip
KR101206610B1 (ko) 탈착가능한 지지대를 갖는 체성분 측정 장치
JP4443335B2 (ja) 携帯型健康管理装置
JP2003070762A (ja)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JP4065066B2 (ja) 体脂肪計
JP4056626B2 (ja) 体脂肪計及び体脂肪率測定システム
JP4512224B2 (ja) 体重計付き体脂肪計
JP2002263077A (ja) 生体情報測定装置
JP2007319256A (ja) 携帯型心電計
KR200361600Y1 (ko) 체지방 측정기의 발 전극부
JP2000300532A (ja) 小型体重計付き体脂肪計
KR100943660B1 (ko) 생체신호 측정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력 측정 방법
KR100819537B1 (ko) 체온측정기능을 갖는 체성분 분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