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369Y1 - 젖병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젖병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369Y1
KR200404369Y1 KR20-2005-0029082U KR20050029082U KR200404369Y1 KR 200404369 Y1 KR200404369 Y1 KR 200404369Y1 KR 20050029082 U KR20050029082 U KR 20050029082U KR 200404369 Y1 KR200404369 Y1 KR 200404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heating
temperature
main body
he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기화
Original Assignee
천기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기화 filed Critical 천기화
Priority to KR20-2005-0029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3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3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40Heating or cooling means; Combinations thereof
    • A61J2200/42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2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temperature

Abstract

차량 내에서나 집안에서 전자레인지 등의 별도 가열수단 없이도 간편하게 젖병에 담겨있는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는 젖병 가열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는, 열전도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젖병이 인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인입홀이 마련되고, 상기 인입홀 주변의 내부가 전열액체로 채워지는 본체; 상기 전열액체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결합되는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플러그; 및, 상기 전열액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전열액체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차단시키는 차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를 사용하면, 본체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될 우려 없이 물중탕 방식으로 젖병 내부의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고, 보다 용이하게 젖병 내부의 내용물을 적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으며, 집안에서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젖병 가열장치 {Apparatus for heating nursing bottle}
본 고안은 젖병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에서나 집안에서 전자레인지 등의 별도 가열수단 없이도 간편하게 젖병에 담겨있는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젖병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아를 키우는 부모들은 통상적으로 3~4시간 간격으로 유아에게 수유를 하는데, 분유를 탄 젖병을 데워서 준비한다 하더라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분유가 차갑게 식어버리고 분유를 장시간 따뜻하게 보온을 하게 되면 분유가 변질되므로, 매번 수유를 할 때마다 분유를 따뜻하게 데워 수유를 하고 있다.
젖병에 담겨진 내용물을 가열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플라스틱 젖병의 외측면에 가열수단을 접촉시켜 젖병을 가열시키고, 젖병이 가열됨에 따라 젖병 내부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젖병 내의 내용물이 가열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전자렌지가 널리 보급된 이후부터는 젖병을 전자렌지에 넣고 전자렌지를 동작시켜 젖병 내부의 내용물을 가열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젖병을 가열시키는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열에 의해 젖병이 변형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호르몬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렌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자렌지에서 발산되는 전자파로 인하여 젖병 내부 내용물의 유전자 및 분자 구조 등이 사람의 인체에 해롭도록 변질될 우려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출 시 부모들은 적정온도의 우유/분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뜨거운 물이 담긴 보온병과 찬물이 담긴 물통, 분유통, 젖병들을 휴대하여야 하므로, 짐이 많아지게 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며, 대부분 아이를 안고 있는 엄마가 움직이는 차량 내에서 적정온도의 우유/분유를 수유하기 위하여 찬물과 뜨거운 물을 혼합해 젖병에 붓는 과정에서 유아가 화상을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유 데움장치(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98657호)'가 고안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분유 데움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분유 데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분유 데움장치는, 상부케이스(1) 안에 플러그(8)와 일체인 열선(2)이 마련되고 열선(2)의 외벽(3)안에 물(4)이 채워지며 물(4)의 외벽(5)에는 젖병(6) 크기의 홀(7)이 뚫어져 있어 젖병(6)을 삽입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케이스(1)는 열선(2)과 연결된 플러그(8)에 의해서 하부케이스(10)의 전기플러그(11)와 연결된 콘센트(9)에 분리 결합이 되도록 되어있어 물을 재공급할 경우 기기전체를 들어올려 이동시킬 필요 없이 상부케이스(1)만 착탈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분유 데움장치는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10)가 플러그(9)와 콘센트(8)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열선(2)과 연결된 전기플러그(11)에 전기를 보내주면 물(4)을 감싸고 있는 열선(2)이 전기적 저항에 의하여 가열되어 열선(2)이 감싸고 있는 외벽(3)의 물(4)이 순간적으로 뜨거워져 물(4) 외벽(5)에 있는 젖병(6)의 분유를 데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분유 데움장치를 사용하면 보다 간편하게 젖병(6) 내의 분유를 데울 수 있고, 열선(2)이 젖병(6)을 직접 가열하지 아니하고 물중탕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젖병을 가열하므로 젖병(6) 변형이 발생되지 아니하며, 전자파를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젖병(6) 내의 분유가 변질될 우려가 없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유 데움장치는 물(4)이 가열되어 부피가 팽창하더라도 상부케이스(1)에 압력이 인가되지 아니하도록, 물(4)이 채워지는 열선(2)의 외벽(3)과 물(4)의 외벽 사이 공간이 상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상부케이스(1)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물(4)이 상부케이스(1) 외부로 쏟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2)로 나뉘어 구성되므로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와 같이 전기콘센트가 없는 장소에서는 사용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아에게 수유하는 분유는 40℃ 내외가 가장 적절한데, 종래의 분유 데움장치는 젖병(6) 내부의 분유가 어느 정도 가열되었는지를 표시하는 수단이 구비되어있지 아니하므로, 분유를 적정 온도로 가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될 우려 없이 물중탕 방식으로 젖병 내부의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고, 보다 용이하게 젖병 내부의 내용물을 적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으며, 집안에서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젖병 가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는,
열전도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젖병이 인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인입홀이 마련되고, 상기 인입홀 주변의 내부가 전열액체로 채워지는 본체;
상기 전열액체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결합되는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플러그; 및
상기 전열액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전열액체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차단시키는 차단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는, 인입홀 내부에 인입된 젖병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투명창이 일측 외벽에 마련되고, 젖병 내부의 내용물 부피에 따라 가열시간을 표시하는 눈금이 투명창 또는 투명창 주변에 마련된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는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는, 젖병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온도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온도표시부는 젖병과 접촉될 수 있도록 인입홀 내측벽에 결합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 신호에 따라 점멸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체 외측면에 마련되는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는 단열재에 의해 감싸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플러그는, 차량의 시가잭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가잭용 플러그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의 차단수단이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의 온도표시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는, 젖병(10)이 인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인입홀(110)이 마련되고 상기 인입홀(110) 주변의 내부가 전열액체(200)로 채워지는 본체(100)와, 상기 전열액체(200)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 내부에 결합되는 가열수단(300)과, 상기 가열수단(3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플러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콘센트에 전원플러그(400)가 결합되어 가열수단(300)에 전원이 인가되면, 가열수단(30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본체(100) 내부에 채워진 전열액체(200)가 가열되어 인입홀(110) 내부가 전체적으로 가열되고, 이에 따라 인입홀(110)에 삽입된 젖병(10) 내부의 분유가 따뜻하게 데워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는 열선 등과 같은 가열수단(300)이 직접 젖병(10)을 가열하지 아니하고 전열액체(200)에 의해 중탕 방식으로 젖병(10)을 서서히 가열하므로, 젖병(10)이 눌거나 변형되는 형상 없이 젖병(10) 내부의 분유를 따뜻하게 데울 수 있으며, 전자렌지를 사용할 때와 같이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가 방출되지 아니하므로 분유의 변질 우려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젖병(10) 내부에 분유를 담은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젖병(10) 내부에 담겨지는 내용물은 분유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우유나 모유, 이유식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전열액체(200)의 열이 보다 용이하게 인입홀(110)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는 열전달율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고, 인입홀(110) 내측으로 발산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젖병(1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인입홀(110)의 내측면은 젖병(1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젖병(10) 몸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인입홀(110) 역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인입홀(1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젖병(10)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젖병(10) 몸체가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인입홀(110) 역시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열액체(200)는 가열수단(300)에 의해 가열되어 인입홀(110) 내측벽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액체뿐만 아니라 기체 및 고체 등 다양한 물질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전열액체(200)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물(Water)로 적용될 수도 있고, 가열되었을 때 본체(100)에 큰 압력을 인가하지 아니하도록 수은이나 파라핀과 같이 부피팽창률이 작은 물질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체(100) 내부에 마련되는 전열액체(200)는 본체(100)가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지더라도 본체(100)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사방이 밀폐된 공간에 채워지는데, 이와 같이 사방이 밀폐된 공간에 채워진 전열액체(200)에 지속적으로 고온의 열이 전달되는 경우 전열액체(200)의 팽창에 의해 본체(100)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본체(100)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는, 상기 전열액체(200)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전열액체(200)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상기 가열수단(300)의 작동을 차단시키는 차단수단(5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차단수단(500)은 전열액체(200)의 온도에 따라 가열수단(300)을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플러그(400)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가열수단(300)에 전달하는 전선(410)에 마련되어 가열수단(300)으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차단수단(500)은 회로 상에서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자식 차단기로 적용될 수도 있고, 바이메탈과 같은 기계식 차단기로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식 차단기 또는 기계식 차단기는 이미 여러 분야에서 상용화되어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젖병(10)에 담겨진 분유를 적정 온도로 데울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의 일측 외벽에는 인입홀(110) 내부에 인입된 젖병(10)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투명창(120)이 마련되고, 젖병(10)에 담겨진 분유의 부피에 따라 가열시간을 표시하는 눈금(130)이 투명창(120) 또는 투명창(120) 주변에 마련된다. 이때 젖병(10)은 통상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자는 투명창(120)을 통해 분유가 얼마만큼 젖병(10)에 채워져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눈금(130)은 젖병(10)에 담겨진 분유가 40℃ 내외가 되기 위한 젖병 가열장치의 작동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젖병(10) 내부에 담겨진 분유의 수면이 '1min' 눈금(130)에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1분 동안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젖병(10)에 담겨진 분유를 40℃ 내외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눈금(130)은 분유 분량별로 가열시간을 달리한 후 분유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차례의 실험을 통해 매겨진다.
또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젖병 가열장치의 동작시간을 체크할 수 있도록, 본체(100) 일측에는 가열수단(300)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140)가 마련된다. 즉, 젖병(10) 내부에 담겨진 분유의 수면이 '3min' 눈금(130)에 위치하는 경우 타이머(140)를 '3' 위치까지 회전시킴으로써 젖병 가열장치의 동작시간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가열시간은 젖병(10)에 담겨지는 내용물의 특성이나 외부 온도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는 젖병(10)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100)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온도표시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온도표시부(150)는 젖병(1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154)와 상기 온도센서(154)에 의해 감지된 온도 신호에 따라 점멸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체(100) 외측면에 마련되는 램프(1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온도센서(154)는 인입홀(110) 내부로 인입된 젖병(10)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도록 인입홀(110) 내측벽에 마련되며, 전열액체(200)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정확하게 젖병(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전열액체(200)와 격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열액체(200)와 온도센서(154)가 상호 격리되도록 구성된다 하더라도 전열액체(200)가 고온으로 가열되는 경우 그 열이 온도센서(154)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센서(154)는 단열재로 둘러싸이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온도표시부(150)에 의해 젖병(10)의 실제 온도가 정확하게 본체(100) 외부로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는 젖병(10)에 담겨지는 내용물의 온도를 자신이 원하는 온도로 맞출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에 적용되는 전원플러그(400)는, 차량으로 이동하는 도중에도 유아에게 수유할 분유를 데울 수 있도록 차량의 시가잭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는 시가잭용 플러그(400a)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는 차량 내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외출 시 분유를 타기 위해 뜨거운 물을 마련해야 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고, 물의 온도를 맞추기 위해 뜨거운 물과 찬물을 섞는 행동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분유를 타는 일이 매우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뜨거운 물에 의한 화상 발생 우려가 해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를 사용하면, 본체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될 우려 없이 물중탕 방식으로 젖병 내부의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으므로 젖병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보다 간편하게 젖병 내부의 내용물을 자신이 원하는 적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으며, 집안에서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외출 시 뜨거운 물을 준비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해소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유 데움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의 차단수단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의 온도표시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젖병 가열장치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젖병 100 : 본체
110 : 인입홀 120 : 투명창
130 : 눈금 140 : 타이머
150 : 온도표시부 152 : 램프
154 : 온도센서 200 : 전열액체
300 : 가열수단 400 : 전열플러그
410 : 전선

Claims (7)

  1. 열전도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젖병(10)이 인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인입홀(110)이 마련되고, 상기 인입홀(110) 주변의 내부가 전열액체(200)로 채워지는 본체(100);
    상기 전열액체(200)를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 내부에 결합되는 가열수단(300);
    상기 가열수단(3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플러그(400); 및,
    상기 전열액체(200)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전열액체(200)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상기 가열수단(300)의 작동을 차단시키는 차단수단(5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가열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인입홀(110) 내부에 인입된 젖병(10)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투명창(120)이 일측 외벽에 마련되고, 상기 젖병(10) 내부의 내용물 부피에 따라 가열시간을 표시하는 눈금(130)이 투명창(120) 또는 투명창(120) 주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가열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300)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1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가열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젖병(10)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100)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온도표시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가열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표시부(150)는,
    젖병(10)과 접촉될 수 있도록 인입홀(110) 내측벽에 결합되는 온도센서(154); 및,
    상기 온도센서(154)에 의해 감지된 온도 신호에 따라 점멸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체(100) 외측면에 마련되는 램프(15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가열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154)는 단열재에 의해 감싸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가열장치.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플러그(400)는, 차량의 시가잭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가잭용 플러그(40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젖병 가열장치.
KR20-2005-0029082U 2005-10-12 2005-10-12 젖병 가열장치 KR200404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082U KR200404369Y1 (ko) 2005-10-12 2005-10-12 젖병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082U KR200404369Y1 (ko) 2005-10-12 2005-10-12 젖병 가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369Y1 true KR200404369Y1 (ko) 2005-12-21

Family

ID=4370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082U KR200404369Y1 (ko) 2005-10-12 2005-10-12 젖병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3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337A (ko) 2021-01-13 2022-07-20 정다운 중탕식 젖병 가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337A (ko) 2021-01-13 2022-07-20 정다운 중탕식 젖병 가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4936B2 (en) Zoned vaporizer
KR100626189B1 (ko) 가열 가능한 탐침 헤드를 구비한 적외선 온도계 및 보호 캡
US20140190357A1 (en) Bottl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US10299515B2 (en) Dynamic zoned vaporizer
CN105142473B (zh) 包括配备有固定元件的温度传感器的烹饪容器
US20140091083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for heating a liquid
CN107811518A (zh) 温度感测装置和烹饪器具
CN204654457U (zh) 基于无线供电的智能保温杯
KR200404369Y1 (ko) 젖병 가열장치
CN206687544U (zh) 一种ptc 加热恒温水杯
CN201453675U (zh) 带温度显示的保温型奶瓶
KR200426372Y1 (ko) 외부에서 온도제어가 가능한 휴대용 온열기
CN206261474U (zh) 温度感测装置和烹饪器具
CN209300854U (zh) 电热水杯
US2536596A (en) Bottle warmer
CN204427780U (zh) 用于电热锅的发热盘组件及具有其的电热锅
WO2014107840A1 (en) Bottl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CN108036868A (zh) 一种微型热敏柔性探头
CN206880596U (zh) 一种新型保温容器
CN106724564B (zh) 一种ptc加热恒温水杯
CN209087762U (zh) 一种离子注入系统的红磷加热装置
CN208286881U (zh) 内锅和烹饪器具
CN210151036U (zh) 一种融化石蜡的装置
JP2011139757A (ja) 保温具キット及び保温具
CN207357185U (zh) 一种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