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558Y1 -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 - Google Patents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558Y1
KR200404558Y1 KR20-2005-0023937U KR20050023937U KR200404558Y1 KR 200404558 Y1 KR200404558 Y1 KR 200404558Y1 KR 20050023937 U KR20050023937 U KR 20050023937U KR 200404558 Y1 KR200404558 Y1 KR 200404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rry
centrifugal
sealing
discharge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호펌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호펌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호펌프
Priority to KR20-2005-0023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5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5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10Shaft sealings
    • F04D29/12Shaft sealings using sealing-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9/00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 F04D9/02Self-priming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펌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실링을 얻을 수 있고 실링부재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를 제공한다.
그 슬러리펌프는, 나선형 원심스크류(20)가 함께 회전가능하게 회전축(11)의 전방에 고정되고 그 회전축(11)의 후방에서 패킹(12)를 개재하여 후방케이싱부(13)에 회전가능하고 실링되게 지지되며, 유입부(15)로 슬러리를 유입시켜 토출실(16) 및 토출부(17)를 통해 그 유입된 슬러리를 배출시키는 슬러리펌프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원심스크류(20)는, 상기 회전축(11)에 고정되는 삽입고정부(22)와,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슬러리의 유동을 방사상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삽입고정부(22)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 주위로 연장되며, 상기 후방케이싱부(13)의 전방 부분의 외주와 소정의 틈새를 두고 형성되는 원심가이드부(21)와, 회전력에 의해 상기 원심가이드부(21)를 따라 축방향으로 슬러리를 유입시키고 방사상으로 상기 토출실(16) 및 토출부(17)를 통해 유입된 슬러리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원심가이드부(21)의 전면 부분에 날개(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slurry pump with sealing protecting wings}
본 고안은, 슬러리를 효율적으로 펌핑하기 위한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에 관한 것이다.
지하의 오폐수 등의 슬러리를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리펌프의 하나로서 원심형 스크류펌프가 사용된다.
그 종래의 원심형 스크류펌프는 스크류 펌핑원리와 원심펌핑원리에 의해 펌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임펠러와 실링부의 케이싱사이에 슬러리가 유입되기도 하며, 이와 같이 유입된 슬러리는 임펠러의 회전저항으로 되어 펌프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또, 임펠러와 실링부의 케이싱사이에 유입된 슬러리는 더욱 실링부로 유입될 수 있어 실링을 파손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펌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실링을 얻을 수 있고 실링부재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는, 나선형 원심스크류(20)가 함께 회전가능하게 회전축(11)의 전방에 고정되고 그 회전축(11)의 후방에서 패킹(12)를 개재하여 후방케이싱부(13)에 회전가능하고 실링되게 지지되며, 유입부(15)로 슬러리를 유입시켜 토출실(16) 및 토출부(17)를 통해 그 유입된 슬러리를 배출시키는 슬러리펌프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원심스크류(20)는, 상기 회전축(11)에 고정되는 삽입고정부(22)와,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슬러리의 유동을 방사상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삽입고정부(22)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 주위로 연장되며, 상기 후방케이싱부(13)의 전방 부분의 외주와 소정의 틈새를 두고 형성되는 원심가이드부(21)와, 회전력에 의해 상기 원심가이드부(21)를 따라 축방향으로 슬러리를 유입시키고 방사상으로 상기 토출실(16) 및 토출부(17)를 통해 유입된 슬러리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원심가이드부(21)의 전면 부분에 날개(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펌프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개략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나선형 원심스크류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나선형 원심스크류의 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고안에 따른 슬러리펌프는, 원심스크류형으로서, 종래와 같이, 나선형 원심스크류(20)가 함께 회전가능하게 회전축(11)의 전방에 너트에 의해 해체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회전축(11)은, 후방에서 패킹(12)를 개재하여 후방케이싱부(13)에 회전가능하고 실링되게 지지되며, 베이스(14)를 개재하여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한, 슬러리펌프는, 나선형 원심스크류(20)의 회전에 의해 유입부(15)로 슬러리를 유입시켜 토출실(16)에 압력이 가해진 슬러리를 수집하여 토출부(17)를 통해 그 유입,수집된 슬러리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나선형 원심스크류(20)는, 삽입고정부(22), 원심가이드부(21) 및 날개(2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삽입고정부(22)에서 상기 회전축(11)에 삽입되어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원심가이드부(21)는,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슬러리의 유동을 방사상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삽입고정부(22)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 주위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한편, 그 원심가이드부(21)는, 슬러리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후방케이싱부(13)의 전방 부분의 외주와 소정의 틈새를 두고 형성된다.
또한, 날개(25)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원심가이드부(21)를 따라 축방향으로 슬러리를 유입시키고 방사상으로 상기 토출실(16) 및 토출부(17)를 통해 유입된 슬러리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원심가이드부(21)의 전면 부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나선형 원심스크류(20)가 회전축(11)과 함께 회전하는 때에 축방향 스크류 단면형상과 방사상 원심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효율적으로 슬러리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방사상으로 원심가이드부(21)를 따라 유동시켜 토출실(16)로 슬러리를 수집시키며, 그 수집된 슬러리는 토출부(17)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또, 상기 원심가이드부(2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더 확대되는 대략 원추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날개(25)는, 원심가이드부(21)의 단면상 3개가 균등한 원주각도로 배치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서 보아 각각 180도 정도의 각도 범위에 걸처 원심가이드부(21)의 대략 원추형상의 곡면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도 8에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에서도 원심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날개(25)가 곡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가장 길면서도 넓은 면적으로 날개(25)가 형성되게 되어 더욱 높은 효율로 슬러리를 유입시키고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나선형 원심스크류(20)의 배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심가이드부(21)의 후면에 후방케이싱부(13)와의 틈새로 슬러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공상태의 실링을 유지하도록 실링보호익(26)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실링보호익(26)에 의해 나선형 원심스크류(20)의 회전시 원심가이드부(21)의 배면과 패킹(12)과의 사이에 진공력이 발생되고 고압부분으로 되는 원심가이드부(21)의 방사상 단부의 원주부분으로부터 고압의 슬러리가 환류되어 유입되지는 아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러리의 틈새로의 유입이 방지되므로 패킹(12)에서의 실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킹(12)의 마모를 방지하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회전축(11)이나 나선형 원심스크류(20)의 회전에 대한 저항이 적게 되어 펌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링보호익(26)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상상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 외측의 실링보호익(26)의 넓은 간격부분사이에 중간익(26a)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곡선형으로 형성되거나, 중간익(26a)을 설치함으로써 더욱 고효율로 슬러리의 유입을 방지하고, 펌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펌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실링을 얻을 수 있고 실링부재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펌프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나선형 원심스크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나선형 원심스크류의 전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나선형 원심스크류의 배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나선형 원심스크류의 배면도이다.
도 7은 실링보호익의 단면구조를 도시하는 나선형 원심스크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나선형 원심스크류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회전축 12: 패킹
13: 후방케이싱부 14: 베이스
15: 유입부 16: 토출실
17: 토출부 20: 나선형 원심스크류
21: 원심가이드부 22: 삽입고정부
25: 날개 26: 실링보호익

Claims (4)

  1. 나선형 원심스크류(20)가 함께 회전가능하게 회전축(11)의 전방에 고정되고 그 회전축(11)의 후방에서 패킹(12)를 개재하여 후방케이싱부(13)에 회전가능하고 실링되게 지지되며, 유입부(15)로 슬러리를 유입시켜 토출실(16) 및 토출부(17)를 통해 그 유입된 슬러리를 배출시키는 슬러리펌프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원심스크류(20)는, 상기 회전축(11)에 고정되는 삽입고정부(22)와,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슬러리의 유동을 방사상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삽입고정부(22)의 전방 단부로부터 후방 단부 주위로 연장되며, 상기 후방케이싱부(13)의 전방 부분의 외주와 소정의 틈새를 두고 형성되는 원심가이드부(21)와, 회전력에 의해 상기 원심가이드부(21)를 따라 축방향으로 슬러리를 유입시키고 방사상으로 상기 토출실(16) 및 토출부(17)를 통해 유입된 슬러리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원심가이드부(21)의 전면 부분에 날개(25)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원심가이드부(21)의 후면에는 후방케이싱부(13)와의 틈새로 슬러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공상태의 실링을 유지하도록 실링보호익(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가이드부(21)는 그 전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더 확대되는 대략 원추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25)는, 원심가이드부(21)의 단면상 3개가 균등한 원주각도로 배치되고, 전면에서 보아 각각 180도 정도의 각도 범위에 걸처 원심가이드부(21)의 대략 원추형상의 곡면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보호익(26)이 더욱 효율적으로 슬러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진공상태의 실링을 유지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되고, 방상상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크게 형성되며, 상기 실링보호익(26)이 중간익(26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
KR20-2005-0023937U 2005-08-19 2005-08-19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 KR200404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937U KR200404558Y1 (ko) 2005-08-19 2005-08-19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937U KR200404558Y1 (ko) 2005-08-19 2005-08-19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558Y1 true KR200404558Y1 (ko) 2005-12-26

Family

ID=4929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937U KR200404558Y1 (ko) 2005-08-19 2005-08-19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5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23A1 (ko) * 2018-05-23 2019-11-28 (주)신광 고비중 미세슬러리용 원심펌프의 오픈형 임펠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823A1 (ko) * 2018-05-23 2019-11-28 (주)신광 고비중 미세슬러리용 원심펌프의 오픈형 임펠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2027B1 (ko) 이물질의 절단이 가능한 수중펌프
KR101036567B1 (ko) 개량된 펌프 임펠러
RU2394173C2 (ru) Рабочее колесо для центробежного насоса и содержащий его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EP3276177B1 (en) Volute pump
CN109257934B (zh) 用于泥浆泵的旋转部件
RU2383783C2 (ru) Радиальное лопастное колесо
JPS6336099A (ja) 通気型シユラウド付インデユ−サ−
KR102597700B1 (ko) 절단구조를 가지는 펌프
ZA201009018B (en) Wear plate for a centifugal pump
KR200404558Y1 (ko) 실링보호익을 지니는 슬러리펌프
EP3276178B1 (en) Volute pump
KR20230106255A (ko) 절단구조를 가지는 펌프
JP5300508B2 (ja) ポンプの羽根車およびポンプ
JP6896595B2 (ja) 汚水用ポンプ
WO2010007780A1 (ja) 遠心ポンプ用羽根車及び遠心ポンプ
KR200371381Y1 (ko) 멀티 스크류형 펌프 임펠러
KR102597699B1 (ko) 절단구조를 가지는 펌프
JPS6357635B2 (ko)
KR101404578B1 (ko) 원심펌프용 임펠러
JP2023057710A (ja) 羽根車およびポンプ
RU2239725C2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WO2023002733A1 (ja) ポンプケーシングおよびポンプ
WO2023210060A1 (ja) ポンプ
RU2182263C2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KR20230106254A (ko) 절단구조를 가지는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