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497Y1 -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497Y1
KR200405497Y1 KR2020050029977U KR20050029977U KR200405497Y1 KR 200405497 Y1 KR200405497 Y1 KR 200405497Y1 KR 2020050029977 U KR2020050029977 U KR 2020050029977U KR 20050029977 U KR20050029977 U KR 20050029977U KR 200405497 Y1 KR200405497 Y1 KR 200405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ugh
roof
bent
assembly structure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찬
Original Assignee
동신 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 이앤씨(주) filed Critical 동신 이앤씨(주)
Priority to KR2020050029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4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4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64G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는 하부의 홈통패널(50)에 의하여 지지되되,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는 홈통(40); 지붕(20)과 지붕패널(30) 사이에서 고정부재(100)에 의하여 고정 위치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홈통(40)의 상단을 지나 지붕 단부에 미치기 직전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81,82)를 구비한 고정용 브라켓(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통(40) 상단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홈통(40)의 상단 내측 하방으로 90 내지 110도의 각으로 절곡 형성된 단부(21)를 구비하고, 하부에 위치한 지붕패널(3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지붕(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용 브라켓(80)의 절곡부는 상기 지붕 단부(21)와 홈통(40) 상단부 사이의 공간에서 하방으로 홈통(40) 내측벽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제 1접철부(81)와, 상기 제 1접철부(81)의 종단에서 상기 지붕 단부(21)의 내측 방향으로 다시 경사지게 절곡된 제 2접철부(82)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STRUCTURE OF ASSEMBLING GUTTER FOR RO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붕용 홈통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의 구성요소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의 구성요소의 조립관계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지붕 70: 퍼린
21: 지붕 단부 80: 고정용 브라켓
30: 지붕패널 81,81': 제 1접철부
40: 홈통 82,82': 제 2접철부
41: 롤링부 83': 제 3접철부
42,42': 제 1절곡부 90: 캡
43: 제 2절곡부 95: 패스너
50: 홈통패널 100: 고정부재
60: 배수구 110: 프래싱
본 고안은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이음 없이 하나의 유닛으로 이루어진 홈통을 조인트 내지 볼팅 없이 연결하여 누수 위험을 방지하고 강풍에 의한 탈착 가능성을 예방할 뿐 아니라 시공의 용이함을 보장하는 홈통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홈통(Gutter)이라 함은 건축물의 지붕(roof)에서의 빗물을 받아 배출시키는 반원형 통이나 관을 의미하는 것으로, 녹이 슬지 않는 재질을 활용하여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도 빗물이 불필요하게 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주 사용 목적이라 할 수 있겠으며, 홈통의 종류는 처마홈통(eaves gutter), 선홈통(rain leader gutter), 깔때기홈통, 장식통, 누인홈통 등이 있다.
홈통은 주로 최근 녹이 스는 문제 등을 방지하기 위해 PVC가 사용되고 있기도 하나 1000m 이상의 지붕과 같이 길이가 긴 지붕의 경우 현장 시공의 용이성 및 연결 시 깨지지 않는 특성 등으로 인하여 강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홈통(40')은 지붕 전체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그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통상 6m 길이로 강재 등의 홈통 재질을 일정 길이만큼으로 절곡기를 통해 절곡한 다음 각 절곡 가공된 홈통(40')의 단부를 현장에서 조인트 부분에 별도의 실란트 처리를 포함한 리벳 접합 내지 용접 접합의 공정을 통해 연결/접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리벳 접합의 경우 외부에 노출된 홈통(40')은 태양열 내지 사계절의 기후변화에 의하여 접합부위로부터 신축 및 팽창이 시작되는 것이 필연적이라, 이로 인해 1차적으로 실란트의 불필요한 크랙(crack)을 유발하고 2차적으로 리벳 홀의 확장 등을 야기하여 결국 각 접합된 홈통(40') 사이의 간극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접접합은 건축현장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현장에서 흔히 발생되는 용접접합의 악 조건에 의하여 용접접합의 품질의 균등성을 보장할 수가 없을 뿐 아니라 용접 비드 면에 발생하는 녹으로 인하여 하자발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홈통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붕에서 홈통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홈통 조립 구조에 관한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홈통(40')은 지붕(20')과 홈통 패널(50') 상에 위치하되 빗물이 지나갈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내측에 중공부를 가진 상태에서 지붕(20')을 따라 일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빗물을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60')를 하부에 구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홈통(40')의 상부에는 홈통(40') 상단의 공간을 일정 부분 덮는 지붕(20')과 지붕(20')의 하단에 위치한 지붕 패널(30')이 위치하고 있고, 홈통(40')의 하부에는 홈통(40')을 지지하는 홈통 패널(50')이 위치하여 있으며, 이러한 홈통(40) 상하단의 지붕 패널(30') 및 홈통 패널(50')은 퍼린(purin)(70)에 의하여 결속이 되어 있다.
홈통(40')의 상단에는 홈통(40') 상단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지붕 (20')및 지붕 단부(21')가 위치하여 결국 지붕의 돌출 단부(처마 부분)(21')로 인하여 홈통(40')의 상단 폭은 홈통(40')의 하단 폭보다 적도록 이루어져 있고, 지붕(20')은 홈통(40') 상단에서 안착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결합관계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저구배 및 강풍의 영향으로 지붕과 홈통(40')의 접합부분에 강우가 역류하여 누수가 발생하거나 지붕 단부(21'), 즉 처마 부분이 들뜨는 역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고, 또한 지붕 단부(21')의 돌출 형상으로 인해 홈통(40') 내에서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풍압이 강하게 작용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낙엽이나 기타 이물질이 홈통(40') 내에 자리하 여 빗물의 막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끔 홈통(40')을 청소해줄 필요가 있는데 지붕 단부(21')의 돌출 부위가 홈통(40')의 상단을 가려 청소 공간이 용이하게 확보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홈통과 지붕 간에 차별화된 방식에 의한 연결로 인하여 누수방지 및 홈통의 청소 편리성을 도모함과 더불어 조인트 없이 지붕에 연결됨으로 완벽한 방수 성능을 보장하고 하자발생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홈통 간의 이음부위가 존재하지 않도록 지붕 위에 위치한 성형기로 인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성형한 홈통과 지붕 사이에 고정용 브라켓을 위치시켜 이음매로 인한 신축/팽창의 문제 및 이음매 간극 발생을 방지하고 기타 홈통과 지붕 간의 기존에 문제시되는 간극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홈통의 양 단부의 형상 및 이에 상응하도록 고정용 브라켓의 형상도 차별화시킴으로 홈통과 지붕의 문제시 되는 간극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지붕재의 단부를 절곡함으로 홈통과 기존 방식과 차별화되는 간극을 생성하되 이 절곡부에 캡을 추가 형성함으로 지붕재의 절곡부위에 행여나 발생할 수 있는 틈을 막아주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는 하부의 홈통패널(50)에 의하여 지지되되,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는 홈통(40); 지붕(20)과 지붕패널(30) 사이에서 고정부재(100)에 의하여 고정 위치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홈통(40)의 상단을 지나 상기 지붕 단부(21)에 미치기 직전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81,82)를 구비한 고정용 브라켓(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홈통(40) 상단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홈통(40)의 상단 내측 하방으로 90 내지 110도의 각으로 절곡 형성된 단부(21)를 구비하고, 하부에 위치한 지붕패널(3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지붕(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용 브라켓(80)의 절곡부는 상기 지붕 단부(21)와 홈통(40) 상단부 사이의 공간에서 하방으로 홈통(40) 내측벽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제 1접철부(81)와, 상기 제 1접철부(81)의 종단에서 상기 지붕 단부(21)의 내측 방향으로 다시 경사지게 절곡된 제 2접철부(82)로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홈통(40)의 양 상단부는 홈통(40)의 내측 공간 방향을 향한 다음 다시 하방을 향하도록 연장되다가 단부가 상기 고정용 브라켓(80) 내측벽 방향을 향해 말려 있도록 구성된 롤링부(41)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홈통 조립 구조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홈통 조립 구조는 지붕(또는 지붕재)(20)과 지붕 패널(30) 및 이 사이에 고정부재(10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고정용 브라켓(80), ㄷ 자 형상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진 상태에서 하부에 배수구(60)를 구비한 홈통(40), 홈통(40) 하부에서 홈통(40)을 지지하는 홈통 패널(50), 홈통 패널(50)과 지붕패널(30) 주변의 퍼린(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에서, 공지기술과 차별이 되는 것은 고정용 브라켓(80), 홈통(40)의 형상 및 구조에 관한 것이고 또한 추가적으로 지붕 구조에 관련 된 것으로 이에 대해 보다 집중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의 구성요소의 조립관계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붕(20)은 도 1,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된 형태의 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구조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붕(20)의 종단(처마), 즉 지붕 단부(21)는 홈통(40)의 내측 공간 하방으로 90도 내지 110도의 각도로서 절곡되어 즉, 지붕 단부(21)가 지붕(20)과 일자 형 태(실제로는 빗물의 중앙 집중을 위하여 약간 하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연결된 것이 아니라 하방을 향하도록 꺾여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의 지붕(20)은 본 출원인의 등록 실용신안 제 373150호의 '지붕용 조립식 패널의 연결 구조'에 사용되는 지붕(20)을 예로서 도시하여 지붕(20)의 상단 일 측에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연결부(25)를 구비하고 있는데,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지붕(2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지붕(20) 역시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렇게 지붕 단부(21)를 하방으로 절곡한 이유는 기존 지붕의 처마가 홈통 상단 공간상으로 돌출되어 입구가 좁아짐으로 풍압이 이 부위에 강하게 작용하게 됨에 따라 잘 견디지 못하여 부러지거나 또는 홈통(40) 내부에 돌풍이 발생되는 것을 적절히 방지하고 지붕(20)의 양 단부(21) 사이의 간극을 보다 넓게 확보함으로 청소 등이 용이한 구조를 갖게 하기 위함이다.
지붕 단부(21)는 절곡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일정 시간 이상 사용 시 그 절곡부위에 틈이 발생하거나 잘려질 우려가 있고, 특히 도 2, 3과 같은 지붕(20)에서는 홈통(40) 방향으로 노출된 틈이 있는데 이러한 틈을 통해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본 고안의 지붕(20)에는 단부(21) 주변의 절곡 부위에 상응하게 성형된 캡(90)이 추가적으로 씌워질 수가 있다.
캡(90)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지붕(20)의 입체 형상을 적절하게 막을 수 있도록 지붕(20) 형상에 상응하는 입체구조를 구비하고 있어, 지붕(20)의 다양한 형상 및 그 절곡 부위의 생김새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며 이러한 캡 (90)은 패스너(95)에 의하여 지붕(20)과 적절하게 연결 고정이 되어 있다.
도 4는 도 2내지 3의 구조, 즉 본 고안에 따른 홈통 조립 구조에 대한 제 1실시예의 정단면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홈통(40)은 중앙 하측에 배수구(60)를 구비하고 그 하부는 홈통 패널(5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홈통(40)은 조인트, 즉 리벳 결합이나 용접 결합 등에 의한 이음매 없이 하나의 일체형 유닛으로 성형되는 것으로, 홈통용 강판을 기존 절곡기에 의하여 절곡 가공되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공지된 성형기를 지붕 위에 올려놓고 홈통(40)의 길이에 관계없이(1300m까지 가능) 하나로 성형하는 현장 성형 방식에 의하여 성형이 된다. 이러한 홈통(40)은 기존 조인트 사이로 빗물이 누수될 수 있는 일말의 여지를 원천 봉쇄할 수 있고 시공 역시 간편한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홈통(40)의 양 상단부는 지붕(20)의 하부 면과 접촉하며, 지붕(20)의 하방 절곡된 단부(21)에 의하여 지붕 단부(21)와 홈통(40)의 상단부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간격 사이에는 조인트 없이 성형 처리된 홈통(40)을 홈통 패널(50) 등에 적절히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브라켓(80)이 위치한다.
고정용 브라켓(80)은 지붕(20)과 지붕 패널(30) 사이에서 지붕 진행 방향인 횡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홈통(40)의 상단을 지나 지붕 단부(20)에 미치기 직전에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를 구비하고 있다.
보다 자세히는, 고정용 브라켓(80)은 고정부재(100)에 의하여 지붕 패널(30)과 지붕(20) 사이에 고정되어 있으며(도 5 참조), 지붕(20)의 횡 방향 진행 방향과 평행 접촉하여 홈통(40)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지붕 단부(21)와 홈통(40) 상단부 사이의 공간에서 하방으로 절곡되되 횡 방향 연장단부가 홈통(40) 상단에서 내측 공간 쪽을 향해 조금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연장 부위로부터 홈통의 내측벽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제 1접철부(81)와 상기 제 1접철부(81)의 종단에서 지붕 단부(21)의 내측 방향으로 다시 경사지게 절곡된 제 2접철부(82)로 구성되어 있다.(브라켓의 도면 부호는 도 5 추가 참조)
고정용 브라켓(80)은 홈통(40)이 조인트가 없이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홈통(40)이 지붕 구조에 적절하게 부착될 필요가 있는데, 결국 홈통(40)의 고정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서의 의미가 있는 것이다.
고정용 브라켓(80)은 홈통(40)이 홈통 패널(50) 사이에서 들뜨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홈통(40)이 적절히 홈통 패널(50)에 안착된 상태에서 홈통(40)이 고정용 브라켓(80) 사이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제 1,2 접철부(81,82)를 가지는 것이며 제 1,2 접철부(81,82) 사이의 접철부위가 홈통(40) 내측벽과 접촉하여 결국 홈통(40)을 홈통 패널(50) 방향으로 눌러주는 역할 및 홈통(40)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제 2접철부(82)의 부피/체적으로 인하여 홈통(40)과 지붕 단부(21)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으며, 제 1접철부(81) 역시 제 2접철부(82)와 유사한 차단 효과를 발휘하여 결국 이러한 제 1, 2접철부(81,82)의 형상으로 인해 이물질 등의 유입으로부터 이중적인 차단 효과를 이룰 수가 있다.
즉, 이러한 지붕 단부(21) 구조와 고정용 브라켓(80) 및 홈통(40)의 형상 및 이 구성의 조립 구조에 의하여 역류의 누수 위험이 방지되고 강풍에 의한 탈착 위험이 감소되며 이물질의 청소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홈통 조립 구조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는 상기 설명한 제 1실시예의 구조와 유사하나, 홈통(80)의 상단부의 구조에서 제 1실시예와 차이를 가진다.
즉, 홈통(40)의 양 상단부는 홈통(40)의 내측 공간 방향을 향하되 다시 하방을 향하도록 연장되다가 이 종단이 다시 홈통(40) 내측벽 방향을 향해 말려 있도록 구성된 롤링부(4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롤링부(41)는 고정용 브라켓(80)의 제 1접철부(81) 안쪽 공간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홈통(40)의 롤링부(41) 상단의 지붕(20)과의 날카로운 접촉 관계를 방지하여 홈통(40) 상단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가 있고, 또한 거시적으로 홈통(40) 자체에서 이음매가 없다는 점을 보강하는 차원으로 홈통(40) 상단이 홈통 패널(50) 및 고정용 브라켓(80) 내부에서 적절히 고정되는 것을 보장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홈통 조립 구조에 대한 제 3실시예의 부분확대 정단면도이다. 즉, 도 6은 도 4, 5의 홈통(40)의 상단부 및 고정용 브라켓(80)의 조립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도 5의 홈통(40)의 롤링부(41)가 곧바로 홈통(40)의 상단부에서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다면, 도 6의 홈통 롤링부(41)는 홈통(40)의 상단벽에서 홈통(40) 내측 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제 1절곡부(61)의 종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용 브라켓(80)은 롤링부(41) 상단까지 직선 연장되다가 도 6을 기 준으로 롤링부(41) 좌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제 1접철부(81)와 롤링부(41)의 하측단부에서 다시 홈통(40)의 내측벽 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제 2접철부(82)로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홈통(40)의 제 1절곡부(42)와 롤링부(41)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고정용 브라켓(80)과 지붕(20) 사이에는 프래싱(flashing)(110)이 더 구비되어 있되, 프래싱(110)이 고정용 브라켓(80)의 좌측 단부를 지나 연장되다가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구성됨으로 홈통 (40)및 고정용 브라켓(80)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홈통(40)의 상단부는 고정용 브라켓(80)에 의하여 적절히 보호되는 동시에 증강된 고정 효과를 얻을 수가 있으며, 또한 고정용 브라켓(80) 역시 프래싱(110)에 의하여 보호되는 동시에 고정되는 이중의 고정 효과를 볼 수가 있게 된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변형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를 도시한 부분확대 정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홈통(40)의 상단부 내지 고정용 브라켓(80)의 단부가 도 6애서보다 한 번 더 절곡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홈통(40)은 상단에서 홈통(40) 내측 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제 1절곡부(42')와 이에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된 제 2절곡부(43')를 가지고 이 제 2절곡부(43')의 하단에 롤링부(41)를 구비하며, 고정용 브라켓(80)은 이러한 홈통(40)의 절곡부를 포함한 구조를 감싸도록 홈통(40)의 제 1절곡부(42') 종단 좌측에서 1차 수직 절곡된 제 1접철부(81'), 홈통(40)의 제 2절곡부(43') 종단 좌측에서 2차 절곡된 제 2접철부(82'), 롤링부(41)을 감싸않으 며 3차 절곡된 제 3접철부(83')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다중 절곡 부위를 가지는 홈통(40) 및 고정용 브라켓(80)의 단부는 역시 프래싱(110) 내측 공간에서 위치한다.
도 7의 이러한 구조는 도 6의 구조를 한층 더 보강한 것으로, 고정용 브라켓(80)과 홈통(40)이 절곡된 만큼 홈통(40)과 고정용 브라켓(80)의 결합/결속 정도가 강해지고 또한 홈통(40)의 상단부 및 고정용 브라켓(80)의 단부를 보다 적절하게 보호하는 동시에 역류 방지, 안정된 조립 구조를 보장할 수가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에 의하면,
1) 홈통을 이음새 없이 성형함으로써 자체적으로 빗물의 유입통로를 원천 차단할 수 있고 이음매 부분의 신축/ 팽창 현상이 없어 확실한 내구성을 보장할 수가 있으며,
2) 홈통 내의 공간에서 홈통의 상단부 및 브라켓의 절곡부를 통해 양자간 경 고한 결합관계를 보장할 수 있고,
3) 지붕의 단부를 절곡함으로 홈통 내의 풍압을 적절하게 줄이면서 풍압에 의한 홈통의 이탈 현상을 차단하게 되며,
4) 홈통 상단 내부의 공간을 확보함으로 청소가 용이해지고,
5) 지붕 단부에 캡을 덧씌움으로 수려한 외관을 갖는 동시에 절곡단부의 꺾임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6) 지붕 단부 내지 홈통의 들뜸 현상을 봉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에 있어서,
    하부에 위치한 홈통패널(50)에 의하여 안착되되,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는 홈통(40);
    지붕(20)과 지붕패널(30) 사이에서 고정부재(100)에 의하여 고정 위치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홈통(40)의 상단을 지나 지붕 단부에 미치기 직전에 상기 홈통(40) 내측벽 하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는 절곡부(81,82)를 구비한 고정용 브라켓(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20)은 상기 홈통(40) 상단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홈통(40)의 상단 내측 하방으로 90 내지 110도의 각으로 절곡 형성된 단부(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단부(21)의 절곡 부위에는 이에 상응하는 형상을 구비한 캡(90)이 덧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브라켓(80)의 절곡부는 상기 지붕 단부(21)와 홈통(40) 상단부 사이의 공간에서 하방으로 홈통(40) 내측벽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제 1접철부(81)와, 상기 제 1접철부(81)의 종단에서 상기 지붕 단부(21)의 내측 방향으로 다시 경사지게 절곡된 제 2접철부(8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통(40)의 양 상단부는 홈통(40)의 내측 공간 방향을 향한 다음 다시 하방을 향하도록 연장되다가 단부가 상기 고정용 브라켓(80) 내측벽 방향을 향해 말려 있도록 구성된 롤링부(41)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41)는 상기 홈통(40)의 상단벽에서 상기 홈통(40) 내측 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제 1절곡부(42)의 종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용 브라켓(80)은 상기 홈통(40)의 제 1절곡부(42)와 롤링부(41)를 감싸도록 수직 절곡된 제 1접철부(81')와 제 2접철부(8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홈통(40)은 상단에서 홈통(40) 내측 방향으로 수직 절곡된 제 1절곡부(42')와 이 종단에서 다시 하방으로 절곡된 제 2절곡부(43')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제 2절곡부(43')의 종단에 롤링부(41)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용 브라켓(80)은 상기 홈통(40)의 제 1 및 제 2절곡부(42',43')와 롤링부(41)를 감싸도록 제 1 내지 제 3접철부(81',82',83')로 수직 절곡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용 홈통 조립 구조.
KR2020050029977U 2005-10-21 2005-10-21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 KR200405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977U KR200405497Y1 (ko) 2005-10-21 2005-10-21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977U KR200405497Y1 (ko) 2005-10-21 2005-10-21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454A Division KR100705717B1 (ko) 2006-07-21 2006-07-21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497Y1 true KR200405497Y1 (ko) 2006-01-10

Family

ID=4175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977U KR200405497Y1 (ko) 2005-10-21 2005-10-21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4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6157B1 (en) Standing seam skylight
US4860511A (en) Standing seam roof skylight systems
US5522189A (en) Flashing for roof elements
US20180135305A1 (en) Supporting A Load On A Roof
US8448393B2 (en) Large-area skylight system
US4649680A (en) Standing seam roof skylight
KR101144709B1 (ko) 건물의 빗물배수장치
US20060150532A1 (en) Gutter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204850273U (zh) 一种钢结构建筑中的钢板天沟
EP0756659B1 (en) A flashing for roof elements
KR100705717B1 (ko)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
SK42000A3 (en) An attachment collar between a roof-penetrating building structure and an underroof
CZ288228B6 (en) Roof structure, fitting collar for sealingly joining said roof structure and a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said fitting collar
KR200405497Y1 (ko) 지붕용 홈통 조립구조
JP3923787B2 (ja) 破風構成体の取り付け構造
JP3920579B2 (ja) 破風構成体
CN205476135U (zh) 用于山墙处的遮蔽式檐口及含檐口构造的平屋顶
JP2844309B2 (ja) 屋根用断熱パネル及びその接続構造
CN219281102U (zh) 一种屋面天沟端部节点
JPH09279771A (ja) 折版屋根用の開口部補強構造
JP3655855B2 (ja) 採光用ガラス屋根
JPH019880Y2 (ko)
JP3126068U (ja) 金属製屋根材
JPS5845382Y2 (ja) ケンチクヨウメンコウセイザイノセツゾクブ
JPH03357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