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4028Y1 - 오뚜기 완구 - Google Patents

오뚜기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4028Y1
KR200404028Y1 KR20-2005-0026769U KR20050026769U KR200404028Y1 KR 200404028 Y1 KR200404028 Y1 KR 200404028Y1 KR 20050026769 U KR20050026769 U KR 20050026769U KR 200404028 Y1 KR200404028 Y1 KR 200404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member
toy
ring
ottogi
d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선
Original Assignee
최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선 filed Critical 최진선
Priority to KR20-2005-0026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40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4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40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5/00Other gravity-operated toy figures
    • A63H15/06Self-righting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뚜기 완구에 관한 것으로,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을 향해 반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지면과 접하는 면이 소정의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로드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뚜기 완구{SELFRIGHTING TOY}
본 고안은 오뚜기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뚜기 완구는 구상의 몸체 내부의 중앙에 중량체를 내장시켜 상부를 좌우로 이동시키거나 쓰러트려도 몸체의 무게중심이 항상 아래로 오도록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일측과 타측으로 움직일 때 소리나는 딸랑이를 넣어 흔들거리는 소리를 제공하기도 하고, 별도의 발광수단을 내부에 구비하여 발광으로 인한 즐거움을 주기도 한다.
그런데 오뚜기 완구는 그 특성상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단순 반복적으로 동작함으로 인하여 유아가 오래지 않아 쉽게 싫증을 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오뚜기 완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하며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별도의 중량체가 구비되는 오뚜기부(10)와, 오뚜기부(10)의 상단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천재질의 인형부(40)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기본적인 오뚜기 기능만을 수행하므로서, 그 기능이 단순하여 최근 들어 소비자들이 유아용 장난감들에서 절실히 요구하는 유아의 집중력향상, 인지발달향상, 및 소근육발달과 같은 욕구들을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오뚜기 자체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서, 유아에게 비위생적이고 환경친화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에는 오뚜기의 내부에 별도의 중량체를 넣고 오뚜기의 외부는 사출성형해야 하므로, 재료비가 상당히 많이 들고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변화된 기능을 가지므로서 유아의 집중력향상, 인지발달향상, 및 소근육발달과 같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으며, 위생적이고 환경친화적이며, 재료비가 상당히 절감되고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오뚜기 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을 향해 반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지면과 접하는 면이 소정의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로드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뚜기 완구를 제공한다.
상기 로드부재에는 상기 링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인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형부재의 하면과 상기 로드부재의 상면에는 탈부착용 자석부 또는 벨크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부재의 내부에는 외력을 가할시 소정의 소리가 발생하도록 소음발생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링부재의 소음발생부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링형상의 경성튜브와, 상기 경성튜브의 내부에 복수로 구비되는 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 및 로드부재는 나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부재는 나무재질, 섬유재질, 합성수지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오뚜기 완구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뚜기 완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뚜기 완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뚜기 완구(50)는 지지부재(60), 로드부재(70), 및 링부재(80)를 포함한다.
먼저, 지지부재(60)는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을 향해 반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지면과 접하는 면이 소정의 원호면(61)으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서, 지지부재(60)는 지면과 접하는 면, 즉 하면이 원호면(61)으로 이루어지고, 이 원호면(61)은 반구면과 거의 가깝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원호면(61)은 필요에 따라 반구면보다 더 넓은면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지지부재(60)의 상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이 지지부재(60)는 나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합성수지재질은 일반 플라스틱재질과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을 포함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60)가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므로서, 유아가 가지고 노는데 보다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자연친화적이고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상기 로드부재(70)는 지지부재(60)의 상부에 수직하게 고정된다.
실시예에서, 로드부재(70)는 지지부재(60)의 상부에 수직하게 고정되되, 그 고정방식은 로드부재(70)의 하면이 지지부재(60)의 상면에 직접 접착제(미도시)로 고정되거나, 로드부재(70)의 하면이 지지부재(60)의 상면에 체결구(미도시)로 고정된다.
도면들에서 로드부재(70)는 그 형상이 비교적 원통형으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서 직육면체나 기타 다른 입체적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로드부재(70)는 나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부재(70)가 나무재질로 이루어지므로서, 유아가 보다 위생적으로 가지고 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친화적이고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여기서 합성수지재질은 일반 플라스틱재질과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을 포함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지부재(60)와 로드부재(70)만으로 오뚜기의 기능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내부에 별도로 중량체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상기 링부재(80)는 로드부재(70)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끼워진다.
실시예에서, 링부재(80)는 제1링부재 내지 제4링부재(81,82,83,84)로 이루어지며, 이 4개의 링부재(80)가 순차적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되지만 상기 링부재(80)는 4개보다 더 작은 갯수로 이루어지거나 더 많은 갯수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러한 링부재(80)는 나무재질, 섬유재질, 합성수지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링부재(80)의 외면에는 유아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다양한 문양과 색깔이 프린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링부재(80)가 섬유재질로 이루어진다면, 유아가 입으로 빨고 물더라도 위생적이며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이 링부재(80)의 내부에는 외력을 가할시 소정의 소리가 발생하도록 소음발생부(110)가 더 구비된다.
소음발생부(110)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링형상의 경성튜브(111)와, 상기 경성튜브(111)의 내부에 복수로 구비되는 볼(112)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유아가 링부재(80)를 손으로 잡고 흔들거나 쳤을 때, 소음발생부(110)의 볼(112)이 경성튜브(111)의 내면에 부딪히면서 탁한 소리가 발생된다. 이는 통상의 '유아용 딸랑이'와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이 링부재(80)에 소음발생부(110)가 구비되므로써, 유아의 청각을 발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인지발달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유아는 링부재(80)를 로드부재(70)에 하나씩 끼우는 훈련을 지속적으로 하게 되므로써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의 소근육 발달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로드부재(70)에는 링부재(80)가 끼워진 상태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인형부재(100)를 더 포함한다.
이 인형부재(100)의 하면과 로드부재(70)의 상면에는 탈부착용 자석부(90) 또는 벨크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인형부재(100)의 하면과 로드부재(70)의 상면에는 탈부착용 자석부(90)가 구비된다. 하지만, 인형부재(100)의 하면과 로드부재(70)의 상면에는 벨크로부(미도시)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즉, 자석부(90)는 인형부재(100)의 하면에는 음극성 자석(92)이 구비되고, 로드부재(70)의 상면에는 양극성 자석(91)이 구비되어 인형부재(100)가 로드부재(70)에 접합된 상태에서 유아가 인형부재(100)를 잡고 일정한 힘을 가해 당기게 되면 상기 인형부재(100)가 로드부재(70)로부터 분리되고, 유아가 다시 인형부재(100)를 로드부재(70)에 접근시키면 상기 인형부재(100)가 로드부재(70)에 접합된다.
도면에서는 인형부재(100)가 동물(토끼)의 머리모양을 가지지만, 필요에 따라 기타 다른 형상의 인형을 붙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인형부재(100)가 로드부재(7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므로서, 유아가 인형부재(100)를 별도로 가지고 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형부재(100)를 로드부재(70)에 접합시킴으로서 본 고안이 보다 미려하게 보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오뚜기 완구에 관한 것으로, 다변화된 기능을 가지고 유아의 집중력향상, 인지발달향상, 및 소근육발달과 같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 비해 위생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지지부재와 로드부재만으로 오뚜기의 기능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내부에 별도로 중량체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재료비가 절감되고 공정이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링부재를 로드부재에 끼우는 구조이므로, 유아의 집중력향상, 청력발달향상, 인지발달향상 등의 장점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별도의 소음발생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별도로 통상의 딸랑이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인형부재가 로드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므로서, 유아가 인형부재를 별도로 가지고 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형부재를 로드부재에 접합시킴으로서 본 고안이 보다 미려하게 보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오뚜기 완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오뚜기 완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뚜기 완구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오뚜기 완구 60; 지지부재
61; 원호면 70; 로드부재
80; 링부재 81; 제1링부재
82; 제2링부재 83; 제3링부재
84; 제4링부재 90; 자석부
91; 양극성자석 92; 음극성자석
100; 인형부재 110; 소음발생부
111; 경성튜브 112; 볼

Claims (5)

  1.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을 향해 반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지면과 접하는 면이 소정의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 수직하게 고정되는 로드부재; 및
    상기 로드부재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뚜기 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재에는 상기 링부재가 끼워진 상태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인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형부재의 하면과 상기 로드부재의 상면에는 탈부착용 자석부 또는 벨크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뚜기 완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의 내부에는 외력을 가할시 소정의 소리가 발생하도록 소음발생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뚜기 완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의 소음발생부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링형상의 경성튜브와, 상기 경성튜브의 내부에 복수로 구비되는 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뚜기 완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및 로드부재는 나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부재는 나무재질, 섬유재질, 합성수지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뚜기 완구.
KR20-2005-0026769U 2005-09-16 2005-09-16 오뚜기 완구 KR200404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69U KR200404028Y1 (ko) 2005-09-16 2005-09-16 오뚜기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69U KR200404028Y1 (ko) 2005-09-16 2005-09-16 오뚜기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4028Y1 true KR200404028Y1 (ko) 2005-12-15

Family

ID=43704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769U KR200404028Y1 (ko) 2005-09-16 2005-09-16 오뚜기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40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1540B2 (en) Children's playland
KR200404028Y1 (ko) 오뚜기 완구
JP3128548U (ja) 飾り付き歯ブラシ
CN209677746U (zh) 一种沙盘游戏桌
CN220369269U (zh) 用于人和宠物娱乐解闷互动的多功能小球
KR200399445Y1 (ko) 완구 유모차
KR200362734Y1 (ko) 발광 제기
KR200452376Y1 (ko) 풍선 체결이 용이한 유희용 팔찌
KR200364207Y1 (ko) 발성, 발광구조를 갖는 유희용 크래쉬 백
JP3118380U (ja) 遊戯具
CN203139640U (zh) 一种发光玩具
KR200272576Y1 (ko) 음성 및 음향 발생 장치가 내장된 엔터테인먼트 튜브
RU32405U1 (ru) Игрушка и/или сувенир
CN111135552A (zh) 一种投掷球配套玩具
KR20070018555A (ko) 발광 부재와 음향 부가 구비된 기능성 공기 돌
TWM384688U (en) Structure of bottle containing balls with features of sounding by shaking
KR20120114722A (ko) 유아용 자석블록
TH60114EX (th) ของเล่นสำหรับเด็ก
KR19980010533U (ko) 유희용 펠트부재셋트
UA1926U (uk) Дитяча іграшка
TH60051EX (th) ของเล่นสำหรับเด็ก
TH58262EX (th) ของเล่นสำหรับเด็ก
TH58266EX (th) ของเล่นสำหรับเด็ก
TH58254EX (th) ของเล่นสำหรับเด็ก
TH60056EX (th) ของเล่นสำหรับเด็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