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137Y1 - 온수매트 - Google Patents

온수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137Y1
KR200404137Y1 KR20-2005-0028587U KR20050028587U KR200404137Y1 KR 200404137 Y1 KR200404137 Y1 KR 200404137Y1 KR 20050028587 U KR20050028587 U KR 20050028587U KR 200404137 Y1 KR200404137 Y1 KR 200404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pipe
sheet
water mat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빈
Original Assignee
임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빈 filed Critical 임상빈
Priority to KR20-2005-0028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1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1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6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mounted on, or adjacent to, a ceiling, wall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athtub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부에서 온수가 공급되어 순환되는 온수매트에 있어서, 온수매트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시트(20)와; 온수매트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시트(50)와; 상기 하부시트(20)와 상부시트(50) 사이에 지그재그형상으로 삽입된 온수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시트(20), 온수관(30) 및 상부시트(50)는 지그재그형상의 오목홈(11)이 형성된 목합(10) 상에 순차적으로 부착되고 진공융착되어, 온수관(30)이 하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오목홈이 형성된 목합을 사용하여 일정한 위치에 온수관을 유지한 상태에서 진공융착하여, 제작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온수관이 하측으로 돌출하여 이질감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수매트{Hot water mat}
본 고안은 온수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목홈이 형성된 목합을 사용하여 일정한 위치에 온수관을 유지한 상태에서 진공융착하여, 제작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온수관이 하측으로 돌출하여 이질감을 감소시킬 수 있고, 온수관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보온재를 설치하여 온수매트의 보온 및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온수매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 동절기에 사용되는 전기장판이나 전기매트는 실내의 바닥을 국부적으로 난방을 하거나, 보온유지를 하기 위해 사용되며, 난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시간에 난방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장판이나 전기매트는 전기를 사용하므로 감전사고 위험이 상존하고 있고, 자체의 전기적 특성으로 인하여 유해 전자파가 발생하며 그 전자파가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춘 전기장판이나 전기매트가 시판되기도 하였으나, 유해 전자파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것이며, 그 효과도 신뢰성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기를 이용하여 전열선에 의해 난방하는 전기장판이나 전지매트와 달리, 고온의 온수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온돌방식을 채택하여 유해 전자파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장점을 지닌 온수매트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온수매트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펌프로 온수매트 내부에 설치된 온수관을 따라서 순환하도록 하여 난방을 하는 것으로서, 유해 전자파를 발생하는 전열선 대신에 고온의 온수를 사용하므로 전혀 유해 전자파의 방출이 없을 뿐만 아니라, 낮은 전력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자동차의 배터리 혹은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옥외에서도 휴대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성이 있으므로 인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온수매트는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를 재봉틀로 박음질 또는 킬팅하고 그 사이에 온수관을 삽입하여, 재봉선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온수관이 삽입되는 구성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온수매트는 수작업에 의한 박음질이나 킬팅을 이용하므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장기간 사용할 경우 탈피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하부시트를 킬팅하여 그 사이에 온수관을 배열하므로, 온수관의 돌출이나 굴곡에 의해 사용자가 온수매트의 사용시 베기는 현상과 같은 이질감을 느껴서 사용상 불편하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매트의 상측에 두꺼운 마감재를 사용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매트 자체의 두께나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두꺼운 마감재로 인해 매트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면, 온수매트의 이동성이 저하되고 접철식의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매트를 사용하지 않는 하절기에 보관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온수매트의 세척시에도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오목홈이 형성된 목합을 사용하여 일정한 위치에 온수관을 유지한 상태에서 진공융착하여, 제작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온수관이 하측으로 돌출하여 이질감을 감소시킬 수 있고, 온수관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보온재를 설치하여 온수매트의 보온 및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온수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어부에서 온수가 공급되어 순환되는 온수매트에 있어서, 온수매트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시트(20)와; 온수매트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시트(50)와; 상기 하부시트(20)와 상부시트(50) 사이에 지그재그형상으로 삽입된 온수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시트(20), 온수관(30) 및 상부시트(50)는 지그재그형상의 오목홈(11)이 형성된 목합(10) 상에 순차적으로 부착되고 진공융착되어, 온수관(30)이 하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수관(30)의 상측 및 하측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보온재(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온재(40)는 화이버글라스, 황토판 및 스펀지중 적어도 일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수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수매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수매트를 나타내는 제작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수매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수매트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온수매트는 하부시트(20), 온수관(30) 및 상부시트(50)로 이루어져 제어부(60)에서 온수가 공급되어 순환되는 온수매트이다.
하부시트(20)는 온수매트의 하부를 구성하며, 하부시트(20)의 소재로는 예를 들면, 라이렉스(lylex), 폴리비닐염화물(PVC, polyvinyl chloride), 스판망사, 우레탄(uretha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부직포 등의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라이렉스(lylex)는 폴리에스테르를 기모처리하여 가볍고 보온성이 뛰어나 겨울철 고급 트레이닝의류, 가죽장갑 등에 사용되는 안감용의 고급원단이다.
상부시트(50)는 온수매트의 상부를 구성하며, 상부시트(50)의 소재로는 예를들면, 하부시트(20)와 마찬가지로 라이렉스(lylex), 폴리비닐염화물(PVC, polyvinyl chloride), 스판망사, 우레탄(urethane),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부직포 등의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수관(30)은 접착제가 도포된 하부시트(20)와 상부시트(50) 사이에 지그재그형상으로 삽입되며, 온수관(30)의 입출부는 온수매트의 일측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외부의 제어부(60)와 연통하게 된다.
온수관(30)의 소재로는 통상 폴리에틸렌(PE)를 주로 사용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생성과 가공성이 양호하며 고온에서 내구성이 향상된 소재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된다.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수성 접착제, 유성 접착제, 화학본드, 풀 등이 사용가능하며, 특히 인체에 무해한 접착액으로서 물과 고열에 의해 접착액이 분자를 분해시키는 수성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60)는 예를 들면, 통상의 히터, 순환펌프, 제어기, 온수 탱크 등이 내장되어 있으며, 전원공급을 제어기로 조절하고, 온수의 온도, 작동시간 등을 제어하며, 온수 탱크 내의 물을 히터로 가열하고, 온수를 순환펌프에 의해서 온수관(30) 내로 순환시켜 온수매트를 난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하부시트(20), 온수관(30) 및 상부시트(50)는 지그재그형상의 오목홈(11)이 형성된 목합(10) 상에 순차적으로 부착되고, 진공융착기에 의해 진공융착되어, 온수관(30)이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합(10)은 나무판재 형상의 목재 금형으로서, 상측에 지그재그형상의 오목홈(11)이 형성되어, 그 상측에 설치되는 온수관(30)의 배열위치를 정확하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진공유착기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04-55408호(2004.06.26)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진공펌프가 설치되어 목합(10) 상에 부착된 하부시트(20), 온수관(30) 및 상부시트(50)를 하방으로 흡착시켜 밀착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측의 히터에서 열풍관을 통해 열풍을 상부시트(50) 상에 부여하게 된다. 그러면, 접착제가 도포된 하부시트(20)와 상부시트(50)가 진공 및 열풍에 진공융착하게 된다.
열풍의 온도로 각 시트의 소재에 따라 다르지만, 100℃ 보다 낮으면, 융착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180℃ 보다 높으면, 시트의 소재가 변형되거나 접착제의 성분이 변화되어 접착면에 손상이 발생되므로, 100∼180℃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풍의 동작시간은 각 시트의 소재에 따라 다르지만, 1분 보다 짧으면, 융착열이 부족하여 융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2분 보다 길면, 시트의 소재가 변형되거나 접착제의 성분이 변화되어 접착면에 손상이 발생되므로, 1∼2분동안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수관(30)의 상측, 하측 또는 양측에 온수관(30)의 열을 보관하여 난방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온재(40)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온재(40)로는 예를 들면, 화이버글라스(fiberglass), 황토판 및 스펀지중 일종 또는 복수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온수매트의 보온 및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스펀지 등의 의해 이질감의 감소효과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본 실시예의 온수매트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진공융착기의 이동판 상에 지그재그형상의 오목홈(11)이 형성된 목합(10)을 안착시킨다. 이동판에 안착된 지그재그형상의 오목홈(11)이 형성된 목합(10) 상에 수성풀과 같은 무공해물이 도포된 하부시트(20)를 부착한다(S101).
목합(10)의 오목홈(11)을 따라서 하부시트(20) 상에 온수관(30)을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열하여 설치한다(S102).
그 다음에 온수관(30)이 설치된 하부시트(20) 상에 수성풀과 같은 무공해물이 도포된 상부시트(50)를 부착한다(S104).
목합(10) 상에 부착된 하부시트(20)와 상부시트(50)를 진공융착기에 의해 100∼180℃로 1∼2분 동안 진공융착한다(S105).
진공융착된 하부시트(20)에서 목합(10)을 분리하여 온수매트를 완성한다(S106).
또한, 온수매트의 보온 및 단열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하부시트(20) 상에 온수관(30)을 설치한 후, 하부시트(20) 상에 보온재(40)를 부착하는 것(S103)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오목홈이 형성된 목합을 사용하여 일정한 위치에 온수관을 유지한 상태에서 진공융착하여, 제작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온수관이 하측으로 돌출하여 이질감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온수관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보온재를 설치하여 온수매트의 보온 및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수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수매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수매트를 나타내는 제작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수매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온수매트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목합 11 : 오목홈
20 : 하부시트 30 : 온수관
40 : 보온재 50 : 상부시트
60 : 제어부

Claims (3)

  1. 제어부에서 온수가 공급되어 순환되는 온수매트에 있어서,
    온수매트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시트(20)와;
    온수매트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시트(50)와;
    상기 하부시트(20)와 상부시트(50) 사이에 지그재그형상으로 삽입된 온수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시트(20), 온수관(30) 및 상부시트(50)는 지그재그형상의 오목홈(11)이 형성된 목합(10) 상에 순차적으로 부착되고 진공융착되어, 온수관(30)이 하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30)의 상측 및 하측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보온재(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40)는 화이버글라스, 황토판 및 스펀지중 적어도 일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KR20-2005-0028587U 2005-10-06 2005-10-06 온수매트 KR200404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587U KR200404137Y1 (ko) 2005-10-06 2005-10-06 온수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587U KR200404137Y1 (ko) 2005-10-06 2005-10-06 온수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057A Division KR20070038778A (ko) 2005-10-06 2005-10-06 온수매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137Y1 true KR200404137Y1 (ko) 2005-12-19

Family

ID=4370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587U KR200404137Y1 (ko) 2005-10-06 2005-10-06 온수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13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607B1 (ko) 2007-01-30 2008-01-02 박경자 보일러식 온수매트용 온열층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50144662A (ko) 2014-06-17 2015-12-28 허중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겸용 매트
KR101613666B1 (ko) 2015-09-18 2016-04-29 허중 에너지절약형 냉온수 매트
KR20220089326A (ko) * 2020-12-21 2022-06-28 정종훈 온열 매트용 발열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607B1 (ko) 2007-01-30 2008-01-02 박경자 보일러식 온수매트용 온열층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50144662A (ko) 2014-06-17 2015-12-28 허중 에너지 절약형 냉온수 겸용 매트
KR101613666B1 (ko) 2015-09-18 2016-04-29 허중 에너지절약형 냉온수 매트
KR20220089326A (ko) * 2020-12-21 2022-06-28 정종훈 온열 매트용 발열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454253B1 (ko) * 2020-12-21 2022-10-12 정종훈 온열 매트용 발열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8778A (ko) 온수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04137Y1 (ko) 온수매트
KR102233447B1 (ko) 미세발열체 및 온수관을 이용한 모듈형 냉, 온열 매트리스
KR200477127Y1 (ko) 발열선 고정이 용이한 전기매트
KR20140110331A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실내난방 겸용 온돌 침대
KR101006311B1 (ko) 온수를 이용한 황토 온열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302361B1 (ko) 냉온수 라텍스 매트
KR200422188Y1 (ko) 난방용 매트
JP3153158U (ja) 床暖房畳
KR200380248Y1 (ko) 오일을 이용한 온열매트
CN205515135U (zh) 电暖屋
KR200474955Y1 (ko) 온수관 고정이 용이한 온수매트
KR20080002969U (ko) 온수 침대 매트리스
KR20100001034U (ko) 목재 침대
KR20070122433A (ko) 황토소파
KR20200000191U (ko) 통풍 기능을 갖는 사계절용 온열 매트
CN217402655U (zh) 一种节能养生发热板
CN213020295U (zh) 一种水暖毯加热系统
CN204717832U (zh) 远红外热能保健地暖
KR101456029B1 (ko) 다단 접이식 발열 매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0378289Y1 (ko) 온수로가 내설된 매트
CN212345991U (zh) 一种用于床垫的石墨烯发热装置
JP3187309U (ja) 垢すりベット
CN210441307U (zh) 一种便携式写字台取暖器
CN219438730U (zh) 多功能远红外电暖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