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380Y1 - 악기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악기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380Y1
KR200407380Y1 KR2020050031235U KR20050031235U KR200407380Y1 KR 200407380 Y1 KR200407380 Y1 KR 200407380Y1 KR 2020050031235 U KR2020050031235 U KR 2020050031235U KR 20050031235 U KR20050031235 U KR 20050031235U KR 200407380 Y1 KR200407380 Y1 KR 200407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strument
circuit
keyboard
p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배리
조유근
Original Assignee
김배리
조유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배리, 조유근 filed Critical 김배리
Priority to KR2020050031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3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기를 구비한 PDA에 관한 것으로서, PDA에 형성된 기판 건반과, 상기 기판 건반에 접촉시켜 음계를 선택하는 연주봉과, 상기 기판 건반이 연주봉에 의해 접촉되었을 경우에 발진 주파수 영역에 대응한 음색 및 효과음으로 처리를 수행하는 에이직회로와, 상기 에이직 회로에서 처리된 신호를 증폭함과 아울러 PDA 회로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증폭하는 프리앰프 및 메인앰프와, 그리고 상기 증폭기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언제 어디서나 휴대하면서 악기를 쉽게 연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악기의 음색으로 연주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실증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PDA, 악기, 건반

Description

악기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PDA WITH MUSICAL INSTRUMENT}
도 1은 본 고안의 악기를 구비한 PDA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의 악기를 구비한 PDA의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에이직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건반 2 : 연주봉
3 : 에이직회로 4 : FM 송신기
5 : PDA 회로 6 : 비브라토 효과음 선택스위치
7 : 트레몰로 효과음 선택스위치
8 : 키스위치 10 : 프리앰프
11 : 음량조절 반고정저항 12 : 메인앰프
13 : 스피커 14 : FM 라디오
15 : RC 발진기 16 : 분주기
17 : 음색필터 18 : 악기선택회로
19 : 효과음 발진기 20 : 효과음 선택회로
21 : 비브라토 변조기 22 : 트레몰로 변주기
SW1 : 악기음색 선택스위치 SW2 : 효과음 선택스위치
본 고안은 악기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DA 본체에 기판 건반을 형성시켜 다양한 악기 음향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악기를 구비한 PDA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악기들은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이동하면서 악기를 연주하기는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악기를 연주하기 위해 많은 강습 및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도중에 포기하는 경우도 많았다. 그리고, 악기의 높은 가격으로 인해 실제적으로 악기가 필요한 직업을 가진 사람 이외에는 구입하기에 부담스러운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 본 고안인에 의해 출원되었던 실용신안등록 제15061호 "기판 건반 악기"는 부피가 클 뿐만 아니라 그 기능이 올겐 소리 한가지로써 매우 단조로워 사용자가 실증을 빨리 느끼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한 PDA에 기판 건반 및 에이직회로를 형성시켜 펜터치를 통해 여러 가지 악기(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피콜로, 마림바, 파이프 올겐)의 다양한 음색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악기를 구비한 PDA는, PDA에 형성된 기판 건반; 상기 기판 건반에 접촉시켜 음계를 선택하는 연주봉; 상기 기판 건반이 연주봉에 의해 접촉되었을 경우에 발진 주파수 영역에 대응한 음색 및 효과음으로 처리를 수행하는 에이직회로; 상기 에이직 회로에서 처리된 신호를 증폭함과 아울러 PDA 회로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증폭하는 프리앰프 및 메인앰프; 및 상기 증폭기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악기를 구비한 PDA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의 설명에 있어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악기를 구비한 PDA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A의 일부에 기판 건반(1)을 형성시키고, 상기 기판 건반(1)에 연주봉(2)을 접촉시킴으로써 음악을 연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PDA에는 기판 건반(1)이 연주봉(2)에 의해 접촉되었을 경우에 발생된 신호를 처리하는 에이직회로(3)를 내장시키고 있으며, 또한 외부의 FM 라디오로 기판 건반(1)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송신하는 FM 송신기(4)가 내장되고, 기본적으로 PDA의 주요기능을 수행하는 PDA 회로(5)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PDA에는 다양한 효과음을 선택할 수 있도록 비브라토 효과음 선택스위치(6) 및 트레몰로 효과음 선택스위치(7)를 그 외부에 형성된 키입력부 형태로 형성시키고 있다. 비브라토 효과음 선택스위치(6) 및 트레몰로 효과음 선택스위치(7)는 현존하는 휴대폰의 키입력부에 기능을 부가하는 방식으로 가능하다.
상기 연주봉(2)에는 기판 건반(1)에 접촉시 누름에 대응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키스위치(8)를 형성시키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악기를 구비한 PDA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기를 구비한 PDA는 기판 건반(1)에 의해 입력된 신호는 특정 악기 및 특정 음색을 처리하는 에이직회로(3)와, 상기 에이직회로(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전단 증폭하는 프리앰프(10)와, 상기 증폭된 신호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 반고정저항(11)과, 상기 음량조절된 신호 및 PDA 회로(5)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증폭하는 메인앰프(12)와, 상기 메인앰프(1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소리로써 출력하는 스피커(1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상기 프리앰프(10)와 음량조절 반고정저항(11) 사이에 FM 송신기(4)가 부설될 수 있으며, 이 FM 송신기(4)는 FM 라디오(14) 또는 오디오 셋트로 증폭된 신호를 전달하여 PDA 보다 더 큰 음량으로 연주소리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에이직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이직회로(3)는 연주봉(2)과 기판 건반(1)의 접 촉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저항치수에 의해 주파수가 1KHz∼1MHz까지 발진하는 RC 발진기(OSC)(15)와, 상기 RC 발진기(15)로부터 1KHz∼1MHz를 받아 가청주파수(60Hz∼8KHz)로 등분하는 분주기(DEVIDE)(16)와, 상기 분주기(16)로부터 받은 신호를 합성하여 여러 가지 악기 음색을 생성하는 음색필터(17)와, 그 자신에 연결된 악기음색 선택스위치(SW1)에 의해 여러 가지 악기중 한가지 악기 음색만을 선택하는 악기선택회로(18)와, 바이브레이션과 트레몰로 효과를 내는데 사용하기 위해 5Hz∼15Hz 초저주파 신호를 발진시키는 효과음 발진기(19)와, 그 자신에 연결된 효과음 선택스위치(SW2)에 의해 바이브레이션이나 트레몰로 효과를 선택하는 효과음 선택회로(20)와, 상기 효과음 선택회로(20)에 접속되어 바이브레이션 신호 및 비브라토 신호를 FM 변조시키는 비브라토 변조기(21)와, 상기 효과음 선택회로(20)에 접속되어 트레몰로 신호를 AM 변조시키는 트레몰로 변조기(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RC 발진기(15)는 효과음 발진기(OSC)(19)로부터 초저주파신호(5∼15Hz)를 받으면 발진 주파수가 FM 변조되어 바이브레이션 효과로 연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악기를 구비한 PDA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연주봉(2)을 기판 건반(1)에 접촉시키게 되면, 기판 건반(1)의 접촉 위치(계명)에 따라 저항 치수가 결정되고, 상기 저항 치수는 RC 발진기(15)의 발진 주파수를 결정하게 된다. 이 때, RC 발진기(15)는 효과음 발진기(19)로부터 초저주파 신호(5Hz∼15Hz)의 발진이 있을 경우에 이를 전달받아 발진 주파수가 FM 변조되어 바이브레이션 효과를 내게 된다. 한편, 상기 RC 발진기(15)에서 출력된 신호는 분주기(16)에서 가청주파수(60Hz∼8KHz)로 등분되며, 이에 음색필터(17)는 등분된 신호를 합성하여 여러 가지 악기 음색을 만들어 낸다. 또한, 효과음 발진기(19), 효과음 선택회로(20), 트레몰로 변조기(22)를 거친 트레몰로 신호를 음색필터(17)에 가하게 되면 AM 변조를 일으켜 트레몰로 효과로 연주음을 떨리게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색필터(17)에서 만들어진 여러 가지 악기 신호는 악기선택회로(18)를 거치면서 악기음색 선택스위치(SW1)에 의해 여러 가지 음색중 한가지 악기 음색만 선택되고, 프리앰프(10)에서 한번 증폭된 후 음량조절 반고정저항(11)에 의해 적당한 소리 크기로 조정되어 메인앰프(12)에 보내진다. 이에 메인 앰프에서 충분히 증폭된 신호는 스피커(13)에 보내져 특정 악기의 연주 소리를 듣게 되는 것이다.
한편, FM 송신기(4)는 프리앰프(10)에서 받은 연주 신호를 FM 전파로 바꾸어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FM 송신기(4) 근처의 FM 라디오(14)나 오디오 셋트로 악기 연주 소리를 무선으로 전달하여 FM 라디오(14)나 오디오 셋트에서 충분한 출력의 음량으로 들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악기를 구비한 PDA는, 언제 어디서나 휴 대하면서 악기를 연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주봉에 의한 펜터치에 의해 연주가 이루어지므로 건반 악기의 비숙련자도 쉽게 연주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악기의 음색으로 연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브라토 및 트레몰로 효과음으로 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실증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3)

  1. PDA의 외부에 형성된 기판 건반;
    상기 기판 건반에 접촉시켜 음계를 선택하는 연주봉;
    상기 연주봉에 형성되어 기판 건반에 접촉시 누름에 대응하여 음향을 발생시키는 키스위치;
    상기 기판 건반이 연주봉에 의해 접촉되었을 경우에 발진 주파수 영역에 대응한 음색 및 효과음으로 처리를 수행하는 에이직회로;
    상기 에이직 회로에서 처리된 신호를 증폭함과 아울러 PDA 회로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증폭하는 프리앰프 및 메인앰프; 및
    상기 증폭기를 통해 전달된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직회로는,
    연주봉과 기판 건반의 접촉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저항치수에 의해 주파수가 1KHz∼1MHz까지 발진시킴과 아울러, 하기하는 효과음 발진기로부터 초저주파신호(5∼15Hz)를 받으면 발진 주파수가 FM변조되어 바이브레이션 신호를 발생시키는 RC 발진기;
    상기 RC 발진기로부터 1KHz∼1MHz를 받아 가청주파수(60Hz∼8KHz)로 등분하는 분주기;
    상기 분주기로부터 받은 신호를 합성하여 여러 가지 악기 음색을 생성하는 음색필터;
    그 자신에 연결된 악기음색 선택스위치에 의해 여러 가지 악기중 한가지 악기 음색만을 선택하는 악기선택회로;
    바이브레이션과 트레몰로 효과를 내는데 사용하기 위해 5Hz∼15Hz 초저주파 신호를 발진시키는 효과음 발진기;
    그 자신에 연결된 효과음 선택스위치에 의해 바이브레이션이나 트레몰로 효과를 선택하는 효과음 선택회로;
    상기 효과음 선택회로에 접속되어 바이브레이션 신호 및 비브라토 신호를 FM 변조시키는 비브라토 변조기; 및
    상기 효과음 선택회로에 접속되어 트레몰로 신호를 AM 변조시키는 트레몰로 변조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앰프 및 메인앰프 사이에는 상기 기판 건반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송신하는 FM 송신기를 설치하고, 상기 PDA 회로 및 메인앰프 사이에는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조절 반고정저항이 더 게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20050031235U 2005-11-03 2005-11-03 악기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0407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235U KR200407380Y1 (ko) 2005-11-03 2005-11-03 악기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235U KR200407380Y1 (ko) 2005-11-03 2005-11-03 악기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380Y1 true KR200407380Y1 (ko) 2006-01-31

Family

ID=4929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235U KR200407380Y1 (ko) 2005-11-03 2005-11-03 악기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3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4361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vibration feedback
US10540949B2 (en) Musical instrument capable of producing additional vibration sound and method therefor
KR101058617B1 (ko) 악기 연주가 가능한 휴대용 통신 장치
JPH04294394A (ja) 電子楽器
KR20170106889A (ko) 지능형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악기
US5189242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O2007067346A3 (en) Integrated digital control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4112268B2 (ja) 楽音生成装置
JP6822578B2 (ja) 電子楽器
JP7140083B2 (ja) 電子管楽器、電子管楽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6288320B1 (en) Electric musical instrument
KR200407380Y1 (ko) 악기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200408301Y1 (ko) 악기를 구비한 휴대폰
JP2008197360A (ja) 電子装置
JPH07181965A (ja) 電子楽器
AU5143400A (en) Voice-controlle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H08328555A (ja) 演奏制御装置
JP2001022364A (ja) 自動移調装置を具備したカラオケ装置
RU2140102C1 (ru) Электронно-музыкальный инструмент кубыз (варган)
Farwell Adapting the trombone: a suite of electro-acoustic interventions for the piece Rouse
JPH04347897A (ja) 電子楽器
JP2019152730A (ja) 楽曲演奏を類似的、疑似的に体験できる小型音響装置
JPH05150771A (ja) 電子楽器
KR940001035A (ko) 전자악기의 음색 제어장치와 방법
JPH0962279A (ja) 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