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904Y1 - 줄눈용 흙손 - Google Patents

줄눈용 흙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904Y1
KR200406904Y1 KR2020050030387U KR20050030387U KR200406904Y1 KR 200406904 Y1 KR200406904 Y1 KR 200406904Y1 KR 2020050030387 U KR2020050030387 U KR 2020050030387U KR 20050030387 U KR20050030387 U KR 20050030387U KR 200406904 Y1 KR200406904 Y1 KR 200406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working plate
handle
coupling piece
tr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현
Original Assignee
신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현 filed Critical 신기현
Priority to KR2020050030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9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9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16Implements for after-treatment of plaster or the like before it has hardened or dried, e.g. smoothing-tools, profile trowels
    • E04F21/161Trow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65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finishing joints, e.g. implements for raking or filling joints, jointers
    • E04F21/1655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finishing joints, e.g. implements for raking or filling joints, jointers for finishing corne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작업판을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작업할 수 있어 줄눈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여 작업 시간을 대폭 감소시키며, 작업시 결합편이 작업판을 압박하므로 줄눈을 신속하게 채울 수 있고, 작업판을 재사용 및 재활용과 교체할 수 있는 줄눈용 흙손에 관한 것이다.
이는 상측 외면에 미끄럼방지 돌기(11)를 형성하고 그 하측에 절개부(12)를 갖는 손잡이(10)를 형성하며, 손잡이(10)의 하측 외면 양쪽으로 내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돌기(21)를 형성하고 그 끝단에 절곡부(22)가 형성된 결합편(20)를 갖는 몸체(30)와; 상기 결합편(2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직사각형의 합성수지로 된 작업판(40);으로 구성한다.
손잡이, 결합편, 몸체, 고정핀

Description

줄눈용 흙손{Joint of a trowel}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작업판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5b는 본 고안인 고정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0: 손잡이
11: 돌기 12: 절개부
20: 결합편 21: 고정돌기
22: 절곡부 30: 몸체
40: 결합판 41: 홈
42: 날 50: 고정핀
51: 조임돌기 55: 머리
본 고안은 타일의 줄눈 작업이 매우 편리한 줄눈용 흙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줄눈 작업시 양쪽 결합편이 작업판을 강하게 압박하여 줄눈 시공이 매우 용이하며, 손잡이를 잡고 줄눈 작업하여 손목이나 팔에 무리가 덜 가해져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고, 작업판을 뒤집어서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된 부분을 절단한 후에 사용할 수 있어 재활용성이 뛰어난 줄눈용 흙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손(trowel)은 금속판재에 손잡이를 붙인 미장용 공구로서 미장 바름을 할 때 평평한 금속판재로 모르타르, 회반죽 등을 벽면이나 바닥면에 문질러 평평하게 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흙손으로 타일과 타일 사이 즉, 줄눈으로 모르타르를 채우는 작업을 하게 되면 금속 바닥판이 탄성이 적으므로 좌우로 자유롭게 휘어짐이 없어 줄눈시공이 매우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무 내부에 얇은 철판이 삽입되어 있는 흙손이 개시되었다. 상기 흙손은 탄성이 좋아 좌우로 자유롭게 휘어져 작업성은 좋으나, 외부의 고무가 너무 쉽게 마모되어 내부의 철판이 외부로 배출되어 장시간 사용할 수 없어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흙손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장시간 줄눈 작업을 하게 되면 손목이나 팔 등에 무리가 가해져 사용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 상기 흙손 자체를 전혀 재활용이나 재사용할 수 없어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작업판을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작업할 수 있어 줄눈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여 작업 시간을 대폭 감소시키며, 작업판을 재사용 및 재활용뿐만 아니라 교체할 수 있는 줄눈용 흙손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손잡이가 형성된 몸체로 작업판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줄눈용 흙손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는 줄눈 작업시 결합편이 작업판을 자연 압박하게 되어 줄눈 시공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고, 작업판을 재활용 및 교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의 도면 중 부호 100은 줄눈용 흙손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상측에 손잡이(10)가 형성되고 그 하측 양쪽으로 내면에 고정돌기(21)가 형성된 결합편(20)를 갖는 몸체(30)와, 상기 몸체(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작업판(40)으로 구성한다.
상기 몸체(30)는 탄성이 좋은 알루미늄 재질로서, 상측에 형성된 손잡이(10)와 그 하측 양쪽으로 일체형으로 결합편(20)을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작업하기에 편리하며 그 하측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절개된 절개부(12)를 형성하고, 원통형의 외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 돌기(11)가 가로 방향으로 다수 개를 형성한다.
그리고 손잡이(10)의 하측 양쪽에 세로 방향으로 길게 결합편(2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결합편(20)의 위치는 절개부(12)의 바로 뒤쪽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절개부(20)의 선단은 결합편(20) 앞쪽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결합편(20)은 손잡이(10)의 하측에 형성되며 그 내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대응되게 외부로 돌출된 고정돌기(21)를 형성하고 결합편(20)의 끝단이 안쪽으로 휘어진 절곡부(22)를 갖는다.
상기 고정돌기(21)는 약 5㎜~10㎜ 간격으로 형성하여 눈금을 나타내게 되고, 후술하는 작업판(40)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때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22)는 안쪽으로 휘어져 있어 사용자가 손잡이(10)를 잡고 좌우로 움직일 때 부드럽게 움직이며 작업판(40)의 표면을 자연스럽게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몸체(30)는 주로 알루미늄 재질을 사용하나, 필요시에는 금속이 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작업판(40)은 재질이 합성수지로 되어 있고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몸체(30)의 결합편(20)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작업판(40)의 세로길이는 결합편(20)의 세로길이보다 길게 형성함과 동시에 가로길이도 결합편(20)의 가로길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판(40)의 상면이 손잡이(10)의 절개부(12) 저면에 맞닿은 상태로 체결되고 결합편(20)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돌기(21)가 작업판(40)의 양면을 눌러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상기 작업판(40)은 첨부된 도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면 중앙부분에 ㄷ자형 홈(41)을 가로 방향으로 형성하여 홈(41) 양쪽으로 날(42)을 형성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몸체(30)는 첨부된 도면 도 5a 및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편(20)의 상면 양쪽으로 한쪽에 조임돌기(51)가 형성된 고정핀(50)을 체결한다.
상기 고정핀(50)은 한쪽에는 조임돌기(51)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머리(52)를 가지며, 결합편(20)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20a)으로 체결한 후에 조임돌기(51)를 한 방향으로 꺾어 주면 조임돌기(52)가 결합편(20)을 밀어 주게 되고, 이로 인해 결합편(20)이 작업판(4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종 타일의 줄눈 시공을 할 때 사용하게 되며, 사용자는 손잡이(10)를 잡고 결합편(20)에 체결된 작업판(40)을 이용하여 타일 모르타르를 타일과 타일 사이에 채워지도록 좌우로 회전하면서 작업한다.
이때, 결합편(20)의 하단에 형성된 절곡부(22)가 작업판(40)을 자연스럽게 압박함과 동시에 좌우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줄눈 시공 후 작업판(40)의 표면이 마모되면, 작업판(40)을 결합 편(20)에서 하측으로 잡아당긴 후 마모된 부분을 칼 등으로 절단한 후에 재사용하거나 작업판(40)의 상하 방향으로 바꿔 결합판(20)에 체결한 후에 사용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작업판(40)을 재사용 및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업판(40)의 절단 길이는 고정돌기(21) 한 칸만큼 하측으로 잡아 당긴 후 절단하게 되면 정확하게 5㎜~10㎜를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줄눈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 판을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대폭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를 잡고 줄눈 작업하므로 손목이나 팔에 무리가 덜 가해져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고, 결합편이 작업판을 압박하므로 줄눈을 신속하게 채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사용한 작업판은 한쪽을 뒤집어서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된 부분을 절단한 후에 사용할 수 있어 재 활용성이 뛰어나고, 작업판만을 교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측 외면에 미끄럼방지 돌기를 형성하고 그 하측에 절개부를 갖는 손잡이를 형성하며, 손잡이의 하측 외면 양쪽으로 내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그 끝단에 절곡부가 형성된 결합편를 갖는 몸체와;
    상기 결합편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직사각형의 합성수지로 된 작업판;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줄눈용 흙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은 상하면 중앙에 홈을 길게 형성하여 홈 양쪽에 날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줄눈용 흙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면 양측으로 한쪽에 조임돌기가 형성된 고정핀이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눈용 흙손.
KR2020050030387U 2005-10-26 2005-10-26 줄눈용 흙손 KR200406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387U KR200406904Y1 (ko) 2005-10-26 2005-10-26 줄눈용 흙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387U KR200406904Y1 (ko) 2005-10-26 2005-10-26 줄눈용 흙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904Y1 true KR200406904Y1 (ko) 2006-01-24

Family

ID=4929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387U KR200406904Y1 (ko) 2005-10-26 2005-10-26 줄눈용 흙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9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798B1 (ko) * 2015-01-15 2015-11-12 주식회사 티알켐텍 줄눈 보수용 스크래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798B1 (ko) * 2015-01-15 2015-11-12 주식회사 티알켐텍 줄눈 보수용 스크래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0384B2 (en) Combination wedge and notch trowel with reversible grip handle
CA2693341C (en) Tool with replaceable blade
US20100162509A1 (en) Caulk bead compressing and smoothing tool
CA2678666C (en) Offset taping knife
US9656379B2 (en) Multi-purpose drywall installation tool
US20070017052A1 (en) Taping knife with offset handle
US6379237B1 (en) Abrasive sponge grip
US20170073983A1 (en) Device for smoothing
US5392484A (en) Bullnose corner cleaning tool
US8819945B2 (en) Utility knife with detachable guard
US7587833B2 (en) Tool for plumbing, squaring and attaching
KR200406904Y1 (ko) 줄눈용 흙손
US20120180226A1 (en) Elongated scraper-hammer
US20120124843A1 (en) Utility knife
RU2577051C2 (ru) Шпатель, имеющий ручку с перпендикулярной ориентацией относительно плоскости рабочей пластины (варианты)
US20080222908A1 (en) Tool for Plumbing,Squaring and Attaching
US20090031518A1 (en) Tool for Finishing Drywall Corners with Elongated Blade Members and Extended Handle
CN213710232U (zh) 一种一体式填缝剂清除器
KR200396367Y1 (ko) 미장용 흙손
US20220333387A1 (en) Hooks for tools such as trowels
US20220372771A1 (en) Surface spatula
KR200381728Y1 (ko) 미장용 흙손
CN213005085U (zh) 一种轻型连体锤
KR100726714B1 (ko) 대패날과 스프링이 달린 망치
JP3944409B2 (ja) バ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