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563Y1 -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 Google Patents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563Y1
KR200492563Y1 KR2020190004201U KR20190004201U KR200492563Y1 KR 200492563 Y1 KR200492563 Y1 KR 200492563Y1 KR 2020190004201 U KR2020190004201 U KR 2020190004201U KR 20190004201 U KR20190004201 U KR 20190004201U KR 200492563 Y1 KR200492563 Y1 KR 200492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column
handle
extension colum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719U (ko
Inventor
차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바디
Priority to KR2020190004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6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7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7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장 칼럼은, 칼럼 본체; 상기 칼럼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피측정자의 생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발판 전극을 구비한 발판에 탈부착 가능한 체결부; 및 상기 칼럼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피측정자의 생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EXTENSION COLUMN FOR MEASURING BODY IMPEDANCE}
이하의 설명은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수분, 단백질, 뼈 및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수분, 단백질, 뼈 및 지방의 합은 체중을 이룬다.
체성분 측정은, 이러한 인체(또는, 다른 생명체)를 구성하는 개별 성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비만 및 근육량 등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체지방량 측정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다양한 체성분 측정기의 개발이 활성화되었다.
예컨대, 체내 지방량은, 피측정자가 비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주요 지표로서, 성인병의 발병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미용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또한, 채내 수분량은, 몸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면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근육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체내 근육량은 피측정자의 영양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넓은 의학적 응용 범위를 갖는다.
특히, 암 환자 또는 투석기 환자와 같이, 질병의 추이 및 영양 상태가 상호 관련된 질병을 갖는 환자에 대해서는, 체내 근육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질병의 진행 속도나 치료의 효과가 진단될 수 있다. 또한, 체내 근육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소아의 성장 또는 발육 상태가 진단될 수 있고, 노약자의 영양 상태 또한 진단될 수 있다. 따라서, 체성분의 구성 요소를 파악하는 것은 인체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검진으로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체성분을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생체 전기 임피던스(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를 이용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생체 전기 임피던스를 이용한 체성분 분석 방법은, 적은 비용이 들고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을 갖기 때문에,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
생체 전기 임피던스 방법은 피측정자의 체내로 약한 교류 전류를 보냄으로써 인체의 전기 저항 또는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생체 전기 임피던스 방법은 측정된 전기 임피던스(또는, 전기 저항) 및 피측정자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체액의 양, 근육량, 및 체지방량 등을 산출할 수 있다.
피측정에 대한 정보는 피측정자의 신장, 체중, 연령 및 성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피측정자에 대한 정보는, 측정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예컨대, 피측정자의 연령 및 성별은, 예컨대 키보드를 사용한, 입력 등을 통해 체성분 측정 기기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피측정자의 신장 및 체중은, 실제 측정 또는 입력을 통해 체성분 측정 기기로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운반성 및 조립성이 뛰어나고, 사용이 편리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장 칼럼은, 칼럼 본체; 상기 칼럼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피측정자의 생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발판 전극을 구비한 발판에 탈부착 가능한 체결부; 및 상기 칼럼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고, 대상체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 공간이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 및 연장부는 상기 칼럼 본체를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장 칼럼의 무게 중심은 상기 칼럼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보다 상기 연장부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상기 체결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연장 칼럼은, 상기 연장부에 위치하고, 상기 피측정자의 생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핸들 전극을 구비한 핸들을 거치할 수 있는 핸들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칼럼은, 상기 핸들의 연장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거치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고, 상기 연장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 칼럼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면 및 상기 핸들 거치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홀의 테두리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 공간에는, 상기 피측정자의 생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거치 공간에 거치된 휴대형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거나, 상기 휴대형 단말기가 상기 발판에 구비된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NFC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는, 발판 본체와, 상기 발판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피측정자의 생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발판 전극과, 상기 발판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 공간을 구비하는 발판; 상기 피측정자의 생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핸들 전극을 구비하는 핸들; 및 상기 발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칼럼 본체와, 상기 칼럼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 공간에 탈부착 가능한 체결부와, 상기 칼럼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는 연장부와, 상기 핸들을 거치할 수 있는 핸들 거치부를 포함하는 연장 칼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 칼럼은, 상기 연장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측정자의 생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은, 상기 피측정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체결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전달하기 위한 발판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칼럼은,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 공간에 체결될 때, 상기 발판 접속 단자와 접촉 가능한 칼럼 접속 단자; 및 상기 칼럼 접속 단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은, 상기 피측정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피측정자의 중량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는, 상기 발판 전극 및 상기 핸들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생체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외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핸들 전극에서 감지된 정보를 상기 발판으로 전달하기 위한 연장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은, 상기 체결 공간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장 케이블이 체결 가능한 체결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은, 상기 체결 공간의 전방을 감싸는 걸림 벽에 함몰 형성된 걸림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칼럼은, 상기 체결부의 전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 홈에 걸릴 수 있는 걸림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의 상부면은, 상기 걸림 벽으로부터 함몰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은, 상기 체결 공간의 측방을 감싸는 측벽 및 상기 체결 공간의 바닥 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칼럼은, 상기 체결부의 측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의 너비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너비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발판은, 상기 체결 공간의 바닥 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의 정렬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칼럼은, 상기 체결부의 저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함몰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정렬 돌기를 수용하는 정렬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은, 상기 체결 공간의 바닥 벽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함몰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의 정렬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칼럼은, 상기 체결부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정렬 홈에 삽입되는 정렬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의 높이는 상기 정렬 돌기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의 발판 및 연장 칼럼이 쉽고 정확하게 탈부착 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운반성 및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장 칼럼 상에 생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생체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휴대형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고, 연장 칼럼 상에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생체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의 연장 칼럼에는 전극을 구비한 핸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는 쉽게 핸들을 파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핸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의 주변 구조에 의하면, 연장 칼럼이 가벼우면서도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발판의 체결 공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장 칼럼의 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발판 및 연장 칼럼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장 칼럼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장 칼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1)는, 피측정자의 생체 정보, 예를 들면, 생체 임피던스 또는 몸무게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1)는, 발판(11)과, 발판(11)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 칼럼(12)과, 피측정자의 생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핸들 전극(132)을 구비하는 핸들(13)과, 제어부(14)와, 통신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발판(11)은, 피측정자를 지지하기 위한 발판 본체(111)와, 발판 본체(111)의 상면에 배치되어 피측정자의 생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발판 전극(112)과, 발판 본체(111)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 공간(113)과, 중량 센서(114)를 구비할 수 있다. 중량 센서(114)는, 예를 들어, 발판(11)의 내부에 위치하는 로드 셀(load cell)일 수 있다.
연장 칼럼(12)은, 예를 들어, 40cm 정도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연장 칼럼(12)에 핸들(13)을 거치하거나,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1)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6) 또는 휴대형 단말기를 배치할 경우, 피측정자는 허리를 덜 구부리고도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1)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연장 칼럼(12)은, 발판(1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칼럼 본체(121)와, 칼럼 본체(121)의 일측에 구비되고 발판(11)의 체결 공간(113)에 탈부착 가능한 체결부(122)와, 칼럼 본체(1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연장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23)는, 핸들(13)을 거치할 수 있는 핸들 거치부(124)와, 핸들(13)의 연장 케이블(133)이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 홀(125)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홀(125)은, 예를 들어, 핸들 거치부(12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122) 및 연장부(123)는 칼럼 본체(121)를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123)는 체결부(122)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칼럼(12)의 무게 중심은 칼럼 본체(121)를 기준으로 체결부(122)보다 연장부(123)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체결부(122)가 체결 공간(113)에 끼워진 상태에서 연장 칼럼(12)이 발판(11) 쪽으로 넘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핸들(13)은, 핸들 전극(132)과, 핸들 전극(132)에서 감지된 정보를 발판(11)에 구비된 제어부(14)로 전달하기 위한 연장 케이블(133)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 케이블(133)을 가이드 홀(125)을 통하여 삽입한 뒤, 연장 케이블(133)의 단자(133a)를 발판(11)의 케이블 체결 홈(1136, 도 3 참조)에 체결시킴으로써, 핸들 전극(132)에서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4)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발판 전극(112), 핸들 전극(132) 및 중량 센서(11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피측정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디스플레이(126, 도 8a 참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거나, 통신부(15)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4)는, 예를 들어, 발판(11) 또는 연장 칼럼(12)에 위치할 수 있다.
통신부(15)는, 제어부(14)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의 무선 방식으로 사용자의 휴대형 단말기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5)는, 예를 들어, 발판(11) 또는 연장 칼럼(12)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발판의 체결 공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장 칼럼의 체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발판(11)은, 체결 공간(113)의 바닥 면을 형성하는 바닥 벽(113a)과, 체결 공간(113)의 전방을 감싸는 걸림 벽(113b)과, 체결 공간(113)의 측방을 감싸는 측벽(113c)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체결 공간(113)은, 바닥 벽(113a), 걸림 벽(113b) 및 측벽(113c)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발판(11)은, 체결 공간(113)에 배치되고 제어부(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판 접속 단자(1135)와, 걸림 벽(113b)에 함몰 형성된 걸림 홈(1131)과, 연장 칼럼(12)이 발판(11)에 체결되는 것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1132)와, 연장 칼럼(12)이 발판(11) 상에서 올바른 위치에 정렬되게 하는 제 1 정렬 돌기(1134) 및 제 1 정렬 홈(1133)과, 체결 공간(113)의 하측에 위치하고 연장 케이블(133)이 체결 가능한 체결 홈(1136)을 포함할 수 있다.
발판 접속 단자(1135)는, 연장 칼럼(12)이 발판(11)에 체결되면, 발판(1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어부(14)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연장 칼럼(12)의 칼럼 접속 단자(1225)로 전달할 수 있다. 발판 접속 단자(1135)는, 예를 들어, 바닥 벽(113a)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 홈(1131)은, 예를 들어, 걸림 벽(113b) 중 바닥 벽(113a)에 맞닿는 부분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1132)는, 예를 들어, 측벽(113c) 및 바닥 벽(113a)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정렬 돌기(1134)는, 예를 들어, 바닥 벽(113a)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정렬 돌기(1134)의 높이는 가이드 돌기(1132)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제 1 정렬 홈(1133)은, 예를 들어, 바닥 벽(113a)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함몰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제 1 정렬 돌기(1134)를 수용할 수 있다. 제 1 정렬 홈(1133) 및 1 정렬 돌기(1134)는 서로 형합할 수 있다.
연장 칼럼(12)은, 체결부(122)가 체결 공간(113)에 체결될 때, 발판 접속 단자(1135)와 접촉 가능한 칼럼 접속 단자(1225)와, 체결부(122)의 전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걸림 홈(1131)에 걸릴 수 있는 걸림 돌기(1221)와, 체결부(122)의 측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1132)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 홈(1222)과, 제 1 정렬 돌기(1134)를 수용하는 제 2 정렬 홈(1224)과, 제 1 정렬 홈(1133)에 삽입되는 제 2 정렬 돌기(1223)와, 칼럼 접속 단자(1225)로부터 디스플레이(126)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케이블(1226, 도 5a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1221) 및 걸림 홈(1131)의 걸림 구조에 의하면, 연장 칼럼(12)이 발판(11)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넘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 2 정렬 홈(1224)은, 예를 들어, 체결부(122)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 형성되고, 함몰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정렬 돌기(1223)는, 예를 들어, 체결부(122)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제 2 정렬 홈(1224)에 삽입될 수 있다. 제 2 정렬 돌기(1223) 및 제 2 정렬 홈(1224)은 서로 형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정렬 돌기(1223)의 높이는 가이드 돌기(1132)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발판 및 연장 칼럼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걸림 홈(1131)의 상부면은, 걸림 벽(113b)으로부터 함몰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113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연장 칼럼(12)의 상측을 발판(11) 쪽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걸림 돌기(1221)가 걸림 홈(1131)으로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다.
가이드 홈(1222)은, 연장 칼럼(12)의 체결부(122)의 중앙을 기준으로 연장부(123)에 가까운 쪽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 홈(1222)의 너비는 가이드 돌기(1132)의 너비보다 넓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홈(1222)의 너비는 가이드 돌기(1132)의 너비의 110% 내지 200%일 수 있다. 가이드 홈(1222)의 너비가 가이드 돌기(1132)의 너비의 110% 미만이면, 걸림 벽(113b) 및 가이드 돌기(1132) 사이의 폭이 지나치게 좁아져서 연장 칼럼(12)을 발판(11)에 탈부착 하는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다. 가이드 홈(1222)의 너비가 가이드 돌기(1132)의 너비의 200%를 초과하면 연장 칼럼(12)이 발판(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장 칼럼(12)이 발판(11)으로부터 후퇴될 수 있는 여유 간격이 지나치게 커짐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연장 칼럼(12)이 발판(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넘어질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가이드 돌기(1132)의 높이는 정렬 돌기(1223)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정렬 돌기(1223)의 일부는 걸림 돌기(1221) 및 가이드 홈(122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연장 칼럼(12)을 발판(11)에 탈부착시킬 때에, 정렬 돌기(1223)이 체결 공간(113)의 바닥 벽(113a)에 간섭되는 문제를 줄여줌으로써, 사용자의 조립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하여, 정렬 돌기(1223)가 정렬 홈(1133)으로부터 이탈되더라도, 가이드 돌기(1132) 및 가이드 홈(1222)에 의하여 연장 칼럼(12)이 발판(11)으로부터 일정 길이 이상 후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렬 홈(1133) 및 정렬 돌기(1223)의 형상은 각각 함몰 및 돌출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연장 칼럼(12)을 발판(11)에 조립시킬 때, 정렬 돌기(1223)가 정렬 홈(1133)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으므로, 연장 칼럼(12) 및 발판(11)의 조립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장 칼럼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장 칼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연장부(123)는, 연장부(123)의 상면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123a)과, 메인 프레임(123a)의 하측을 감싸는 커버 프레임(123b)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 거치부(124)는, 메인 프레임(123a)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핸들 거치부(124)는, 예를 들어, 연장부(123)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 칼럼(12)은, 메인 프레임(123a)의 하면 및 핸들 거치부(124)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29)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129)는, 메인 프레임(123a) 및 핸들 거치부(124)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29)는, 예를 들어, 가이드 홀(125)의 테두리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고, 연장부(123)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플랜지(129)에 의하면, 가이드 홀(125)의 외벽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가벼우면서도 핸들 거치부(124)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연장 칼럼(12)은, 디스플레이(126), NFC 모듈(127), 거치 공간 및 거치대(128)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6), NFC 모듈(127), 거치 공간 및 거치대(128)는 예를 들어, 연장부(123)에 배치될 수 있다.디스플레이(126)는, 피측정자의 생체 정보, 예를 들면, 생체 임피던스, 몸무게, 또는 기타 신상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판(11)은, 피측정자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114)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126)는 중량 센서(114)에서 측정된 피측정자의 중량을 표시할 수 있다.
NFC 모듈(127)은, 예를 들어, NFC 모듈(127)에 인접한 거치 공간에 거치된 휴대형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거나, 휴대형 단말기가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1)의 통신부(15)를 통하여 제어부(14)와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휴대형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에서 생성된 정보가 휴대형 단말기로 전송되거나, 휴대형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이 제어부(14)로 전송될 수 있다.
거치 공간은 대상체, 예를 들면,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연장부(123)의 일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 공간의 하부에는 거치대(128)가 위치하고, 거치대(128)는, 휴대형 단말기의 하측을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 공간은, 휴대형 단말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마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부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128)는 NFC 모듈(127)에 인접하게 배치됨으로써, 휴대형 단말기가 NFC 모듈(127)과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6) 및/또는 NFC 모듈(127)은 거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6)는,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하기 전에는 외부로 노출되고, 휴대형 단말기를 거치한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휴대형 단말기가 디스플레이(126)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에 있어서,
    칼럼 본체;
    상기 칼럼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피측정자의 생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발판 전극을 구비한 발판에 탈부착 가능한 체결부; 및
    상기 칼럼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고, 대상체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 공간이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 및 연장부는 상기 칼럼 본체를 기준으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발판 및 상기 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걸림 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걸림 홈에 형합하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 돌기 및 상기 걸림 홈이 서로 걸림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발판에 대하여 장착 가능하고,
    상기 연장 칼럼의 무게 중심은 상기 칼럼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체결부보다 상기 연장부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길이는 상기 체결부의 길이보다 긴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 위치하고, 상기 피측정자의 생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핸들 전극을 구비한 핸들을 거치할 수 있는 핸들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연장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가이드 홀을 더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의 상면을 형성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거치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갖고, 상기 연장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면 및 상기 핸들 거치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홀의 테두리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형성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공간에는, 상기 피측정자의 생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거치 공간에 거치된 휴대형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거나, 상기 휴대형 단말기가 상기 발판에 구비된 제어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휴대형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NFC 모듈이 배치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KR2020190004201U 2019-10-17 2019-10-17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KR200492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201U KR200492563Y1 (ko) 2019-10-17 2019-10-17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201U KR200492563Y1 (ko) 2019-10-17 2019-10-17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309U Division KR200490296Y1 (ko) 2017-06-26 2017-06-26 연장 칼럼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19U KR20190002719U (ko) 2019-10-30
KR200492563Y1 true KR200492563Y1 (ko) 2020-11-05

Family

ID=6838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201U KR200492563Y1 (ko) 2019-10-17 2019-10-17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563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8184B2 (ja) * 2000-04-20 2005-08-24 株式会社タニタ 生体計測装置
KR20060046828A (ko) * 2004-11-12 2006-05-18 주식회사 자원메디칼 측정과 보관이 간편한 체성분 분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19U (ko)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1153C2 (ru) Измеритель влаги и измеритель влаги тела
US11723550B2 (en) Impedance measurement system
CN107438406A (zh) 用于非侵入地监测生理参数的设备、系统及方法
US200601005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 signals
EP13291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body composition by measuring body dielectric constant and body impedance based on digital frequency sampling
US20100198100A1 (en) Bioelectrical impedance measurement body attachment unit and body fat measurement device
CN204618243U (zh) 一种健康自测一体机
CN105342588A (zh) 社区智能健康体检仪
JP5589480B2 (ja) 体脂肪測定装置
US20090071731A1 (en) Analytical Scale
KR101275101B1 (ko) 상호 연결된 상판부 및 지지대를 사용하여 체성분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317472A (zh) 具有测量心率体脂功能一体的检测系统
KR20100089539A (ko) 인체 센서를 이용한 정형외과적 자세 교정 장치
KR200492563Y1 (ko)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의 연장 칼럼
KR101206610B1 (ko) 탈착가능한 지지대를 갖는 체성분 측정 장치
JP2005000565A (ja) 生体情報取得装置
KR20150095439A (ko) 생체 정보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
EP14793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on of muscle mass
KR20010067315A (ko) 체중계가 부착된 인체 조성 측정 장치
KR200490296Y1 (ko) 연장 칼럼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장치
KR102372935B1 (ko) 걷기 균형감각 향상, 웨어러블 디바이스 코칭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27255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easuring loads and forces of a seated subject using scale devices
US20150359471A1 (en) Composite medical examination device
JP2003070762A (ja)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JP2008006222A (ja) 体組成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