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277Y1 -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 - Google Patents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277Y1
KR200407277Y1 KR2020050031633U KR20050031633U KR200407277Y1 KR 200407277 Y1 KR200407277 Y1 KR 200407277Y1 KR 2020050031633 U KR2020050031633 U KR 2020050031633U KR 20050031633 U KR20050031633 U KR 20050031633U KR 200407277 Y1 KR200407277 Y1 KR 200407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cap
discharge
fur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홍
차규환
Original Assignee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1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277Y1/ko
Priority to JP2006300143A priority patent/JP2007131352A/ja
Priority to CNA2006101382437A priority patent/CN1962370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 B65D47/14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and closure-retaining means for snap-on 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부착된 캡의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구에 전체적으로 원의 모양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원의 일측부에 돌출부위가 있어 상기 돌출부위로 용기에 들어있는 내용물이 흘러 나오도록하며 상기 내용물의 흘러나오는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주전자의 주둥이 모양과 비슷한 푸어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캡에 관한 것이다.
원형의 원기둥 일측면에 주전자의 주둥이 처럼 앞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나와 있어 내용물이 토출구로부터 토출될 때 안전하게 흘러나오도록 가이드하는 푸어러; 상기 푸어러의 외각에 설치되는 외각턱에의해 푸어러가 설치되는 부분과 견고하게 결합이 되고 상기 푸어러가 설치되는 부분을 덮는 뚜껑; 및 상기 푸어러가 설치되는 부분과 상기 뚜껑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에 의하면, 내용물에 상관없이 토출되는 양을 조정할 수 있으며 내용물을 따를 때 쿨렁거리는 내용물을 푸어러로 유도하여 안정적으로 토출시키고 내용물을 사용중 멈출경우 푸어러가 내용물을 넓게 접촉하고 있어 상기 마찰력으로 내용물의 흐름을 쉽게 끊을 수 있는 배출양 조절이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Pourer cap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quantit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푸어러(Pourer) 20 : 마개
30 : 뚜껑 40 : 외각면
50 : 외각턱 60 : 연결부
70 : 푸어러 덮개
본 고안은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pourer cap)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부착된 캡의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구에 전체적으로 원의 모양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원의 일측부에 돌출부위가 있어 상기 돌출부위로 용기에 들어있는 내용물이 흘러 나오도록하며 상기 내용물의 흘러나오는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주전자의 주둥이 모양과 비슷한 푸어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푸어러는 칵테일 바, 일반가정의 주방 등에서 용기의 내용물을 따를 때 사용하는 기구로서 사용되고 있다.
용기에 들어있는 내용물을 따를 때에는 종래에는 캡의 배출구를 크게 한다든지 원형의 모양으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으로는 용기에 들어있는 내용물의 토출되는 양을 자유롭게 조절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용물에 상관없이 토출되는 양을 조정할 수 있으며 내용물을 따를 때 쿨렁거리는 내용물을 푸어러로 유도하여 안정적으로 토출시키고 내용물을 사용중 멈출경우 푸어러가 내용물을 넓게 접촉하고 있어 상기 마찰력으로 내용물의 흐름을 쉽게 끊을 수 있는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은 원형의 원기둥 일측면에 주전자의 주둥이 처럼 앞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나와 있어 내용물이 토출구로부터 토출될 때 안전하게 흘러나오도록 가이드하는 푸어러;
상기 푸어러의 외각에 설치되는 외각턱에의해 푸어러가 설치되는 부분과 견고하게 결합이 되고 상기 푸어러가 설치되는 부분을 덮는 뚜껑; 및
상기 푸어러가 설치되는 부분과 상기 뚜껑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어러의 가운데에 위치하며 푸어러의 아래 부분에 결합이 되고 내용물이 나오는 토출구를 막고 있으며 사용할 때 분리시켜 떼어내는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개는 캡으로부터 분리시켜 떼어낼 때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원형고리 형태로 되어 있는 마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푸어러(10)의 가운데에는 용기의 내부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배출하는 토출구가 있다. 상기 토출구는 용기가 최초로 만들어 질때 마개(20)에 의해 밀패되어 진다. 사용시에는 마개(20)에 결합이 되어 있는 마개 손잡이(25)를 손가락으로 걸어서 잡아 땡겨 마개(20)을 개봉하여 사용한다.
상기 마개(20)의 외각에는 푸어러(1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푸어러(10)의 모양은 원형의 원기둥의 일측면이 주전자의 주둥이 처럼 앞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나와 있어 내용물이 토출구로부터 토출될 때 푸어러(10)로 흘러나오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된 푸어러(10)는 내용물이 나올 때 내용물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넓어 내용물의 나오는 양을 쉽게 조졸할 수 있으며 토출을 마칠 때 접촉면의 마찰에 의해 자연스럽게 내용물의 토출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푸어러(10)의 외각에는 외각면(4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외각면(40)은 푸어러(10)가 캡에 견고하게 결합이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푸어러(10)의 외각에는 외각턱(50)이 설치되어 있다. 외각턱(50)은 뚜껑(30)이 푸어러(10)가 설치되는 부분과 견고하게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각턱(50)의 일측에는 푸어러(10)가 설치되는 부분과 뚜껑(3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6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부(60)는 상기 뚜껑(30)을 상기 푸어러(1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부터 분리시켰을 때 뚜껑(30)이 푸어러(10)가 설치되는 부분과 연결이 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푸어러(10)의 가운데에는 마개(20)가 구비되어 있는데 마개(20)의 하단은 푸어러(10)의 하단과 결합이 되어 있다.
상기 마개(20)의 상단은 마개(20)를 푸어러(10)의 하단으로부터 분리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하는 고리형태의 마개 손잡이(25)가 있다. 사용시에는 상기 마개 손잡이(25)를 잡아 땡기면 땡기는 힘에 의해 마개(20)가 캡으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상기 마개(20)의 외각에는 푸어러(10)가 기둥 모양으로 결합되어 있다.
푸어러(10)의 상단부에는 내용물을 자연스럽게 토출하도록 외각으로 휘어져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푸어러(10)의 외각에는 외각면(4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외각면(40)은 푸어러(10)가 캡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각면(40)의 외각에는 외각턱(50)이 구비되는데 외각턱(50)은 뚜껑(30)이 푸어러(10)가 설치되는 부분과 견고하게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각턱(50)의 일측에는 푸어러(10)가 설치되는 부분과 뚜껑(3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6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부(60)는 상기 뚜껑(30)을 상기 푸어러(1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부터 분리시켰을 때 뚜껑(30)이 푸어러(10)가 설치되는 부분과 연결이 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토출구의 외각에는 푸어러(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푸어러(10)는 원형의 기둥에서 일측면에 돌출부위가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상기 돌출부위는 용기에 있는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 내용물과 접촉면이 많이 있고 형태가 주전자의 주둥이 모양으로 되어 있어 토출되는 내용물이 안정적으로 안내되어 토출될 수 있으며 토출을 마치고 용기의 내용물의 흐름을 차단시킬 때 내용물과의 접촉면이 넓어 신속하고 안전하게 내용물의 흐름이 차단되게 된다.
상기 푸어러(10)의 외각에는 외각면(40)이 구비되어 있으며 외각면(40)의 외 각에는 외각턱(50)이 있어 외각턱(50)은 뚜껑(30)이 푸어러(10)가 설치되는 부분과 견고하게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캡의 뚜껑(30)을 푸어러(1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상기 뚜껑(30)의 내부 중심에는 푸어러(10)와 모양이 일치되게 원형의 모양에 일측에는 돌출부위가 있는 푸어러 덮개(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외각턱(50)의 일측에는 푸어러(10)가 설치되는 부분과 뚜껑(3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60)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연결부(60)는 상기 뚜껑(30)을 상기 푸어러(10)가 설치되는 부분으로부터 분리시켰을 때 뚜껑(30)이 푸어러(10)가 설치되는 부분과 연결이 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에 기재된 문언적 의미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에 의하면, 내용물에 상관없이 토출되는 양을 조정할 수 있으며 내용물을 따를 때 쿨렁거리는 내용물을 푸어러로 유도하여 안정적으로 토출시키고 내용물을 사용중 멈출 경우 푸어러가 내용물을 넓게 접촉하고 있어 상기 마찰력으로 내용물의 흐름을 쉽게 끊을 수 있는 배출양 조절이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원형의 원기둥 일측면에 주전자의 주둥이 처럼 앞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나와 있어 내용물이 토출구로부터 토출될 때 안전하게 흘러나오도록 가이드하는 푸어러;
    상기 푸어러의 외각에 설치되는 외각턱에의해 푸어러가 설치되는 부분과 견고하게 결합이 되고 상기 푸어러가 설치되는 부분을 덮는 뚜껑; 및
    상기 푸어러가 설치되는 부분과 상기 뚜껑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어러의 가운데에 위치하며 푸어러의 아래 부분에 결합이 되고 내용물이 나오는 토출구를 막고 있으며 사용할 때 분리시켜 떼어내는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캡으로부터 분리시켜 떼어낼 때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원형고리 형태로 되어 있는 마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
KR2020050031633U 2005-11-08 2005-11-08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 KR200407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633U KR200407277Y1 (ko) 2005-11-08 2005-11-08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
JP2006300143A JP2007131352A (ja) 2005-11-08 2006-11-06 排出量が調節されるポアラーキャップ
CNA2006101382437A CN1962370A (zh) 2005-11-08 2006-11-08 可以调整流出量的浇注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633U KR200407277Y1 (ko) 2005-11-08 2005-11-08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277Y1 true KR200407277Y1 (ko) 2006-01-26

Family

ID=38081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633U KR200407277Y1 (ko) 2005-11-08 2005-11-08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131352A (ko)
KR (1) KR200407277Y1 (ko)
CN (1) CN19623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03Y1 (ko) * 2011-12-06 2013-12-02 씨제이제일제당 (주) 흘러내림 방지 및 잔류액 회수가 가능한 푸어러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6529B2 (ja) * 2010-02-02 2013-11-06 花王株式会社 計量キャップ及び液体容器
KR200461241Y1 (ko) * 2010-06-07 2012-06-28 씨제이제일제당 (주) 마개 및 그 마개를 구비한 용기
CN105819084B (zh) * 2016-05-16 2017-12-08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实业有限公司 一种不会污染使用者的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03Y1 (ko) * 2011-12-06 2013-12-02 씨제이제일제당 (주) 흘러내림 방지 및 잔류액 회수가 가능한 푸어러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62370A (zh) 2007-05-16
JP2007131352A (ja)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7732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AU2007323694B2 (en) Non-drip spout closure
EP2189387B1 (en) Plastic cap having a pouring protrusion
US20080230573A1 (en) Vessel
US20050211727A1 (en) Container
KR200407277Y1 (ko) 배출양 조절이 되는 푸어러 캡
JP2017507093A (ja) 容器閉止装置
JP2015063342A (ja) 中栓付きキャップ
JP5419824B2 (ja) 注出器
US20110284589A1 (en) Container cap
JP4276726B2 (ja) プッシュプルキャップ
JP2013184741A (ja) キャップ
JP5512421B2 (ja) 容器の注出キャップ
EP1746040A1 (en) Closure for a container
JP2012158356A (ja) 注出蓋
KR200470203Y1 (ko) 흘러내림 방지 및 잔류액 회수가 가능한 푸어러 캡
JP4349671B2 (ja) 易開栓性中栓及び中栓付容器蓋
KR19990066913A (ko) 음료수 용기용 뚜껑
JP6415311B2 (ja) 注出キャップ
JP5855521B2 (ja) 注出栓
JP2014008977A (ja) ヒンジキャップ
JP4776020B2 (ja) 注出口付きキャップ
KR200336236Y1 (ko) 흘림방지 병뚜껑
EP3150506B1 (en) Cap for non-refillable containers
JP2657229B2 (ja) 注出口を有する容器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