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350Y1 - device for connecting concrete form - Google Patents

device for connecting concrete 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350Y1
KR200405350Y1 KR2020050028423U KR20050028423U KR200405350Y1 KR 200405350 Y1 KR200405350 Y1 KR 200405350Y1 KR 2020050028423 U KR2020050028423 U KR 2020050028423U KR 20050028423 U KR20050028423 U KR 20050028423U KR 200405350 Y1 KR200405350 Y1 KR 200405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wall
fixing device
lock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42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화
Original Assignee
김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화 filed Critical 김영화
Priority to KR2020050028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35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35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07One-piece elements
    • E04G17/0721One-piece elemen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건물의 벽체 시공을 위한 2개의 거푸집체 간격을 연결용 바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작업에 사용되며, 특히 상기 거푸집체의 위치나 자세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거니와 설치가 용이하여 한층 향상된 작업 호환성을 얻을 수 있는 거푸집 고정장치를 개시한다.It is used to fix two formwork gaps for connecting the walls of buildings using connecting bars, and in particular, it prevents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formwork from being changed, and it is also easy to install, further improving work compatibility. Disclosed is a form fixing device obtainable.

그러한 거푸집 고정장치는, 내벽 및 외벽면을 한정하기 위한 거푸집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평면의 형태로 인접 배치되며 테두리부를 따라 프레임이 감싸여지는 다수개의 판넬과, 상기 각 판넬의 테두리부에서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에 이격 형성되는 홈부들과, 상기 인접 배치되는 판넬의 프레임 사이에서 2개의 홈부가 서로 맞대어지면서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홀부에 일측단이 위치하고 이 홀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이격된 걸림턱의 외부면과 접촉하여 적어도 2군데 이상이 각각 걸려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걸림용 돌기들을 가지는 연결용 바 그리고, 상기 연결용 바의 단부를 상기 어느 하나의 홀부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들을 포함한다.Such a formwork fix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anels adjacently arranged in a planar form to form a form for defining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surface, the frame being wrapped along an edge portion, and a width direction at an edge portion of each panel. One side end is located at any one hole portion formed while the two groove portions are formed to be opposed to each other between the groove portions spaced apart from the engaging jaw formed along the frame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frame of the adjacently disposed panel. A connecting bar having a plurality of catching protrusions which are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spaced locking jaw so as to be supported in a state where at least two or more places are respectively caught, and the end of the connecting bar is one of Fixing pins for detachably fixing to the hole side of the.

벽체 시공용 거푸집체, 다수개의 유로폼, 연결용 바, 걸림부, 걸림용 돌기, 고정핀 Formwork for wall construction, multiple euroforms, connecting bars, locking parts, locking protrusions, fixing pins

Description

거푸집 연결장치{device for connecting concrete form}Formwork connecting device {device for connecting concrete form}

도 1은 본 고안과 관련하는 거푸집 연결장치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formwork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결합 측단면도이다.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gagement of FIG.

도 3은 본 고안과 관련하는 거푸집 연결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formwork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FIG. 3.

도 5는 도 1의 연결구의 걸림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portion of the connector of FIG.

도 6은 도 1의 연결구의 걸림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nnector of FIG.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과 관련하는 거푸집 연결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and 8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formwork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1의 연결부의 제거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moval oper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FIG.

본 고안은 건물의 벽체 시공을 위한 2개의 거푸집체 간격을 연결용 바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작업에 사용되며, 특히 상기 거푸집체의 위치나 자세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거니와 설치가 용이하여 한층 향상된 작업 호환성을 얻을 수 있는 거푸집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fix two formwork spacing for the wall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by using a connecting bar, in particular to prevent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formwork to be changed, as well as easy to install and further improved It relates to a formwork for achieving work compatibility.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의 벽체 시공 작업은, 내벽 및 외벽 거푸집체 사이에 간격 유지용 연결 바를 체결하여 상기 2개의 거푸집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만들어진다.In general, the wall construction of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a building is made by placing concrete between them in a state in which the two formwork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by fastening a connecting bar for maintaining gaps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formwork.

상기 벽체 시공에 사용하는 내벽 및 외벽 거푸집체는 유로폼과 같은 다수개의 판넬체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하여 벽체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평면의 거푸집체를 각각 형성하고, 이 거푸집체들을 형성하는 상기 각 유로폼들의 경계 지점에서 2개의 홈부가 서로 맞대어지면서 형성되는 홀부측에 상기 연결 바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면서 벽체 시공이 가능한 이격 상태로 고정된다.The inner wall and outer wall formwork used for the wall construction form a plurality of panel formwork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wall area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panel bodies such as euroform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respectively, to form the formwork. Both end portions of the connection bar are connected to the hole portions formed while the two groove portions are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boundary points of the respective flow forms, and are fixed in a spaced apart state where wall construction is possible.

상기 2개의 거푸집체를 고정하는 작업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연결장치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2004년 12월 6일자로 출원된 실용신안등록 제0378153호의 연결구 어셈블리가 있다.A typical connecting device used for fixing the two formwork is the connector assembly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78153 filed December 6, 2004 by the applicant.

상기 연결구 어셈블리는, 내벽 거푸집체와 외벽 거푸집체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판넬체들 사이사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이용하여 내벽면과 외벽면의 한정이 가능한 이격 상태로 상기 거푸집체들의 배치 간격을 유지하는 연결구 어셈블리로서,The connector assembly is configured to maintain an arrangement interval of the formwork in a spaced apart state in which an inner wall surface and an outer wall surface can be defined using guide grooves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panel bodies forming an inner wall formwork and an outer wall formwork. As a connector assembly,

상기 내벽 거푸집체와 외벽 거푸집체의 가이드홈측에 양단부가 각각 끼워지면서 상기 거푸집체들의 이격 구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와, 이 연결구의 양단부를 상기 가이드홈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들을 포함하며,Both ends are fitted to the guide groove side of the inner wall formwork and the outer wall formwork, respectively, and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separation section of the formwork, and fixing pins for detachably fixing both ends of the connector to the guide groove side, ,

상기 연결구는, 상기 내벽 및 외벽 거푸집체의 이격 구간에 대응하도록 일정 한 길이로 형성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양단부측이 상기 2개의 거푸집체측의 가이드홈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군데 이상이 각각 걸려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걸림부와, 이 걸림부가 상기 가이드홈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고정핀들에 의해 상기 판넬체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홀을 포함한다.The connector may be limited to flow in the main body is formed of a constant length to correspond to the separation interval of the inner wall and outer wall formwork, and both end sides of the main body is fitted in the guide groove on the two formwork side. And at least two locking portions to be supported in a locked state, respectively, and fastening holes to be fixed to the panel body side by the fixing pins while the locking portions are fitted into the guide grooves.

상기한 연결구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구 본체에 형성되는 걸림부가 상기 판넬체들의 경계 지점에서 서로 맞대어진 상태로 형성되는 가이드홈 내부에 걸려질 수 있는 걸림 돌기 또는 걸림 홈으로 이루어져서, 이 돌기나 홈이 상기 판넬체들의 가이드홈 내부 공간에서 접촉에 의해 걸려지면서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배치된 2개의 거푸집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도록 한다.The connector assembly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or a locking groove that may be hooked into a guide groove formed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portions formed on the connector bod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boundary points of the panel bodies. Two formwork members arranged in a state facing each other while being caught by contact in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grooves of the panel bodies are fixed at regular intervals.

즉,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이드홈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접촉력으로 상기 2개의 거푸집체를 이격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지지력을 확보한다. That is, the engaging portion secures the supporting force for fixing the two formwork in the spaced apart state by the physical contact force by using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groove.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 의한 연결구 어셈블리는, 상기 거푸집체들의 가이드홈 내부 공간이 상기 판넬체 즉, 유로폼들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로 형성되므로 이와 같이 불특정한 크기를 가지는 가이드홈의 내부 공간을 이용한 체결 구조로는 상기 연결구 본체의 체결 호환성이 저하됨은 물론이거니와 걸림 지점에서 틈새가 발생하여 만족할 만한 체결력을 확보하기 어렵다.However,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uses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groove having an unspecified size, since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grooves of the formwork is formed in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panel body, that is, the euroforms. As a fastening structure, as well as the fastening compatibility of the connector body is lowered,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atisfactory fastening force by generating a gap at the engaging point.

특히, 상기 연결구 본체의 체결 후 상기 가이드홈 내부에서 걸림 틈새가 발생하면 상기 거푸집체들의 위치나 자세가 변화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벽체 시공 품 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locking gap occurs inside the guide groove after the connector body is fastened,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formwork may be changed, thereby deteriorating wall construction quality.

또한, 상기 거푸집체들의 위치나 자세가 변화되면 이를 교정하기 위하여 금속 막대 등을 이용하여 비계틀을 설치하는 추가 작업을 해야하므로 거푸집체의 설치 공정이 복잡하고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내벽 및 외벽 거푸집체를 설치할 때 각기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가이드홈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구 본체를 체결하는 방식으로는 만족할 만한 작업 능률 및 시공 품질을 얻을 수 없다.In addition, since the additional work to install the scaffolding using a metal rod, etc. to correct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formwork chang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formwork is complicated and takes excessive time. Therefore, when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formwork are installed, the connector body is fastened using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groove having different sizes, and thus satisfactory work efficiency and construction quality cannot be obtained.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벽체 시공을 위한 내벽 및 외벽 거푸집체의 고정 작업이 간단하고, 특히 상기 2개의 거푸집체를 고정할 때 한층 향상된 체결력과 작업 호환성을 얻을 수 있는 거푸집 고정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fixing work of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formwork for wall construction, especially when fixing the two formwork Provides formwork for improved clamping force and work compatibility.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내벽 및 외벽면을 한정하기 위한 거푸집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평면의 형태로 인접 배치되며 테두리부를 따라 프레임이 감싸여지는 다수개의 판넬;A plurality of panel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a plane to form a form for defining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and the frame is wrapped along an edge;

상기 각 판넬의 테두리부에서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에 이격 형성되는 홈부들;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engaging jaw formed along the frame at regular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edges of the panels;

상기 인접 배치되는 판넬의 프레임 사이에서 2개의 홈부가 서로 맞대어지면서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홀부에 일측단이 위치하고 이 홀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이격된 걸림턱의 외부면과 접촉하여 적어도 2군데 이상이 각각 걸려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걸림용 돌기들을 가지는 연결용 바;At least one end is positioned at one side of one of the hole portions formed while the two groove portions are opposed to each other between the frames of the adjacently disposed panels, and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spaced locking jaw with the hole portion therebetween. A connecting bar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to be supported in a locked state;

상기 연결용 바의 단부를 상기 어느 하나의 홀부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들을 포함하는 거푸집 고정장치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formwork fixing device including fixing pins for detachably fixing the end of the connecting bar to any one hole sid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o the extent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과 관련하는 거푸집 고정장치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F1, F2는 벽체(W) 시공을 위한 내,외벽 거푸집체이고, 부호 2는 상기 2개의 거푸집체(F1, F2) 사이에 체결되는 연결용 바를 지칭한다.1 and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formwork fixing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s F1, F2 is the inner and outer wall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W), the symbol 2 is the two Refers to a connecting bar fastened between the formwork F1 and F2.

상기 2개의 거푸집체(F1, F2)는 다수개의 거푸집용 판넬체(F)를 이용하여 도면에서와 벽체(W)의 내벽 및 외벽면을 한정할 수 있는 통상의 구조로 만들어진다.The two formwork (F1, F2) is made of a conventional structure that can define the inner wall and outer wall surface of the wall (W) in the drawing and using a plurality of formwork panel (F).

상기 판넬체(F)는 판넬(4)과 이 판넬(4)을 외측 테두리를 감싸는 상태로 금속 프레임(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6)에는 가이드홈(8)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각 거푸집체(F1, F2)를 형성할 때 인접한 판넬체(F)들의 가 이드홈(8)이 서로 맞대어지면서도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용 바(2)가 끼워지기 위한 가이드홀(H)을 형성한다.The panel body (F) is formed of a metal frame (6) in a state surrounding the panel 4 and the outer frame of the panel 4, the guide groove (8)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frame (6) Guides for fitting the connecting bar 2 as shown in FIG. 3 while the guide grooves 8 of the adjacent panel bodies F are opposed to each other when formed to form each of the molds F1 and F2. The hole H is formed.

그리고, 상기 프레임(6)에는 상기 각 가이드홈(8)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관통홀(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거푸집용 판넬체(F)는 벽체(W) 시공을 위한 내,외벽용 거푸집체 제작에 널리 사용하고 있는 통상의 유로폼 구조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through hole 10 is formed in the frame 6 in a direction penetrating the respective guide grooves 8. Such formwork panel body (F) is a common flow path structure widely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inner and outer wall formwork for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W),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연결용 바(2)는 상기 2개의 거푸집체(F1, F2)의 이격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2개의 거푸집체(F1, F2)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판넬체(F)에 형성된 가이드홀(H)에 내부를 관통할 수 있는 두께 범위로 형성된다.The connecting bar 2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length of the two formwork bodies F1 and F2, and is formed on a plurality of panel bodies F that form the two formwork bodies F1 and F2. The guide hole (H) is formed in a thickness range that can penetrate the inside.

상기 연결용 바(2)의 양측 지점에는 걸림부(12)가 각각 형성되고 이 걸림부(12)는 상기 가이드홀(H)의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외측 지점에서 접촉에 의한 걸림 상태로 고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Locking portions 12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ar 2, respectively, and the locking portions 12 are fixed in a locked state by contact at an outer point with an inner space of the guide hole H interposed therebetween. This is done to make it possible.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마주하는 2개의 거푸집체(F1, F2)에 형성된 가이드홀(H) 양단부의 위아래 지점에 각각 형성된 걸림턱(14)에 대응하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걸림용 돌기(16)들이 형성되어 이 돌기(16)들이 상기 가이드홀(H)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 걸림턱(14)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걸려지도록 하고 있다.To this e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plurality of locking jaws 14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ints of the opposite ends of the guide holes H formed in the two dies F1 and F2 face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Dog engaging projections 16 are formed so that the projections 16 are caught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locking projections 14 with the guide hole H therebetween.

상기 각 걸림용 돌기(16)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용 바(2)의 양단부 지점에서 위,아래쪽에 2개가 1조로 각각 형성될 때 이 2개의 돌기(16)들의 내측 간격(L)은 상기 각 거푸집체(F1, F2)의 가이드홀(H) 양측 지점에 위치하는 2개의 걸림 턱(14)들의 외측 간격(L1)에 대응하여 유격이 발생하지 않는 접촉 상태로 끼워질 수 있는 길이 범위로 형성된다.When the engaging projections 16 are formed in a pair of upper and lower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ar 2 as shown in Fig. 4, respectively, the inner spacing L of the two projections 16 is as shown in FIG. Is a length that can be fitted in a contact state where no play occurs in correspondence with the outer space L1 of the two locking jaws 14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guide hole H of each of the dies F1 and F2. Formed into a range.

이와 같은 걸림부(12) 구조는 상기 2개의 거푸집체(F1, F2) 사이로 상기 연결용 바(2)를 체결할 때 상기 각 거푸집체(F1, F2)의 연결 지점 즉, 상기 가이드홀(H)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2개의 걸림턱(14)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걸림 상태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거푸집체(F1, F2)의 제작에 사용하는 다수개의 판넬체(F)들은 상기 각 가이드홈(8)들의 내부 공간이 일정한 편차 범위내에서 불특정한 크기로 제작되는 반면, 상기 가이드홈(8)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2개의 걸림턱(14)의 외측면 간격은 규격화된 상태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용 바(2)의 체결시 한층 향상된 체결 호환성을 얻을 수 있다.Such a locking portion 12 structure is a connection point of each of the formwork (F1, F2), that is, the guide hole (H) when the connecting bar (2) between the two formwork (F1, F2) The support force can be secured in a locked state b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two locking jaws 14 positioned with the inner space therebetween.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panel bodies (F) used for the production of the formwork (F1, F2) is made of an unspecified size within the predetermined deviation range of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grooves (8), the guide groove Since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s of the two locking jaws 14 positioned between (8) is manufactured in a standardized state, it is possible to obtain improved fastening compatibility when the connecting bar 2 is fastened.

상기 각 걸림부(12)의 위,아래쪽 걸림용 돌기(16)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용 바(2)의 양측면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 돌기(16)들은 이미 잘 알려진 절곡 작업을 거치면서 만들어질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locking projections 16 of the locking portions 12 protrude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ar 2 as shown in FIG. 5. Each of these protrusions 16 can be made through a well-known bending work.

이와 같이 상기 연결용 바(2) 양측면으로 부터 돌출된 각 걸림용 돌기(16)들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2개의 거푸집체(F1, F2)를 설치 한 후 상기 연결용 바(2)의 양단부가 체결된 가이드홀(H)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인접한 판넬체(F)의 자세나 위치가 변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this way, each of the engaging projections 16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ar 2, as shown in Figure 6 after installing the two formwork (F1, F2) of the connecting bar (2)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pporting force that can prevent the phenomenon of changing the posture or position of the adjacent panel body (F) positioned with the guide hole (H) coupled between both ends.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걸림용 돌기(16)는 절곡 작업을 거쳐서 만들어 질 때 상기한 구조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연결용 바(2)의 위,아래쪽 테두리부에서 일체 돌출되지 않고 양측면으로만 돌출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16 may be formed through a bending operation so as to protrude only on both sides without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connecting bar 2,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Can be bent.

상기 연결용 바(2)에는 상기 각 거푸집체(F1, F2)의 가이드홀(H)에서 상기 연결용 바(2)의 양끝 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홀(18)이 형성되어 있다.Fastening holes 18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bar 2 so th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ar 2 are detachably fixed in the guide holes H of the respective dies F1 and F2. have.

상기 체결홀(18)은 상기 연결용 바(2)의 양단부측이 상기 2개의 거푸집체(F1, F2)의 가이드홀(H)에 각각 끼워진 상태에서 이 가이드홀(H)측에 형성된 관통홀(10)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된다.The fastening hole 18 is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side of the guide hole (H) in the state th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ar (2) is fitted into the guide hole (H) of the two formwork (F1, F2), respectively. It is located at the point corresponding to (10).

그리고, 상기 체결홀(18)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구(2)의 양측단이 상기 각 거푸집체(F1, F2)의 가이드홀(H)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핀(P1, P2)들이 분리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 고정핀(P1, P2)은 도면에서와 같이 쐐기 형상을 가지며 2개가 1조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holes 18 are fixed pins P1 and P2 in a state in which both side ends of the connector 2 are positioned inside the guide holes H of the respective dies F1 and F2, as shown in FIG. 1. Are detachably fitted. These fixing pins (P1, P2) has a wedge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consists of two sets.

상기 2개의 고정핀(P1, P2)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고정핀(P1)은 상기 가이드홀(H)의 관통홀(10)과 상기 연결용 바(2)의 체결홀(18)을 관통하면서 끼워지고, 이 고정핀(P1)에는 다른 하나의 고정핀(P2)이 도 1에서와 같이 체결된다.One of the two fixing pins (P1, P2) of the fixing pin (P1)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hole 10 of the guide hole (H) and the fastening hole (18) of the connecting bar (2). Another fixing pin P2 is fastened to the fixing pin P1 as shown in FIG. 1.

이러한 2개의 고정핀(P1, P2)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용 바(2)의 양측단부를 상기 가이드홀(H)측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면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2개의 거푸집체(F1, F2) 사이를 적어도 2군데 이상의 지점에서 각각 고정하여 벽체(W) 시공이 가능한 이격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By using the two fixing pins (P1, P2) to fasten both side ends of the connecting bar (2) to the guide hole (H), respectively, two formwork as shown in Figure 7 and 8 (F1, F2) can be fixed at at least two or more points, respectively, in a spaced apart state where the wall (W) construction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고정핀(P1, P2)은 상기 2개의 거푸집체(F1. F2)를 만들 때 서로 인접한 판넬체(F)들의 관통홀(10)측에 도 1에서와 같이 체결되면서 상기 각 판넬체(F)를 고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The fixing pins P1 and P2 are fastened to the through-holes 10 of the panel bodies F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two dies F1 and F2 are formed, as shown in FIG. 1. Can be used to fix (F).

상기 연결용 바(2)의 양단부측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부(12) 사이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절단용 홈(2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절단용 홈(20)은 상기 연결용 바(2)에서 도면에서와 같이 경사지게 파여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Cutting grooves 20 are formed between the engaging portions 12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connecting bar 2 as shown in FIG. 4. This cutting groove 20 is formed in the connection bar (2) is inclined to be inclined as shown in the drawing.

상기 절단용 홈(20)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2개의 거푸집체(F1, F2)를 이용하여 벽체(W)를 시공 한 후, 상기 2개의 거푸집체(F1, F2)를 분리하면 시공된 벽체(W)의 표면에서 상기 연결용 바(2)의 양단부측이 돌출된 상태가 되므로 이와 같이 돌출된 부분을 도 9에서와 같이 예를들면, 망치나 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상기 벽체(W)의 표면에서 절단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cutting groove 20 is constructed by separating the two formwork (F1, F2) after constructing the wall (W) using the two formwork (F1, F2) as shown in FIG. Since both end portions of the connecting bar 2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wall W, the protruding portion is hit by a hammer or a hammer as shown in FIG. 9,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It serves to be cut at the surface of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벽체 시공을 위하여 이격 배치되는 내,외벽면 거푸집체의 홀부측에 연결용 바를 체결하여 이 연결용 바의 걸림부들에 의한 걸림 상태로 상기 2개의 거푸집체 간격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gap between the two formwork in the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engaging portions of the connecting bar by fastening the connecting bar to the hole side of the inner and outer wall formwork spaced apart for wall construction. Can be fixed.

특히, 상기 각 걸림부는 상기 거푸집체들에 형성되는 홀부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지 않고 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외부면들과 걸림 상태로 접촉되므로 연결용 바의 설치가 용이하고 한층 향상된 체결 호환성을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espective engaging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s with the spaces interposed therebetween without using the inner spaces of the hole portions formed in the formwork, so that installation of the connection bar is easy and further improved fastening compatibility is obtained. Can be.

Claims (6)

내벽 및 외벽면을 한정하기 위한 거푸집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평면의 형태로 인접 배치되며 테두리부를 따라 프레임이 감싸여지는 다수개의 판넬;A plurality of panel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a plane to form a form for defining an inner wall and an outer wall, and the frame is wrapped along an edge; 상기 각 판넬의 테두리부에서 폭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프레임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에 이격 형성되는 홈부들;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engaging jaw formed along the frame at regular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edges of the panels; 상기 인접 배치되는 판넬의 프레임 사이에서 2개의 홈부가 서로 맞대어지면서 형성되는 어느 하나의 홀부에 일측단이 위치하고 이 홀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이격된 걸림턱의 외부면과 접촉하여 적어도 2군데 이상이 각각 걸려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걸림용 돌기들을 가지는 연결용 바;At least one end is positioned at one side of one of the hole portions formed while the two groove portions are opposed to each other between the frames of the adjacently disposed panels, and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spaced locking jaw with the hole portion therebetween. A connecting bar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to be supported in a locked state; 상기 연결용 바의 단부를 상기 어느 하나의 홀부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들을 포함하는 거푸집 고정장치.Formwork fixing device comprising a fixing pin for detachably fixing the end of the connecting bar to any one of the hole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바는, 상기 서로 마주하는 프레임의 홈부 사이에 양단부가 위치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거푸집 고정장치.The die fix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bar has a size that can be positioned at both ends between the groove portions of the frame facing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걸림용 돌기는, 상기 홈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측단 지점에서 위,아래 방향으로 위치하는 거푸집 고정장치.The die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are position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t both end points with the groove space therebetwe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걸림용 돌기는, 상기 홈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돌기들이 상기 연결용 바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기 다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장치.The die fix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in different directions from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ar with the protrusion space therebetwee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들은, 2개가 1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홈부 지점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면서 상기 연결용 바를 상기 홈부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거푸집 고정장치.The die fix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pins are detachably fixed to the groove side while two fastening pins are fastened in a direction crossing each other at the groove poi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바는, 상기 2개의 거푸집체 사이에서 적어도 2군데 이상이 이격 설치되는 거푸집 고정장치.The die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bar is installed at least two places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two dies.
KR2020050028423U 2005-10-05 2005-10-05 device for connecting concrete form KR20040535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423U KR200405350Y1 (en) 2005-10-05 2005-10-05 device for connecting concrete 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423U KR200405350Y1 (en) 2005-10-05 2005-10-05 device for connecting concrete 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350Y1 true KR200405350Y1 (en) 2006-01-10

Family

ID=4175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423U KR200405350Y1 (en) 2005-10-05 2005-10-05 device for connecting concrete 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350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041B1 (en) * 2016-03-28 2017-10-27 안태옥 The form fixing bar for a celling sleeve
KR101791043B1 (en) * 2016-03-28 2017-10-27 안태옥 The form fixing bar for a celling slee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041B1 (en) * 2016-03-28 2017-10-27 안태옥 The form fixing bar for a celling sleeve
KR101791043B1 (en) * 2016-03-28 2017-10-27 안태옥 The form fixing bar for a celling slee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496B1 (en) Assembling frame system for drain board
KR101262852B1 (en) Space keep goods for mold
KR200405350Y1 (en) device for connecting concrete form
JP4845226B2 (en) Baffle mounting frame and formwork method
KR100888209B1 (en) Sapporting bar fixing device for aluminum form
KR102460363B1 (en) Cross joint for fixing formwork
KR101381660B1 (en) Space keep goods for mold
KR200461500Y1 (en) A flash board waterproof sill
KR102137171B1 (en) Side tie for use of interval maintenance device of mold
KR20120006088U (en) Side tie for use of interval maintenance device of mold
JP6717571B2 (en) Waist wall panel fixing structure
KR200378153Y1 (en) connecter assembly for connecting concrete form
KR200375106Y1 (en) Form panel connectorfor construction
KR100955302B1 (en) Apparatus for connceting gang form system
KR200277910Y1 (en) Assembly Structure of Euro Form for Working Wall Concrete
JPH0247461A (en) Execution of tiled wall
JPH08189185A (en) Meshed frame plate, concrete form material, and construction of form for concrete placing
KR200397582Y1 (en) Separator
JP6209306B2 (en) Reinforcing bar arrangement member an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370277Y1 (en) Wall formwork panel connecter
KR20110006970U (en) Mould comprising wood plate and steel plate
KR101170543B1 (en) Device for clamping horizontal rod and vertical column
KR200175230Y1 (en) Lay bricks structure of concrete breast wall
KR200422525Y1 (en) An fixing device of carring Channel for ceiling
KR20180066712A (en) Fixing hook for euro-form support pipe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