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367Y1 - 미장용 흙손 - Google Patents

미장용 흙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367Y1
KR200396367Y1 KR20-2005-0018307U KR20050018307U KR200396367Y1 KR 200396367 Y1 KR200396367 Y1 KR 200396367Y1 KR 20050018307 U KR20050018307 U KR 20050018307U KR 200396367 Y1 KR200396367 Y1 KR 200396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wel
handle portion
plastering
present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3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환
Original Assignee
황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환 filed Critical 황규환
Priority to KR20-2005-00183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3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3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25G1/102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the shape being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or improve gri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16Implements for after-treatment of plaster or the like before it has hardened or dried, e.g. smoothing-tools, profile trowels
    • E04F21/161Tr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장용 흙손에 관해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은, 흙손 본체; 상기 흙손 본체의 상면 중앙부에 체결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선단에 소정 각도로 하향 절개된 엄지 받침면이 형성되고,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플라스틱 재질의 파이프 형상 손잡이부의 외면에 손가락 배치를 따른 돌기가 형성되고 그 위로 고무패킹이 끼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가볍고, 수분 흡수를 방지하여 중량의 변화가 없으며, 물기로 인한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작업의 효율성 및 정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장용 흙손{TROWEL FOR PLASTERER}
본 고안은 미장용 흙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부의 외면에 손가락 배치를 따른 돌기가 형성되고 그 위로 고무패킹이 끼움 결합되어, 수분 흡수를 방지하여 중량의 변화가 없으며, 물기로 인한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작업의 효율성 및 정밀성이 향상되는 미장용 흙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장 작업은 미장공이 벽면 등에 시멘트를 바르는 작업을 지칭하며, 먼저 목재로 된 흙손을 이용하여 시멘트 면의 두께를 고르게 조정한 다음 철판으로 되어 있는 흙손을 이용하여 마무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미장 작업에 사용되는 종래의 미장용 흙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손 본체(10)와, 상기 흙손 본체(10)의 상면 중앙부에 체결된 연결부재(20), 및 상기 연결부재(2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30)는 통상적으로 목재로 수공되어 제작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미장용 흙손은 그 손잡이부가 목재로 이루어져 미장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시멘트와 섞이는 수분을 흡수함으로 인해 중량이 더욱 무거워지고, 외면의 물기가 제거되지 못하여 미끄러우며, 이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감을 증폭시키고 작업의 정밀성을 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미장용 흙손은 손잡이부가 전체적으로 밋밋한 원통형을 이루고 있어 장시간 작업시 엄지 손가락 가압부위에 피로감이 누적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라스틱 재질의 파이프 형상 손잡이부의 외면에 손가락 배치를 따른 돌기가 형성되고 그 위로 고무패킹이 끼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가볍고, 수분 흡수를 방지하여 중량의 변화가 없으며, 물기로 인한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작업의 효율성 및 정밀성이 향상되는 미장용 흙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부의 선단에 소정 각도로 하향 절개된 엄지 받침면이 형성되어 장시간 작업시 엄지 손가락에 걸리는 피로감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킨 미장용 흙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미장용 흙손은, 흙손 본체;상기 흙손 본체의 상면 중앙부에 체결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선단에 소정 각도로 하향 절개된 엄지 받침면이 형성되고,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 외면의 다수의 돌기는 미장 작업시 손가락 배치를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는 고무패킹이 끼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무패킹은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장용 흙손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도 3은 도 2의 미장용 흙손의 손잡이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장용 흙손은, 흙손 본체(110)와, 상기 흙손 본체(110)의 상면 중앙부에 체결된 연결부재(120)와, 상기 연결부재(12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흙손 본체(110)는 선단이 유선형을 이루며 테두리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미장 작업시 작업자로 하여금 최소의 힘으로 시멘트를 원활히 펼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부재(120)는 수직 바(bar)의 형상을 이루며, 상부 측면에는 한 쌍의 날개편(120a)이 형성되고, 하단은 소정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흙손 본체(110)와 결합된다.
이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20)와 흙손 본체(110)가 나사 결합이나 끼움 결합 등 직접 체결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나, 구조적/디자인적 필요에 의해 별도의 체결판을 통해 간접 결합되는 방식도 가능하고, 이러한 체결방식의 차이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를 이루며, 그 선단에 소정 각도로 하향 절개된 엄지 받침면(130a)이 형성되고, 외면에 다수의 돌기(130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130)가 빈 파이프 형태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것은 강성을 높이고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며, 나아가 미장 작업 중 수분의 흡수를 방지하여 중량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30)의 선단에 형성된 엄지 받침면(130a)은 작업 중 엄지 손가락을 받칠 수 있도록 약 15도 내지 35도 정도의 각도로 기울여 절개된 형상을 취하게 되며, 그로 인해 장시간 작업을 진행하더라도 엄지 손가락에 걸리는 피로감이 최소화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30) 외면의 다수의 돌기(13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장 작업시 손가락 배치를 따라 다수의 열, 바람직하게는 5개의 열을 이루며 형성되고, 그 위로 고무패킹(131)이 끼움 결합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에 대한 마찰력을 극대화하게 되고, 미장 작업 중 외면에 물기가 제거되지 못하더라도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무패킹(131) 또한 외면에 다수의 돌기(131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일부는 미장 작업시 손가락 배치를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이 상술한 마찰력 강화의 차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기 손잡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을 통해 연결부재(120)의 상단과 강제 끼움 결합되게 되고, 상기 연결부재(12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날개편(120a)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130)의 회전을 방지하고 고정력을 극대화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미장용 흙손에 의하면, 플라스틱 재질의 파이프 형상 손잡이부의 외면에 손가락 배치를 따른 돌기가 형성되고 그 위로 고무패킹이 끼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가볍고, 수분 흡수를 방지하여 중량의 변화가 없으며, 물기로 인한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작업의 효율성 및 정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부의 선단에 소정 각도로 하향 절개된 엄지 받침면이 형성되어 장시간 작업시 엄지 손가락에 걸리는 피로감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장용 흙손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장용 흙손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미장용 흙손의 손잡이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흙손 본체 120 : 연결부재
130 : 손잡이부 130a : 엄지 받침면
130b : 돌기 131 : 고무패킹

Claims (5)

  1. 미장용 흙손에 있어서,
    흙손 본체;
    상기 흙손 본체의 상면 중앙부에 체결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선단에 소정 각도로 하향 절개된 엄지 받침면이 형성되고,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용 흙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외면의 다수의 돌기는 미장 작업시 손가락 배치를 따라 다수의 열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용 흙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고무패킹이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용 흙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은 외면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용 흙손.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플라스틱 재질로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용 흙손.
KR20-2005-0018307U 2005-06-24 2005-06-24 미장용 흙손 KR200396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307U KR200396367Y1 (ko) 2005-06-24 2005-06-24 미장용 흙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307U KR200396367Y1 (ko) 2005-06-24 2005-06-24 미장용 흙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367Y1 true KR200396367Y1 (ko) 2005-09-21

Family

ID=4369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307U KR200396367Y1 (ko) 2005-06-24 2005-06-24 미장용 흙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3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862A (ko) 2017-11-23 2019-05-31 김영모 미장층 형성도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862A (ko) 2017-11-23 2019-05-31 김영모 미장층 형성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76950B2 (en) Taping knife with offset handle
US7370384B2 (en) Combination wedge and notch trowel with reversible grip handle
US7434318B2 (en) Tool with enlarged hammer element
CA2678666C (en) Offset taping knife
JP5313951B2 (ja) 浴槽用手摺り
US9422728B2 (en) Deck board fastener and arrangement
US7587833B2 (en) Tool for plumbing, squaring and attaching
KR200396367Y1 (ko) 미장용 흙손
US2897911A (en) Collapsible supporting trestle
US20080047410A1 (en) Quickly collapsible dividing plate base unit for a table sawing machine
US7470084B2 (en) Ergonomic concrete hand screed
US20080104788A1 (en) Concrete Finishing Handle, Tool and Kit Assemblies
US20080222908A1 (en) Tool for Plumbing,Squaring and Attaching
US20090031518A1 (en) Tool for Finishing Drywall Corners with Elongated Blade Members and Extended Handle
WO2008095235A1 (en) A ring float
KR200406904Y1 (ko) 줄눈용 흙손
US11624195B2 (en) Adjustable stopper assembly for press brake
JP4138757B2 (ja) 建物外壁部への装飾部材の施工構造および装飾部材
KR200462017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톱
US1956370A (en) Trowel
KR20200000684U (ko) 다용도 핸드카트
US20220333387A1 (en) Hooks for tools such as trowels
KR200277725Y1 (ko) 미장용 흙손
KR200314389Y1 (ko) 미장용 흙손
KR20190114117A (ko) 목재판 벽면 시공용 고정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