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317Y1 - 전통 시멘트블록 담장 - Google Patents

전통 시멘트블록 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317Y1
KR200407317Y1 KR2020050032299U KR20050032299U KR200407317Y1 KR 200407317 Y1 KR200407317 Y1 KR 200407317Y1 KR 2020050032299 U KR2020050032299 U KR 2020050032299U KR 20050032299 U KR20050032299 U KR 20050032299U KR 200407317 Y1 KR200407317 Y1 KR 200407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block
present
cutting piece
cemen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현
Original Assignee
조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현 filed Critical 조용현
Priority to KR2020050032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3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3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04C1/395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for claustra, fences, planting walls, e.g. sound-absorb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54Tie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통 시멘트블록 담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타일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양을 갖도록 한 본원인의 선등록 실용신안 제386259호를 개량하여 상기 선등록 실용신안과는 다른 새로운 장식 문양을 갖는 와편 담장을 제공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본 고안은 몸체가 호형을 이루는 도움기와(10)를 절단하여 적정폭을 갖는 가로 및 세로방향의 와편(11)(12)을 제작하는 한편, 이를 블록(20)(30)의 전면에 구성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입체감 내지는 구름모양 또는 꽃모양 등의 다양한 문양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당업계에서 통상 꽃담장으로 불리어지는 전통 시멘트 담장을 시공함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입체감이 돋보이고 특히 구름, 꽃 등의 문양으로도 연출이 가능하여 다양한 담장 문양을 제공하는 한편, 이와 함께 도움기와가 갖는 고유의 흙갈색 등이 어우러져 일층 아름다운 우리의 전통 시멘트블록 담장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전통 시멘트블록 담장{Cement block type traditional wall}
도 1a는 본 고안 도움기와를 가로방향으로 절단한 예의 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 도움기와를 세로방향으로 절단한 예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가로절단 와편을 블록에 형성한 시공상태도
도 2b는 본 고안의 세로절단 와편을 블록에 형성한 시공상태도
도 3은 본 고안 가로 및 세로절단 와편을 이용하여 문양을 형성한 담장의 정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움기와 11: 가로절단 와편
12: 세로절단 와편 20,30: 블록
40: 철심 50: 개구부
본 고안은 전통 시멘트블록 담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전타일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양을 갖도록 한 본원인의 선등록 실용신안 제386259호를 개량한 것으로 즉, 선등록 실용신안과는 달리 도움기와를 이용한 것으로 이 도움기와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그리고 적정폭으로 절단하여 블록의 전면에 구성함으로서 상기 선등록 실용신안과는 다른 새로운 장식 문양을 갖는 와편 담장을 제공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상기 본원인의 선등록 실용신안은 본원인의 또 다른 선특허 제427089호(전통 시멘트블록)를 이용하여 통상 당 업계에서 꽃담으로 불리어지는 장식 담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있는바, 선등록 실용신안의 경우 전타일 등 인조석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과 전통문양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색상을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잇점은 있으나 단순하고 평편한 바(bar) 형태로서 입체감이 결여되거나 문양의 모양이 직선으로 단조로운 결점이 있으며 색상이 가미되어 화려하기는 하나 전통미는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도 한식 기와를 이용한 와편 담장을 구성하기도 하였으나 한와 1매 또는 반토막을 사용함으로서 문양이 투박하고 부피가 크므로 다양한 문양으로 표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 담장의 두께가 확대되어 과다한 시공비와 함께 진흙을 추가로 사용할 뿐 아니라 현장에서 직접 시공하여야 하는데 따른 시공상의 번거로움도 지적되었다.
한편, 상기 본원인의 선특허 제427089호는 블록 성형틀을 이용하여 시멘트 블록을 성형하고 이를 대칭으로 합치하여 대응된 한쌍의 블록을 성형하고 있다.
그리고 본원인의 선등록 실용신안 역시 이러한 기술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으며 본원에서도 이와 같은 블록 제작수단은 동일하므로 블록 성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전타일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보다 다양한 문양과 전통미를 가미할 수 있는 전통 시멘트블록 담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즉, 본 고안은 몸체가 호형을 이루는 도움기와를 절단하여 적정폭을 갖는 가로 및 세로방향의 와편을 구비하는 한편, 이를 블록의 전면에 구성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입체감 내지는 구름모양 또는 꽃모양 등의 다양한 문양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한쌍의 성형틀을 이용하여 중앙에 철심(40)이 삽입되도록 개구부(50)를 갖는 블록(20)(30)을 대칭으로 합치되게 성형하고 철심(40) 외주의 개구부(50) 내측으로는 시멘트 몰탈을 충전하여 된 통상의 시멘트블록 담장에 있어서, 도움기와(10)를 절단선(A)을 따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절단하여 가로절단 와편(11) 및 세로절단 와편(12)을 구성하는 한편, 상기 가로절단 와편(11) 및 세로절단 와편(12)을 블록(10)(20)의 전면에 구성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조적 함으로서 다양한 문양을 갖는 담장이 구성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문양의 전통 시멘트 블록 담장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원인의 선등록 실용신안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타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조롭고 평면으로 된 바(bar) 형태로서 문양을 표출함에 있어서 가로, 세로 및 대각선 모양으로만 표현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입체감이 떨어지고 전체적인 담장 모양이 너무 획일적인 문제점이 지적되었던 것인바,
본 고안에서는 도움기와(10)를 도 1a에서와 같이 그 절단선(A)을 따라 가로방향으로 절단하여 가로절단 와편(11)을 구성하거나 도 1b에서와 같이 그 절단선(A)을 따라 세로방향으로 절단하여 세로절단 와편(12)을 구성한다.
상기 가로 및 세로절단 와편(11)(12)은 그 폭이 20~25mm 정도가 바람직하나 이와 같은 수치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는 문양의 선택 또는 수요자의 요청에 의해 그 이상 내지는 그 이하의 폭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가로절단 와편(11)은 도 2a에서와 같이 그 오목한 내면이 블록(20)(30)의 전면에 일부 함몰 되도록 하여 공히 가로방향으로 그리고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외면이 다소 호형면을 갖는 가로절단 와편(11)에 의해 입체감이 훨씬 돋보이게 된다.
물론, 문양은 상기와 같은 가로방향의 지그재그 형태로만 한정되지 않고 빗쌀문양 등 그 결합 수단에 따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세로절단 와편(12)은 도 2b에서와 같이 그 일단의 측면부가 블록(20)(30)의 전면에 일부 함몰되도록 구성하되 이 역시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하게 되면 상향 호형구조로 반복된 세로절단 와편(12)에 의해 일종의 구름모양 내지는 꽃모양 등으로 표출되어 우리의 전통적인 문양이 표현되게 된다.
이러한 가로 및 세로절단 와편(11)(12)으로 된 블록(20)(30)을 도 3에서와 같이 가로절단 와편(11)이 구성된 블록은 중앙에 그리고 세로절단 와편(12)이 구성된 블록은 상,하단에 배열하여 상호 혼합되게 담장을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가로절단 와편(11) 만으로 담장을 시공하거나 세로절단 와편(12) 만으로 된 담장을 시공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당업계에서 통상 꽃담장으로 불리어지는 전통 시멘트 담장을 시공함에 있어서, 입체감이 돋보이고 특히 구름, 꽃 등의 문양으로도 연출이 가능하여 다양한 담장 문양을 제공하는 한편, 이와 함께 도움기와가 갖는 고유의 흙갈색 등이 어우러져 일층 아름다운 우리의 전통 시멘트블록 담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 역시 현장이 아닌 작업장에서 블록을 성형하여 현장에서 바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이 편리하며 특히 종래와 같이 진흙을 사용하지 않아 성형이 일층 간단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록의 용이한 성형 및 시공상의 편리함 그리고 원자재의 절감 등으로 인하여 공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문화재 외에 일반 담장에도 전통 담장인 일종의 와편 꽃담장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한쌍의 성형틀을 이용하여 중앙에 철심(40)이 삽입되도록 개구부(50)를 갖는 블록(20)(30)을 대칭으로 합치되게 성형하고 철심(40) 외주의 개구부(50) 내측으로는 시멘트 몰탈을 충전하여 된 통상의 시멘트블록 담장에 있어서, 도움기와(10)를 절단선(A)을 따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절단하여 가로절단 와편(11) 및 세로절단 와편(12)을 구성하는 한편, 상기 가로절단 와편(11) 및 세로절단 와편(12)을 블록(10)(20)의 전면에 구성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조적 함으로서 다양한 문양을 갖는 담장이 구성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 시멘트블록 담장.
KR2020050032299U 2005-11-15 2005-11-15 전통 시멘트블록 담장 KR200407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299U KR200407317Y1 (ko) 2005-11-15 2005-11-15 전통 시멘트블록 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299U KR200407317Y1 (ko) 2005-11-15 2005-11-15 전통 시멘트블록 담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317Y1 true KR200407317Y1 (ko) 2006-01-26

Family

ID=4175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299U KR200407317Y1 (ko) 2005-11-15 2005-11-15 전통 시멘트블록 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3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404B1 (ko) 2008-02-28 2010-08-11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블록담장용 지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61832B1 (ko) 2013-12-12 2014-11-13 송규정 전통 담장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통 담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404B1 (ko) 2008-02-28 2010-08-11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근정 블록담장용 지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61832B1 (ko) 2013-12-12 2014-11-13 송규정 전통 담장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통 담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7317Y1 (ko) 전통 시멘트블록 담장
CN105735599B (zh) 一种具有双面马赛克图案装饰效果的格栅墙及其制作方法
CN107524262A (zh) 由连锁组合砌块拼装的结构柱及拼装设备
KR20110126560A (ko) 보강토 옹벽용 블럭
KR20070008286A (ko) 색채 전면을 가진 옹벽 블록
CN201730278U (zh) 具有半镂空图案的多功能板
CN2778966Y (zh) 多功能多形建材梁、柱模合
CN201381606Y (zh) 一种装饰木板
CN2800880Y (zh) 一种带有镶嵌物的梳子
CN215210295U (zh) 体现城市美学的树池篦子
CN210122847U (zh) 钢筋混凝土板柱组合装配式多功能景观围墙
CN217680059U (zh) 一种徽派仿古连体围墙瓦
CN202617801U (zh) 一种石雕花盆
KR200316294Y1 (ko) 인조석
CN204941033U (zh) 一种组合式空间围墙
JPS6136676Y2 (ko)
CN212344636U (zh) 一种原生态石料花盆
JPS604727Y2 (ja) コ−ナ−用化粧ブロツクの製造用型枠
CN107882289A (zh) 利用传统夯土制作的竹纹建筑装饰挂板结构及制作方法
JP2003088242A (ja) 縁石用ブロック
CN202299617U (zh) 用图案装饰的花圃栏板转角
KR200327403Y1 (ko) 계단식 인조석블럭
CN200996123Y (zh) 彩色仿石材边石
CN204691180U (zh) 一种腰线结构
KR200296028Y1 (ko) 건축용 장식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