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882Y1 - 석재연마기용 패드너트의 고정력 증대 장치 - Google Patents

석재연마기용 패드너트의 고정력 증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882Y1
KR200406882Y1 KR2020050029322U KR20050029322U KR200406882Y1 KR 200406882 Y1 KR200406882 Y1 KR 200406882Y1 KR 2020050029322 U KR2020050029322 U KR 2020050029322U KR 20050029322 U KR20050029322 U KR 20050029322U KR 200406882 Y1 KR200406882 Y1 KR 200406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nut
rubber pad
abrasive
stone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욱
Original Assignee
황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종욱 filed Critical 황종욱
Priority to KR2020050029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8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8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07Weight compensation; Temperature compensation; Vibration d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 B24B45/003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재연마기의 연마재에 가해지는 외부하중을 흡수하는 고무패드에 관한 것으로, 패드너트의 고정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축부재(110)가 결합되면서, 그 상면중심부에 수용홈(121-1)이 형성되면서 그 하면에 연마재(125)가 부착되는 부착면(121-2)을 형성한 고무패드(121)와, 상기 고무패드의 수용홈(121-1)에 매몰되면서 그 내주면에 상기 축부재(110)가 결합되는 나선홈(122-1)이 형성된 패드너트(122)로 이루어진 석재연마기용 완충부재(120)에 있어서, 상기 패드너트(122)의 둘레면과 하부측에 상기 수용홈(121-1)의 내벽에 매몰되어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원주홈(10)과 다각돌기(20)가 각각 형성되어져, 상기 고무패드에서 패드너트의 이탈이나 유격현상이 원천봉쇄되어 수명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연마재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연마제품의 품질이 향상되게 한 것이다.
석재연마기, 축부재, 완충부재, 고무패드, 패드너트, 연마재

Description

석재연마기용 패드너트의 고정력 증대 장치 {Device for rainforcing a pag nut of grinding stone plat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석재연마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석재연마기용 고무패드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연마기용 고무패드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석재연마기 110 : 축부재
120 : 완충부재 121 : 고무패드
122 : 패드너트 125 : 연마재
본 고안은 석재연마기의 연마재에 가해지는 외부하중을 흡수하는 고무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무패드에서 패드너트의 고정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석재연마기용 패드너트의 고정력 증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연마기는 석재판넬이나 인조대리석 등의 표면을 평평하고 광택이 나도록 연마하는 것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석재연마기(100)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축부재(110) 및, 이 축부재(110)에 결합되면서 그 하면에 연마재(125)가 부착된 완충부재(1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완충부재(120)는 도 2에서와 같이, 그 상면중심부에 수용홈(121-1)이 형성되면서 그 하면에 연마재(125)가 부착되는 부착면(121-2)을 형성한 고무패드(121) 및, 이 고무패드(121)의 수용홈(121-1)에 매몰되면서 그 내주면에 축부재(110)와 결합되는 나선홈(122-1)이 형성된 패드너트(122)로 구성된다.
따라서, 석재연마기(100)에 전원을 인가한 다음, 연마소재에 연마재(125)를 맞대고 모터를 작동시키면, 축부재(110)의 회전과정에서 완충부재(1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완충부재(120)에 부착된 연마재(125)가 회전되어 가공소재의 표면이 미려하게 광택이 나는 것이다.
이때, 석재연마기(100)를 이용하여 연마소재를 연마하면, 완충부재(120)의 회전력이나 연마재(125)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 하중이 고무패드(121)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흡수되므로, 석재연마기(100)에 가하지는 하중이 최소화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 완충부재(120)는 축부재(110)와 연마재(125)를 연결하여 외부하중을 흡수하도록 고무패드(121)를 고무재질로 성형한 상태로서, 석재연마기의 작동과정에서 고무패드(121)와 패드너트(122)와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 연마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완충부재(120)의 제조과정에서, 도 2에서와 같이, 패드너트(122)의 둘레면에 돌기나 나사산 등을 형성하여 고무패드(121)와의 밀착력 및 접촉면적을 증대시킨 구성이 있지만, 이러한 구성들은 패드너트(122)의 유격발생 및 이탈방지를 차단하기에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완충부재에서 패드너트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고무패드와의 접촉면적을 향상함으로써 고정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석재연마기용 패드너트의 고정력 증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축부재가 결합되면서, 그 상면중심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면서 그 하면에 연마재가 부착되는 부착면을 형성한 고무패드와, 상기 고무패드의 수용홈에 매몰되면서 그 내주면에 상기 축부재가 결합되는 나선홈이 형성된 패드너트로 이루어진 석재연마기용 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 패드너트의 둘레면과 하부측에 상기 수용홈의 내벽에 매몰되어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원주홈과 다각돌기가 각각 형성된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석재연마기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석재연마기용 고무패드의 분해상태도로서,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축부재(110)가 결합되면서, 그 상면중심부에 수용홈(121-1)이 형성되면서 그 하면에 연마재(125)가 부착되는 부착면(121-2)을 형성한 고무패드(121)와, 상기 고무패드의 수용홈(121-1)에 매몰되면서 그 내주면에 상기 축부재(110)가 결합되는 나선홈(122-1)이 형성된 패드너트(122)로 이루어진 석재연마기용 완충부재(120)에 있어서, 상기 패드너트(122)의 둘레면과 하부측에 상기 수용홈(121-1)의 내벽에 매몰되어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원주홈(10)과 다각돌기(20)가 각각 형성된다.
삭제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구성요소 중 석재연마기(100)의 축부재(110)와 완충부재(120)는 공지기술과 기능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완충부재(120)에 구성된 패드너트(122)의 결합구조를 변경하여 고무패드(121)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킨 것에 차이점이 포함됨을 첨언한다.
또한, 석재연마기(100)는 본원에서와 같은 축부재(110)와 완충부재(120)의 결합에 의한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완충부재(120)에 부착된 연마재(125)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라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된다.
그리고, 완충부재(120)는, 고무패드(121)와 패드너트(122)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110)와 연마재(125)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특히 고무패드(121)는 유연성이 우수한 고무나 실리콘을 포함한 모든 재질이 가능하다.
그리고, 고무패드(121)는 그 상면중심부에 수용홈(121-1)이 형성되면서 그 하면에 연마재(125)가 부착되는 부착면(111-2)가 형성된 것으로서, 그 형상이나 재질은 공지기술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고무패드(121)에 형성된 탄턱과 같은 보강수단이나 홈과 같은 완충수단이 구성된 것이라도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패드너트(122)는 고무패드(121)의 수용홈(121-1)에 매몰되어 축부재(110)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둘레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고무패드(121)가 수용되는 원주홈(10)이 형성되면서, 그 하부측에 고무패드(121)의 내벽으로 매몰되는 다각돌기(20)가 형성된다.
또한, 원주홈(10)은 그 벽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연이어서 다수개의 이탈방지용 단차부(11)가 형성되며, 또한 다각돌기(20)는 원형을 포함한 모든 다각형이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석재연마기(100)를 형성하려는 경우, 일단 축부재(110)를 구성하고 패드너트(122)에 고무패드(121)를 성형하여 완충부재(120)를 구성한 다음 고무패드(121)의 부착면(121-2)에 연마재(125)를 부착한다.
이렇게 하면, 고무패드(121)의 중심부에 패드너트(122)의 원주홈(10)과 다각돌기(20)이 매몰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고무패드(121)나 패드너트(122)에 외력이 가해지더라고 흔들림이나 유격이 방지되는 것이다.
즉, 완충부재(120)에서 고무패드(121)의 중심부에 원주홈(10)과 다각돌기(20)를 매개로 패드너트(122)가 강한 고정력으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패드너트(122)의 이탈이 원천적으로 봉쇄되는 것이다.
따라서, 석재연마기(100)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면, 축부재(110)의 회전력과 연마재(125)의 마찰력에 의한 회전하중이 발생되더라도 패드너트(122)의 이격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석재연마기용 패드너트의 고정력 증대 장치에 의하면, 석재연마기에서 고무패드의 중심부에 원주홈과 다각돌기를 매개로 강한 고정력에 의해 패드너트가 고정되므로, 완충부재에서 패드너트의 이탈이나 유격현상이 원천봉쇄되어 수명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연마재의 흔들림이 방지되어 연마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축부재(110)가 결합되면서, 그 상면중심부에 수용홈(121-1)이 형성되면서 그 하면에 연마재(125)가 부착되는 부착면(121-2)을 형성한 고무패드(121)와, 상기 고무패드의 수용홈(121-1)에 매몰되면서 그 내주면에 상기 축부재(110)가 결합되는 나선홈(122-1)이 형성된 패드너트(122)로 이루어진 석재연마기용 완충부재(120)에 있어서,
    상기 패드너트(122)의 둘레면과 하부측에 상기 수용홈(121-1)의 내벽에 매몰되어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원주홈(10)과 다각돌기(20)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연마기용 패드너트의 고정력 증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홈(10)은,
    그 벽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연이어서 다수개의 이탈방지용 단차부(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연마기용 패드너트의 고정력 증대 장치.
KR2020050029322U 2005-10-14 2005-10-14 석재연마기용 패드너트의 고정력 증대 장치 KR200406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322U KR200406882Y1 (ko) 2005-10-14 2005-10-14 석재연마기용 패드너트의 고정력 증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322U KR200406882Y1 (ko) 2005-10-14 2005-10-14 석재연마기용 패드너트의 고정력 증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882Y1 true KR200406882Y1 (ko) 2006-01-24

Family

ID=4929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322U KR200406882Y1 (ko) 2005-10-14 2005-10-14 석재연마기용 패드너트의 고정력 증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8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518B2 (en) Orbital smoothing device
US6394886B1 (en) Conformal disk holder for CMP pad conditioner
JP2013535345A (ja) 板係止機構
US20090137194A1 (en) Polishing tool
KR101096527B1 (ko) 바닥 광택기
US9089945B2 (en) Orbital smoothing device
KR200406882Y1 (ko) 석재연마기용 패드너트의 고정력 증대 장치
JP2007216330A (ja) ディスク状砥石
US8740672B2 (en) Power tool
KR200385273Y1 (ko) 텐숀지지제가 연마제를 지지한 연마휠
JP2012139737A (ja) 動力工具
JP2004223684A (ja) ウェーハノッチ研磨用パッド
KR200208018Y1 (ko) 석재 연마기용 연마재
KR101001668B1 (ko) 탄성플레이트를 구비한 연마용 플랩 디스크
KR200229950Y1 (ko) 핸드 그라인더용 연마헤드
JP2002120150A (ja) 化学機械ポリッシャ用の改善されたダイヤフラム
US6808447B2 (en) Tool, in particular diamond sector for machines for polishing surfaces such as agglomerates, tiles or the like
KR200400194Y1 (ko) 그라인더의 휠페이퍼
KR200179209Y1 (ko) 석재용 연마판
JP2009142944A (ja) 回転研磨機用研磨盤に使用されるバフ盤
KR20110116639A (ko) 건식 연마기용 연마 세그먼트
JP3100941U (ja) 楽に作業ができる回転研磨材
KR200193826Y1 (ko) 연삭기용 연삭휠
KR101943897B1 (ko) 폴리싱 머신용 회전형 연마패드 조립체
JP2018167358A (ja) 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