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038Y1 -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 - Google Patents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038Y1
KR200405038Y1 KR2020050029080U KR20050029080U KR200405038Y1 KR 200405038 Y1 KR200405038 Y1 KR 200405038Y1 KR 2020050029080 U KR2020050029080 U KR 2020050029080U KR 20050029080 U KR20050029080 U KR 20050029080U KR 200405038 Y1 KR200405038 Y1 KR 200405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ok
adhesive
front cover
asymme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윤상
Original Assignee
팬지데이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팬지데이지(주) filed Critical 팬지데이지(주)
Priority to KR2020050029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0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0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비대칭 접착영역을 갖는 양장서적이 개시된다.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은 다수의 내지를 포함하는 내지부 및 내지부를 보호하는 표지를 포함하는 표지부를 구비한다. 표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내지부의 맨 앞장 및 맨 뒷장이 앞 표지 및 뒤 표지와 일체로 접착되며, 접착되는 영역을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하여 책이 용이하게 펼쳐지도록 할 수가 있다. 책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아무런 차이가 없으며, 펼친 상태에서만 표지의 일부가 비대칭적으로 절곡되어 사용하기 편리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 표지, 비접착면

Description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HARD-COVER BOOK HAVING ASYMMETRIC ADHESION AREA}
도 1 은 종래의 양장서적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장서적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양장서적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양장서적 110:내지부
120:표지부 I:접착 영역
II:비접착 영역
본 고안은 양장서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책 또는 다이어리 등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표지를 갖는 양장서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은 마 또는 종이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서 쉽게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며, 오랫동안 보관할 경우에는 습기나 빛 등에 의해서 좀이 슬어 책이 파손되거나 색이 바래진다. 따라서, 외력으로부터 책을 보호하거나 외 부 환경으로부터 최대한 책을 보호하여 오랫동안 보존하기 위해서 예로부터 사람들은 마 또는 종이로 만들어지는 책의 양쪽에 두꺼운 마분지를 대어 책을 보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 은 종래의 양장서적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양장서적(10)은 내지부(11) 및 표지부(12)를 포함한다. 양장서적에서 내지부(11)는 다수의 종이가 다발로 연결되어 일면이 접착되어 있으며, 표지부(12)는 내지부(11)의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내지부(11)을 외부에서 감싸 보호할 수가 있다. 내지부(11)와 표지부(12)는 상호 접착에 의해서 하나로 결속되며, 구체적으로는 표지부(12)의 안쪽 면에 접착제를 전체적으로 도포하고, 내지부(11)의 맨 앞장과 맨 뒷장을 접착제가 도포된 표지부(12)의 표지 안쪽에 부착시킨다.
내지부(11)의 맨 앞장 및 맨 뒷장에 두꺼운 표지를 부착시키는 것으로 내지부(11)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는 있으나, 책을 펼쳐 볼 때 책이 자동으로 덮여져서 책을 붙잡고 봐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양장으로 제본된 책이나 다이어리를 사용할 때에도 표지의 중앙 연결부(13)가 위로 들뜨게 되어 책을 펼쳤을 때 책의 양면 사이의 글씨를 보기 어렵다거나, 글씨를 써 넣고자 할 때 양면 사이로 갈수록 글씨를 적어 넣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내지부(11)를 보호하기 위한 표지부(12)와 내지부(11)의 중앙 연결부(13)가 서로 밀착되지 않고 표지부(12)와 내지부(11)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내지부(11)의 중앙 연결부(13)가 들뜨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천으로 포장하는 경우도 있으나, 제조 과정 또한 번거로우며 이에 따라 제조단가 또한 비생산적이다. 또한, 천 표지의 표면에는 인쇄를 용이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다양한 인쇄 효과를 부여할 수가 없다. 따라서, 포장용지의 강성 때문에 비접착면이 뜨는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마분지와 같은 두꺼운 종이를 사용하여 포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많은 사람들은 두꺼운 종이를 사용하면서 비접착면이 뜨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책이나 노트 및 다이어리 등과 같은 양장서적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양장서적을 필요로 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들뜨는 부분 없이 책을 평평하게 펼 수 있으며, 책 양면의 경계 부분을 보기에도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양장서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노트 및 다이어리 등에 사용자가 책 양면의 경계 부분에 사용자가 글을 써 넣을 때에도 불편하지 않도록 하며, 노트 및 다이어리를 오랫동안 보관 및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포장용지를 제공하는 양장서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은 종래와 같이 다수의 내지를 포함하는 내지부 및 내 지부를 보호하기 위한 표지부를 포함한다. 다만, 내지부의 맨 앞장과 맨 뒷장을 앞 표지와 뒤 표지에 접착할 때, 접착되는 영역을 좌우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좌우 비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비대칭이라 함은 좌우 접착 영역의 형상보다는 폭을 달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더 정확하게는 표지를 연결하는 표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좌우로 접착이 시작되는 영역까지의 거리를 달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지 연결부에서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서 접착되는 표지가 상대적으로 쉽게 절곡되며, 절곡된 부분이 서로 겹치면서 거의 평평한 구조를 유지할 수가 있다. 일 예로, 한 쪽 면을 전체적으로 접착하고, 다른 쪽 면을 일정 간격만큼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아 비접착면을 형성할 수가 있다. 책을 펴면서 비접착면이 형성된 부분은 접착이 시작되는 경계를 중심으로 표지가 부분적으로 꺾이게 되고, 그 반대에 있는 다른 표지는 평평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표지 및 표지 연결부가 겹치는 부분은 표지 연결부 주위가 S-자 또는 Z-자 형상으로 절곡되면서 초과하는 길이를 자연스럽게 보상할 수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른손을 주로 쓰는 사람에게는 표지부의 뒤 표지가 내지의 맨 뒷장과 전면적으로 접착되고, 앞 표지가 내지부의 맨 앞장과 좁은 폭으로 접착되는 것이 편리하지만, 왼손을 주로 쓰는 사람에게는 그 반대의 경우가 더 편리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접착 영역의 폭 및 비대칭의 형상을 필요 이상으로 제한할 필요는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장서적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양장서적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2 및 도 3의 양장서적은 종래 양장서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의 외관을 가지며,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다른 양장서적과 별다른 차이를 알 수가 없다. 다만, 양장서적을 펼칠 때, 비대칭적으로 접착된 부분이 외관으로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양장서적의 펼쳐진 상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양장서적(100)은 내지부(110) 및 표지부(120)를 포함한다. 내지부(110)는 다수의 내지를 포함하며, 내지들은 낱장으로 묶여질 수 있으며, 다르게는 십 여장 단위로 소그룹으로 묶여진 후 다시 하나로 연결될 수가 있다. 내지부(110)에서 내지들 또는 소그룹의 내지들의 일면이 연결되어 있으며, 천이나 기타 절곡이 가능한 유연한 소재로 연결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지부(110)에서 맨 앞장(112) 및 맨 뒷장(114)은 표지부(120)의 안쪽 면에 접착되며, 본 고안의 요지에 따라 접착되는 영역을 좌우 비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지부(120)는 앞 표지(122), 뒤 표지(124) 및 표지 연결부(126)를 포함한다. 표지부(120)는 앞 표지(122)에서 뒤 표지(124)까지는 하나로 연결되며, 상대적으로 두껍고 질긴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 표지(122) 및 뒤 표지(124)는 포장지에 의해서 외면이 덮일 수 있으며, 포장지에는 책의 제목이나 외관 디자인 등을 표현할 수도 있다.
도 2를 살피면, 앞 표지(122)와 표지 연결부(126)의 연결부위가 Z-자 형상으로 낮게 절곡 되어 있다. 확대된 부분을 보면, 앞 표지(122)에서 내지부(110)의 맨 앞장(112)과 접착된 영역이 뒤 표지(124)에서 맨 뒷장(114)과 접착된 영역보다 멀리 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표지 연결부(126)가 굽어지지 않고 접착이 시작되는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서 절곡이 형성된다.
로마자 I로 표시되는 부분이 접착 영역이며, 로마자 II로 표시되는 부분이 비접착 영역이다. 이에 따르면, 비접착 영역(II)은 표지 연결부(126)에서 앞 표지(122) 측에 형성되며, 표지 연결부(126)를 따라 위아래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지부(110)의 맨 앞장(112)에서 비접착 영역(II)에 대응하는 부분(113)이 앞 표지(122)와 접착된 상태를 이루지 않으며, 책이 펼쳐질 때 비접착 영역(II)이 상호 벌어지고, 그 연결부위가 적절히 절곡되면서 표지가 평평하게 펴질 수가 있다. 뒤 표지(124) 및 맨 뒷장(114)은 면 전체가 접착되어 있으며, 접착 영역(I)이 표지 연결부(126) 및 뒤 표지(124) 간의 경계까지 미친다.
양장서적(100)을 제작하기 위해서 앞 표지(122) 및 뒤 표지(124)에 포장지를 덮어 마감하고, 표지부(120)의 안쪽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에 내지부(110)의 맨 앞장(112) 및 맨 뒷장(114)을 붙여 상호 고정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앞 표지(122)에서 비접착 영역(II)에 해당하는 부분(빗금친 영역)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으며, 내지부(110)에서 맨 앞장(112)에서 안쪽에 위치한 영역(113)은 앞 표지(122)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뒤 표지와 맨 뒷장이 전체적으로 접착되어 있으며, 앞 표지 와 맨 앞장의 안쪽 부분이 접착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오른손 잡이가 필기할 때 뒤 표지가 평평하게 펴지기 때문에, 오른손 잡이에게 유리하다. 하지만, 그와 반대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앞 표지와 맨 앞장이 전체적으로 접착되고, 뒤 표지와 맨 뒷장이 안쪽으로 서로 떨어지도록 접착할 수도 있으며, 이에 기타 용도나 왼손 잡이를 위해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은 포장용지와 책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형성을 제거하여 책을 읽을 때 책 양면 경계선에 굴곡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독자가 책을 편하게 읽을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은 노트 및 다이어리 등을 펼쳤을 때 양면 경계선에 굴곡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편하게 글을 써 넣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다수의 내지를 포함하며, 상기 내지의 일면이 연결된 내지부; 및
    상기 내지부의 전후면을 덮는 앞 표지, 뒤 표지 및 상기 앞 표지와 뒤 표지를 연결하며 상기 내지의 연결된 일면에 인접한 표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내지부의 맨 앞장 및 맨 뒷장이 상기 앞 표지 및 뒤 표지와 각각 비대칭의 접착영역을 형성하며 접착되는 표지부;
    를 구비하는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연결부에서 상기 내지부의 맨 앞장과 상기 표지부의 앞 표지 간의 접착 영역까지의 거리는 상기 내지부의 맨 뒷장과 상기 표지부의 뒤 표지 간의 접착 영역까지의 거리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지부의 맨 앞장 및 맨 뒷장 중 하나는 상기 앞 표지 또는 뒤 표지와 전면이 접착되며, 다른 하나는 상기 앞 표지 또는 뒤 표지와 일부면이 접착되고, 상기 일부면을 제외한 비접착면은 상기 표지 연결부의 측면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착면은 상기 표지 연결부를 따라 같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지부의 맨 뒷장이 상기 뒤 표지와 전면으로 접착되며, 상기 내지부의 맨 앞장이 상기 표지 연결부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상기 앞 표지와 접착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
KR2020050029080U 2005-10-12 2005-10-12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 KR200405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080U KR200405038Y1 (ko) 2005-10-12 2005-10-12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080U KR200405038Y1 (ko) 2005-10-12 2005-10-12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038Y1 true KR200405038Y1 (ko) 2006-01-11

Family

ID=4175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080U KR200405038Y1 (ko) 2005-10-12 2005-10-12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0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4273B2 (en) Dry erasable board
EP1133398B1 (en) Device for binding sheets and bound sheets
KR200405038Y1 (ko) 비대칭 접착 양장서적
US20060144316A1 (en) Bookmark sleeve containing a note taking medium
CN101704320A (zh) 册子
KR20160002554U (ko) 북커버
JPH1035142A (ja) しおり
JPS6317079Y2 (ko)
KR200349481Y1 (ko) 홀딩 기능을 포함하는 서적
WO1999039348A1 (en) Packaging for discs
US3344794A (en) Display album
US20080054619A1 (en) Book jacket with window
JP5686356B1 (ja) 書籍用ジャケット、及び、書籍
KR200352401Y1 (ko) 도서 보수용 테이프
KR200350477Y1 (ko) 표찰 수용 스티커
KR200405037Y1 (ko) 양장 서적
KR200494801Y1 (ko) 필기구 꽂이를 구비한 서책
JP3685165B2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組立キット
KR200457426Y1 (ko) 책자 수납 앨범
KR200237947Y1 (ko) 책갈피
ES2424270T3 (es) Inserto para una publicación que comprende hojas y publicación que contiene dicho inserto
JP2003312165A (ja) 収納部付きブックカバーと収納部付き本
KR20070074206A (ko) 책갈피용 간지부가 구비된 책
JP4924010B2 (ja) ジャケ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中綴じ冊子
WO1989010846A1 (en) A stiffening means for a paperback b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