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650Y1 -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 Google Patents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650Y1
KR200405650Y1 KR2020050028868U KR20050028868U KR200405650Y1 KR 200405650 Y1 KR200405650 Y1 KR 200405650Y1 KR 2020050028868 U KR2020050028868 U KR 2020050028868U KR 20050028868 U KR20050028868 U KR 20050028868U KR 200405650 Y1 KR200405650 Y1 KR 2004056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ridge
pier
upright post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성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Priority to KR2020050028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6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6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에 관한 것으로서, 교각 상단의 가장자리부분에 매입 설치된 앵커부재에 기역자형 걸이대를 고정하여 수직의 교각표면과 접촉되는 직립포스트를 설치하고 상기 직립포스트의 하단에 분리 제작된 수평받침대와 난간을 조립 설치함으로써 교각 상면에 설치되는 교좌장치라든가 교각상면의 형상에 따른 영향을 받음 없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직립포스트의 내부에는 복수의 격벽을 마련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한 것을 보완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보강이 이루어지며, 수평부위는 상면이 개방되고 수직부위는 교각의 측면과 접촉되는 내면이 개방된 걸이대로 마련함으로써 교각상면에 앵커볼트로 걸이대를 설치함에 그 작업성이 용이하고 수직부위에 직립포스트가 삽입되더라도 교각측면에 직립포스트가 밀착되어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을 특징으로 한다.
교량점검, 고정자켓, 직립포스트, 걸이대

Description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fixing jacket for checking bridg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평면도,
도 3b는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을 교각에 시공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에서 앵커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에서 다른 실시 예의 걸이대를 이용하여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서 걸이대 부분을 발췌하여 나타낸 조립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걸이대 11: 수평부위
12: 장공 15: 수직부위
16: 제1체결공 17: 제1체결부재
20: 앵커부재 30: 직립포스트
31: 보강격벽 33: 제2체결공
34: 제3체결공 35: 제2체결부재
40: 수평받침대 41: 체결부
42: 제4체결공 43,51: 직립플랜지
44: 제5체결공 45: 제3체결부재
50: 난간부 52: 제6체결공
53: 파이프홀
본 고안은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각 상단의 가장자리부분에 미리 매입 설치된 앵커부재에 기역자형 걸이대를 고정하여 수직의 교각표면과 접촉됨은 물론 강도보강이 이루어진 직립포스트를 설치하며 상기 직립포스트의 하단에 분리 제작된 수평받침대와 난간이 조립 설치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서 교량의 안전도를 측정하는 기준이 교량을 지지하는 교좌장치부분에 의해 정해진다 할 것이다. 이렇게 교좌장치부분이 교량의 안전도에 중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교각의 상부에는 교좌장치부분의 상태, 즉 크랙이나 부식 등으로 인한 교량안전도의 점검이라든가 교량보수를 위한 점검대가 설치되며, 이러한 교량 점검대는 그 형상은 물론 취부구조가 다양하게 무수히 많은 것들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교량점검대 중에서 두어 개만을 발췌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74141호에는 교각의 상면에 설치되는 교각상면설치부와, 이 교각상면설치부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연속하여 교각측면과 면접되게 교각측면설치부가 설치되며 상기 각 교각측면설치부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절곡되어 안전난간과 발판이 구비되는 점검대를 설치하기 위한 점검대받침부가 마련되고 상기 각 점검대받침부의 단부에서 교각의 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점검대받침부가 수평위치로 유지되게 하는 받침부보강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등록특허공보의 교량점검용 고정자켓에 있어서는 교각상면설치부, 교각측면설치부, 점검대받침부 및 받침부보강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이어서 교각상면에 걸쳐지도록 시공함이 번거로울 수 있으며, 특히 교각상면의 교좌장치(shoe)를 피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특정한 교각의 형상에 따라서는 동일간격으로의 설치에 제약이 따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외부의 미관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347029호의 교량점검용 자켓에는 한쪽 끝단에 수직으로 교각고정봉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한쪽끝단에 상부를 향해 'ㄷ'자형 홈인 홀더를 형성시킨 발판지지대가 마련되고 이 발판지지대 의 끝단에 연결구와 조임 볼트, 너트를 이용하여 펜스지지대를 연결 고정하며, 상기 발판지지대의 교각고정봉을 감싸면서 이 교각고정봉과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면서 교각의 측면에 볼트를 취부하여 상기 발판지지대가 교각에 고정하는 교각고정구로 구성된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등록실용신안 제20-347029호의 교량점검용 자켓에 있어서는 발판지지대와 펜스지지대가 별도로 마련되어 주형 및 제품이 소형화에 따른 제작은 물론 시공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으나, 이는 발판지지대의 홀더부위와 펜스지지대의 홀더부위를 일치시킴과 아울러 연결구에 천공된 구멍을 일치시켜 볼트를 관통시켜 체결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그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위의 등록특허공보와 마찬가지로 수평걸이봉을 교각상면에 걸어놓은 후 그 양단에 수직걸이봉을 조인트로 연결 고정하되 수직걸이봉 상단에 구비된 기역자형 형상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교각의 모서리에 걸쳐지도록 설치하고 상기 수직걸이봉의 하단에 교각고정구를 이용하여 연결 시공하여야 하므로 그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공정이 추가되고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88693호에는 교량점검용 자켓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는 교각의 측면에 설치되어 그 하단부에는 상기 교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작업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발판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발판플레이트의 외측단으로 안전난간이 상향 설치되는 교량 점검용 자켓에 있어서, 양측면 상단에 인접하여 양측으로 연장되어 앵커삽입홀이 천공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리브가 장착되어 교각의 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밀착 고정되는 수개의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는 교각상면에 상응하여 밀착 지지하는 수평판과 이 수평판의 상면에 일체로 입설되는 보강판으로 연결되는 보강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보강판에는 와이어 장착홀이 형성되어 와이어에 의하여 마주보는 또는/및 인접한 와이어 장착홀을 상호 연결한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등록실용신안 제20-0388693호에 있어서는, 수직프레임의 고정리브를 앵커볼트로 교각측면에 고정하고 보강프레임들을 와이어로 상호 연결하여 교각에 동여 메는 것이어서 교좌장치의 영향 없이 시공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수직프레임을 교각측면에 앵커볼트로 취부하고 보강프레임을 와이어로 교각에 동여 메어야 하는 등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교각 상단의 가장자리부분에 미리 매입 설치된 앵커부재에 기역(ㄱ)자형 걸이대를 고정하여 수직의 교각표면과 접촉되는 직립포스트를 설치하고 상기 직립포스트의 하단에 분리 제작된 수평받침대와 난간을 조립 설치하는 것인바, 교각 상면에 설치되는 교좌장치라든가 교각상면의 형상에 따른 영향을 받음 없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직립포스트의 내부에는 복수의 격벽을 마련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한 것을 보완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한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평부위는 상면이 개방되고 수직부위는 교각의 측면과 접촉되는 내면이 개방된 걸이대로 마련함으로써 교각상면에 앵커볼트로 걸이대를 설치함에 그 작업성이 용이하고 수직부위에 직립포스트가 삽입되더라도 교각측면에 직립포스트가 밀착되어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교각의 모서리부분인 교각상면과 측면에 걸쳐지도록 측면에서 보았을 때 기역자형으로 형성되며 사각파이프가 기역자형으로 구부러지되 수평부위는 상면이 개방되고 수직부위는 교각의 측면과 접촉되는 내면이 개방됨은 물론 수평부위의 바닥에 하나이상의 장공이 형성되고 수직부위의 측면에 2개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걸이대; 상기 교각 상단의 모서리부분에 매립 설치되며 상단부분이 상기 걸이대의 수평부위 바닥에 천공되는 장공을 통해 체결 고정되는 앵커부재; 상기 걸이대의 수직부위에 천공된 체결공으로 관통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부가 수직으로 연결 고정되며 내부에 하나이상의 격벽이 형성되고 하부에 체결공이 천공된 직립포스트; 상기 직립포스트의 하단에 복수의 체결부재를 통해 수평으로 연결 고정되며 한쪽끝단은 직립포스트의 하부외면을 감싸도록 수용하는 체결부가 마련되고 이 체결부에서 다른 한쪽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면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그 끝단에 복수의 체결공이 천공된 넓은 체결용 직립플랜지가 마련되어 있는 수평받침대; 상기 수평받침대 끝단에서 체결부재를 통해 상부로 연결 고정되며 상기 수평받침대의 직립플랜지와 상응하는 형상으 로 체결용 직립플랜지가 마련되고 에이치자형 단면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상단과 그 하부로 소정간격으로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파이프홀이 천공되어 있는 난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는 교각의 상면에 앵커부재를 매설하지 않고 수평걸이봉을 체결부재로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수평부위의 직립벽면에도 2개 이상의 장공을 천공하여둠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는 볼트나 너트를 매립 시공할 수 있는데, 볼트인 경우에는 상단이 약간 돌출되어 너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시공하고 너트인 경우에는 교각상면에 긴 너트를 매립 시공하되 그 내면에 시멘트 몰탈이 채워지지 않도록 교각을 세울 때 미리 매립 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판재에 걸이대가 시공되는 간격을 갖도록 2개의 너트를 하나의 유닛으로 마련하여 걸이대의 매립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고정자켓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이대(10)는 교각(B)의 모서리부분인 교각상면과 측면에 걸쳐지도록 측면에서 보았을 때 기역자형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며, 이는 사각파이프가 기역자형으로 구부러지되 수평부위(11)는 상면이 개방되고 수직부위 (15)는 교각의 측면과 접촉되는 내면이 개방되어지며, 상기 수평부위(11)의 바닥에는 장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부위(15)의 측면에는 3개의 제1체결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12)과 제1체결공(16)은 첨부도면과 같이 1개와 3개로 도시되었으나 그 이상으로 마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교각(B) 상단의 모서리부분에는 앵커부재(20)가 매립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앵커부재(20)는 걸이대(10)의 수평부위(11) 바닥에 천공되는 장공(12)을 통해 체결 고정할 수 있는 앵커볼트, 즉 매립볼트이면 족하다.
상기 앵커부재(20)는 앵커볼트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교각(B)상면에 긴 너트를 매립 시공하되 그 내면에 시멘트 몰탈이 채워지지 않도록 교각을 세울 때 미리 매립 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판재(21)에 너트(22)를 하나의 유닛으로 마련하여 걸이대(10)를 볼트(23)로 체결할 수 있으며, 상기 판재(21)에 걸이대(10)가 시공되는 간격으로 2개의 너트(22)를 마련하면 매립 시공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도 있다.
상기 걸이대(10)의 수직부위(15)에는 내부에 충분한 강도보강을 위해 2개의 보강격벽(31)이 길이방형으로 형성된 직립포스트(30)가 복수의 제1체결부재(17)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지며, 상기 직립포스트(30)는 상기 수직부위(15)에 연결 고정하기 위해 상부에 수직부위(15)의 제1체결공(16)과 일치되는 제2체결공(33)이 천공되고 하부에는 수평받침대(40)의 연결을 위한 제3체결공(34)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직립포스트(30)의 하단에는 상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수평받침대(40)가 복수의 제2체결부재(35)를 통해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받침대(40)는 한 쪽끝단이 근부 역할을 하도록 직립포스트(30)의 하부외면을 감싸면서 수용하는 체결부(41)가 마련되어 있고 이 체결부(41)의 외측에는 직립포스트(30)의 제3체결공(34)들과 일치하면서 제2체결부재(35)가 관통되는 제4체결공(42)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41)에서 다른 한쪽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면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음은 물론 그 끝단에 복수의 제5체결공(44)이 천공된 넓은 체결용 직립플랜지(4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평받침대(40)는 교량을 점검하는 점검자의 체중은 물론 기계장비 등의 중량을 지탱하여야 하므로 충분한 강성을 갖는 단면구조인 영문 알파벳대문자인 티형(T Type)단면이나 아이형(I Type) 단면, 에이치형(H Type)단면 중에서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평받침대(40)의 끝단에는 상부로 난간부(50)가 제3체결부재(45)를 통해 연결 고정되어 있으며, 하단은 상기 수평받침대(40)의 직립플랜지(43)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체결용 직립플랜지(51)가 마련되어 있고 이 직립플랜지(51)에는 수평받침대(40)의 제5체결공(44)과 일치하는 제6체결공(52)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직립플랜지(51)의 상부로는 에이치형(H Type) 단면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되 그 상단과 그 하부로 소정간격으로 파이프(54)를 체결하기 위한 파이프홀(53)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이 교각에 시공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 4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시공주변의 공터나 생산라인에서 걸이대(10), 직립포스트(30), 수평받 침대(40) 및 난간부(50)를 각각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조립한다. 상기 수평받침대(40)와 난간부(50)는 체결용 직립플랜지(43,51)에 천공된 체결공(44,52)을 일치시켜 제3체결부재(45)로 관통시킨 다음 체결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을 조립하는 동안이나 그 이전에 교각 상면의 모서리부분, 즉 가장자리에는 소정간격으로 앵커부재(20)가 미리 매립 시공되어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조립되어진 유닛을 시공하고자 하는 교각상단부분으로 운반하되 걸이대(10)의 수평부위(11) 바닥에 천공된 장공(12)으로 앵커부재(20)의 끝단이 관통되도록 하여 너트로 견고하게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교각(B) 상면의 가장자리에만 시공하고자 하는 걸이대(10)의 개수만큼 앵커볼트(20)를 매립 시공하는 것이므로 교각(B)상면에 설치되는 교좌장치라든가 교각(B)상면의 형상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이대(10)와 연결되고 수평받침대(40)와 연결되는 직립포스트(30)의 내부에는 복수의 격벽(31)을 마련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취약할 수 있는 직립포스트(30)의 충분한 강도보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다수의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을 일정간격으로 교각에 설치한 후에는 수평받침대(40)위에 발판을 깔고 난간부(50)의 파이프홀(53)마다 각각 파이프(54)를 한쪽으로부터 끼워 세트스크루로 체결 고정함으로써 조립 시공을 마무리한다.
그리고 도 7a 및 7b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에서 다른 실시 예의 걸이대를 이용하여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교각(B)의 상면에 앵커부재를 매설하지 않고 수평걸이봉(60)의 양단에 제4체결부재(62)로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수평부위(11)의 직립벽면에 2개 이상의 장공(13)을 천공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에 의하면, 걸이대(10)를 교각(B)에 장착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교각(B)의 상면에 앵커부재를 매설함 없이 단순히 교각(B)의 상면에 수평걸이봉(60)을 가설하고 이 수평걸이봉(60)의 양단에 걸이대(10)가 연결되도록 제4체결부재(62)를 이용하여 종래와 같이 체결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은 교각 상단의 가장자리부분에 매입 설치된 앵커부재에 기역자형 걸이대를 고정하여 수직의 교각표면과 접촉되는 직립포스트를 설치하고 상기 직립포스트의 하단에 분리 제작된 수평받침대와 난간을 조립 설치함으로써 교각 상면에 설치되는 교좌장치라든가 교각상면의 형상에 따른 영향을 받음 없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직립포스트의 내부에는 복수의 격벽을 마련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한 것을 보완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보강이 이루어지는 등의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걸이대의 수평부위는 상면이 개방되고 수직부위는 교각의 측면과 접촉되는 내면이 개방된 걸이대로 마련함으로써 교각상면에 앵커볼트로 걸이대를 설치 함에 그 작업성이 용이하고 수직부위에 직립포스트가 삽입되더라도 교각측면에 직립포스트가 밀착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교각(B)의 모서리부분인 교각상면과 측면에 걸쳐지도록 측면에서 보았을 때 기역자형으로 형성되며 사각파이프가 기역자형으로 구부러지되 수평부위(11)는 상면이 개방되고 수직부위(15)는 교각의 측면과 접촉되는 내면이 개방됨은 물론 수평부위(11)의 바닥에 하나이상의 장공(12)이 형성되고 수직부위(15)의 측면에 2개 이상의 제1체결공(16)이 형성되어 있는 걸이대(10);
    상기 교각(B) 상단의 모서리부분에 매립 설치되며 상단부분이 상기 걸이대(10)의 수평부위(11) 바닥에 천공되는 장공(12)을 통해 체결 고정되는 앵커부재(20);
    상기 걸이대(10)의 수직부위(15)에 천공된 제1체결공(16)으로 관통되는 제1체결부재(17)를 통해 상부가 수직으로 연결 고정되며 내부에 하나이상의 격벽(31)이 형성되고 하부에 제3체결공(34)이 천공된 직립포스트(30);
    상기 직립포스트(30)의 하단에 복수의 제2체결부재(35)를 통해 수평으로 연결 고정되며 한쪽끝단은 직립포스트(30)의 하부외면을 감싸도록 수용하는 체결부(41)가 마련되고 이 체결부(41)의 외측에 직립포스트(30)의 제3체결공(34)과 일치하면서 제2체결부재(35)가 관통되는 제4체결공(42)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41)에서 다른 한쪽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면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그 끝단에 복수의 제5체결공(44)이 천공된 넓은 체결용 직립플랜지(43)가 마련되어 있는 수평받침대(40);
    상기 수평받침대(40)의 끝단에서 체결부재를 통해 상부로 연결 고정되며 상기 수평받침대(40)의 직립플랜지(43)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체결용 직립플랜지(51)가 마련되고 이 직립플랜지(51)에는 수평받침대(40)의 제5체결공(44)과 일치하는 제6체결공(52)이 천공되며, 상기 직립플랜지(51)의 상부로는 에이치자형 단면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상단과 그 하부로 소정간격으로 파이프를 체결하기 위한 파이프홀(53)이 천공되어 있는 난간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10)에는 교각(B)의 상면에 앵커부재를 매설하지 않고 수평걸이봉(60)을 제4체결부재(62)로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수평부위(11)의 직립벽면에 2개 이상의 장공(13)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20)는 상기 걸이대(10)를 볼트(23)로 체결할 수 있도록 판재(21)에 너트(22)를 하나의 유닛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KR2020050028868U 2005-10-10 2005-10-10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KR200405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868U KR200405650Y1 (ko) 2005-10-10 2005-10-10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868U KR200405650Y1 (ko) 2005-10-10 2005-10-10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960A Division KR100595019B1 (ko) 2005-10-10 2005-10-10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650Y1 true KR200405650Y1 (ko) 2006-01-11

Family

ID=4175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868U KR200405650Y1 (ko) 2005-10-10 2005-10-10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6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016B1 (ko) * 2014-11-25 2015-07-0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교량용 인도확장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016B1 (ko) * 2014-11-25 2015-07-0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교량용 인도확장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9059B1 (ko) 거치식 교량점검 시설물 및 그 시공방법
US20070289230A1 (en) Bracing For Shear Wall Construction
KR100595019B1 (ko)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JP6383891B1 (ja) 壁形成パネル、壁構造、及び建築物
JP6846098B2 (ja) 梁枠の取付構造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梁枠受け部材及び梁枠渡し部材
KR101387296B1 (ko) 교량의 점검 및 보수 유지관리를 위한 레일 걸이식 점검통로
KR200405650Y1 (ko)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KR101775645B1 (ko) 교량 점검용 통로
KR200409977Y1 (ko) 걸이식 교량 점검대
KR101390990B1 (ko) 강선사용 프리텐션 허리벽체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허리벽체 보강방법
JP3866256B2 (ja) 既存住宅の補強構造・工法とこれに用いるコーナー金物
JP3814607B2 (ja) 木造建築物の柱と土台の連結構造および木造建築物の柱と土台の組み付け方法
KR101035430B1 (ko) 방음벽 지주의 연결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
JP2006214268A (ja) 木造建築物の土台、柱および梁の組み付け方法
JP2006241938A (ja) 通し柱と梁との連結金具および木造建築物の軸組構造体
KR102071825B1 (ko) 코어형 pc 계단실 골조의 시공방법
KR20060016371A (ko) 교량 점검시설을 고정하기 위한 매설형 너트
JP7182475B2 (ja) 木製横架材と鋼製横架材との接合構造および受け金物
JP6464459B2 (ja) 柱脚金具及び柱脚金具を備える建物ユニット並びにその設置方法
JP5687919B2 (ja) 組立建物及び組立建物の施工方法
JP4654674B2 (ja) 木造建築物の耐震補強金具の取付け方法
CN219547568U (zh) 箱梁支撑结构
JPH0447300Y2 (ko)
JP6731467B2 (ja) 建築構造
JP3064764U (ja) 木造建築物の基礎部分の補強構造及びその補強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