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743Y1 - Bridge bearing - Google Patents

Bridge bea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743Y1
KR200403743Y1 KR20-2005-0021462U KR20050021462U KR200403743Y1 KR 200403743 Y1 KR200403743 Y1 KR 200403743Y1 KR 20050021462 U KR20050021462 U KR 20050021462U KR 200403743 Y1 KR200403743 Y1 KR 200403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pper plate
pin
bridge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46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영철
Original Assignee
(주)알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티에스 filed Critical (주)알티에스
Priority to KR20-2005-0021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74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743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을 지지하여주는 교좌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교좌장치는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 교각상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판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상판의 제한적인 회전운동을 허용하고 관통공을 갖는 완충부재 및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일단은 상기 완충부재 상부쪽 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완충부재의 하부쪽 부재에 형성된 핀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상호간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핀구멍이 형성되는 부재에는 상기 핀구멍이 넓어짐에 의해 형성되는 부발방지턱이 구비되고, 상기 핀에는 상기 부발방지턱에 걸리며 부발방지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는 제 1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완충부재 사이에는 하면으로 상기 핀이 연결되며 상면으로 상기 제 1걸림부에 걸려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위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걸림부가 형성되는 중간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부발방지기능을 가지면서도 종래의 것에 비해 상부플레이트와 중간플레이트의 폭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교량상판의 저면에 배치되는 거더의 폭이 작은 교량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하부플레이트를 교각상에 고정하는 볼트의 교체가 수월하고, 이에 따라 교좌장치의 유지보수도 편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Disclosed is a bridge device installed between a top plate and a bridge of a bridge to support the top plate. The bridge device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the lower plate installed on the pier,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allow a limited rotational movement of the upper plate while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ad of the upper plate A buffer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and one end thereof through the through hole is fixed to the upper member of the buffer member,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a pin hole formed in the lower member of the buffer member so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pin for limiting movement, and a member having the pin hole formed therein is provided with a pinched jaw formed by widening the pin hole, and the pin has a pinched jaw that is caught by the pinched jaw and corresponds to the pinched jaw. In the teaching apparatus provided, the first plate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in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intermediate plate is formed with a second lock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s caught by the first locking portion to prevent the upper plate from being separated upwards, It can reduce the width of the upper plate and middle plat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but also can be used for the bridges with small width of the girder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ridge deck, and to fix the lower plate on the pier. It offers the advantage of easy bolt replacement and easy maintenance of the chair.

Description

교좌장치{Bridge bearing}Bridge device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을 지지하여주는 교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판의 상하운동과 회전운동에 의한 힘을 완충하여 받아주는 교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device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top plate and the bridge of the bridge to support the top plate, and more particularly relates to a bridge device for receiving the buffer by the force of the up and down and rotational movement of the top plate.

일반적으로, 교량의 교각상에는 교량 상판의 하중을 지지하여주기 위한 교좌장치가 설치된다. 교좌장치에는 그 용도나 제작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본 고안은 디스크 베어링 또는 디스크 베어링과 유사한 구조의 교좌장치에 관련된 것이다.In general, a bridge device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bridge top plate is provided on the bridge pier. There are many types of teaching devices, depending on their use and production ty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c bearing or a stabilization device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a disc bearing.

도 1은 부발방지기능을 갖는 종래 교좌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eaching apparatus having an outbreak prevention function.

도 1은 1방향 가동단에 적용되는 교좌장치(100)로서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플레이트(110)는 용접 등에 의해, 하부플레이트(120)는 기초너트에 결합되는 볼트(122) 등에 의해 교량 상판의 저면과 교각상에 각각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140) 위쪽으로는 완충부재(140) 반대쪽에 PTFE 디스크홈(151)을 갖고 핀(130)이 결합되는 핀구멍(152)이 형성된 중간플레이트(150)가 개재되어 있다. 핀구멍(152)의 내주면을 따라 볼록부(154)가 형성되어 있고, 핀구멍(152)은 위쪽으로 갈수록 넓어져 부발방지턱(156)이 형성되어 있다. PTFE 디스크홈(151)에는 PTFE 디스크(16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플레이트(110)와 PTFE 디스크(160) 사이에 스테인리스스틸 플레이트(170)가 설치되어 있다. PTFE 디스크(160)는 스테인리스스틸 플레이트(170)와 마찰계수가 적기 때문에 구속되지 않은 방향으로는 적은 마찰력으로 서로간의 유동이 허용된다.FIG. 1 shows an upper plate 110 and a lower plate 120 as a device 100 applied to a one-way movable end. The upper plate 110 is installed on the bottom and the pier of the bridge top plate by welding or the like, and the lower plate 120 is bolted to the base nut 122 or the like. As show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uffer member 140, the intermediate plate 150 having a PTFE disk groove 151 opposite the buffer member 140 and having a pin hole 152 to which the pin 130 is coupled is interposed. . A convex portion 154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n hole 152, and the pin hole 152 is widened upwards to form an outbreak prevention jaw 156. The PTFE disc groove 151 is equipped with a PTFE disc 160, and a stainless steel plate 170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late 110 and the PTFE disc 160. Since the PTFE disk 160 has a small friction coefficient with the stainless steel plate 170, the PTFE disk 160 is allowed to flow with each other with a small friction force in an unconstrained direc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플레이트(150) 양측으로 상부플레이트(110)에는 수직부재(181)와 수평부재(182)로 된 부발방지기구(1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발방지기구(180)는 그 하단 수평부재(182)가 중간플레이트(150)의 저면 가장자리에 걸려있다. 이 부발방지기구(180)는 상부플레이트(110)가 중간플레이트(150)에 대해 좌우로는 일정 거리 이상 움직이는 것을 구속하고, 전후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것을 허용한다.As shown, the upper plate 110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plate 150 is provided with an explosion prevention mechanism 180 consisting of a vertical member 181 and a horizontal member 182. The bulge prevention mechanism 180 has its lower horizontal member 182 hanging on the bottom edge of the intermediate plate 150. This preventive mechanism 180 restrains the upper plate 110 from moving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plate 150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llows the movement on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핀(130)은 하부플레이트(120)에 고정된 보조플레이트(120a)에 나사결합에 의해 설치되며, 그 상단에 부발방지턱(156)에 걸리는 걸림턱(136)을 구비한다. 이 걸림턱(136)은 부발방지턱(156)과 대응되는 형상의 표면을 갖는다.The pin 130 is installed by screwing to the auxiliary plate 120a fixed to the lower plate 120, and has a catching jaw 136 that is caught by the bulge prevention jaw 156 at an upper end thereof. The locking jaw 136 has a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revention prevention jaw 156.

중간플레이트(150)와 수직부재(181)의 마주보는 부분 및 중간플레이트(150)와 수평부재(182)의 접촉면에는 상호간의 마찰력을 줄여주기 위한 마찰저감부재(184)들이 장착되어 있다.Friction reducing members 184 are mounted on the facing portions of the intermediate plate 150 and the vertical member 181 and the contact surfaces of the intermediate plate 150 and the horizontal member 182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therebetween.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부발방지기능을 갖는 종래의 교좌장치(100)에서는 상부플레이트(110)의 폭이 너무 커져서 상부플레이트(110)가 용접 등으로 부착되는 교량상판 하부의 거더(girder)의 폭에 제한이 따른다.In the conventional bridge apparatus 100 having an explosion prevention function as shown in FIG. 1, the width of the upper plate 110 is so large that the width of the girder under the bridge top plate to which the upper plate 110 is attached by welding or the like. Restrictions follow.

그리고 상부플레이트(110)와 중간플레이트(150) 외에 부발을 방지하기 위한 수평부재(182)의 두께도 고려되어야 하므로 교좌장치의 높이가 높아진다는 단점도 있고, 수평부재(182) 하부에 설치되는 볼트(122)를 교체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o the upper plate 110 and the intermediate plate 150, the thickness of the horizontal member 182 to prevent the rupture should also be considered, so that the height of the teaching device is also increased, and the bolt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member 182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replace (122).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 또는 하부플레이트의 폭을 줄일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부발력에 대항할 수 있는 교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ing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width of the upper or lower plate, and the structure is simple, but can be opposed to the floating for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발력 방지기능을 가지면서도 높이를 줄일 수 있는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aching device that can be reduced in height while having an anti-force function.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부발력 방지기능을 가지면서도 유지보수가 쉬운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sy maintenance device while having an anti-force function.

본 고안의 중간플레이트의 폭을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교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width of the intermediat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aching device.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좌장치는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 교각상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판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상판의 제한적인 회전운동을 허용하고 관통공을 갖는 완충부재 및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일단은 상기 완충부재 상부쪽 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완충부재의 하부쪽 부재에 형성된 핀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상호간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핀구멍이 형성되는 부재에는 상기 핀구멍이 넓어짐에 의해 형성되는 부발방지턱이 구비되고, 상기 핀에는 상기 부발방지턱에 걸리며 부발방지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dge device is provided between an upper plate installed on an upper plate of a bridge, a lower plate installed on a pier, and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ad of the upper plate. A buffer member having a restrictive rotational movement and having a through hole and one end fixed to the upper member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a pin hole formed in the lower member of the buffer member so that the upper plate And a pin for restricting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lower plate, wherein the pin hole is formed with a pin tip which is formed by widening the pin hole, and the pin is caught by the pin tip and the pin tip is caught. In the teach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locking jaw of a corresponding shape,

상기 상부플레이트에는 제 1걸림부가 형성되고,The first plate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완충부재 사이에는 하면으로 상기 핀이 연결되며 상면으로 상기 제 1걸림부에 걸려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위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걸림부가 형성되는 중간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buffer member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in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intermediate plate is formed with a second lock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s caught by the first locking portion to prevent the upper plate from being separated upwards. .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는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 교각상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판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상판의 제한적인 회전운동을 허용하고 관통공을 갖는 완충부재 및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일단은 상기 완충부재 하부쪽 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완충부재의 상부쪽 부재에 형성된 핀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상호간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핀구멍이 형성되는 부재에는 상기 핀구멍이 넓어짐에 의해 형성되는 부발방지턱이 구비되고, 상기 핀에는 상기 부발방지턱에 걸리며 부발방지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The brid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the lower plate installed on the pier,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support the load of the upper plate elastically limited rotational movement of the upper plate And a buffer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and one end fixed to the lower member of the buffer member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a pin hole formed in the upper member of the buffer member so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mutually free. And a pin for limit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pin hole, wherein the pin hole is formed with an outbreak prevention jaw formed by widening the pin hole, and the pin is caught in the outbreak prevention jaw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break prevention jaw. In the teach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locking jaw,

상기 하부플레이트에는 제 1걸림부가 형성되고,The first plate is formed on the lower plate,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완충부재 사이에는 상면으로 상기 핀이 연결되며 하면으로 상기 제 1걸림부에 걸려 위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걸림부가 형성되는 중간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An intermediate plate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so that the pin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locking portion is formed to prevent the pin from being moved upward by being caught by the first locking portion.

상기 제 1걸림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의 양단 사이에 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걸림부는 상기 홈 형태의 제 1걸림부에 결합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locking portion is formed in a groove shape between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plate,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is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coupled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of the groove shape.

상기 중간플레이트와 접촉이 일어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의 사이 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는 상호간의 마찰력을 줄여주기 위한 마찰저감부재들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friction reducing members ar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plate to reduce the mutual frictional force.

경우에 따라, 상기 제 1걸림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In some cases, the first locking portion is formed at both edges of the upper plate,

상기 제 2걸림부는 상기 중간플레이트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상기 제 1걸림부 상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수평부를 갖는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locking portion is formed by a member having a vertical portion attached to the edge of the intermediate plate and extending upward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vertical port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to hold the upper plate from being separated. Can have

이 경우 역시, 상기 중간플레이트와 접촉이 일어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의 사이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는 상호간의 마찰력을 줄여주기 위한 마찰저감부재들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oo, it is preferable that friction reducing members ar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plate to reduce the mutual frictional for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발력 방지기능을 갖는 교좌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eaching device having an anti-elev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200)는 교량 상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2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상부플레이트(210)는 교량 상판 저면의 거더 등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 상부플레이트(210)의 좌우 중앙부위에는 제 1걸림부(212)가 구비된다. 이 제 1걸림부(212)는 T형 홈(213)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T형 홈(213)에 의해 형성되는 제 1걸림부(212)는 뒤에서 설명되는 T형 돌기(253)에 의한 제 2걸림부(252)에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상부플레이트(210)가 설치되어 있는 상판 등이 부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제 1걸림부(212)와 제 2걸림부(252)는 반드시 T형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더브테일형으로 하여도 되고, 다른 형태로도 가능하다. 단지 제 1걸림부(212)와 제 2걸림부(252)가 서로 걸릴 수 있도록 상부구조물의 부발을 잡아줄 수 있으면 된다. 제 2걸림부(252)는 볼트(255)를 통해 중간플레이트(250)에 고정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중간플레이트(25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ure 2, the bridge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upper plate 21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ridge top plate. The upper plate 210 is fixed by welding or the like to the girder of the bridge top surface. First locking portions 212 are provided at left and right center portions of the upper plate 210. The first locking portion 212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form of a T-shaped groove (213). The first locking portion 212 formed by the T-shaped grooves 213 may be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portion 252 by the T-shaped protrusion 25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upper plate 210 is installed. It is to prevent the top plate and the like from being out. Of course, the first catching portion 212 and the second catching portion 252 are not necessarily formed in a T shape, and may be a dovetail type in some cases, or may be in other forms. Only the first catching part 212 and the second catching part 252 need to be able to hold the bulge of the upper structure so as to catch each other. The second catching part 252 may be fixed to the intermediate plate 250 through the bolt 255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termediate plate 250.

상부플레이트(210)와 마주보고 하부플레이트(22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하부플레이트(220)는 교각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교각에 설치되는 기초너트에 결합되는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된다. 이 하부플레이트(220)의 중앙부에는 핀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다. 핀구멍(222)으로는 뒤에서 설명되는 핀(230)의 일단이 삽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핀구멍(222)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부발방지턱(2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발방지턱(226)은 핀구멍(222)이 넓어짐에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핀(230)과 작용하여 상부플레이트(210)의 부발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lower plate 220 is shown facing the upper plate 210. The lower plate 22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it is fixed through a bolt or the like coupled to the base nut is installed in the pier. The pin hole 222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is lower plate 220. As shown in FIG. One end of the pin 230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222. As shown, the prevention prevention jaw 226 is forme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pinhole 222. The prevention prevention jaw 226 is to be formed as the pin hole 222 is widened to work with the pin 230 to prevent the outbreak of the upper plate 210.

핀(230)은 중간플레이트(250) 저면에 나선이 형성된 홈(256)을 형성하고 핀(230)의 상단 외주면에 대응되는 나선(232)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에 의해 설치하면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핀(230)은 용접에 의해 중간플레이트(25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 핀(230)은 완충부재(240)의 관통공(244)을 통과하여 반대편의 핀구멍(222)까지 연장되어 있다.The pin 230 may form a groove 256 having a spiral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250, and form a spiral 232 corresponding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pin 230 to be installed by screwing. Of course, in some cases, the pin 230 may be attached to the intermediate plate 250 by welding. The pin 23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44 of the buffer member 240 and extends to the opposite pin hole 222.

도시된 바와 같이 핀(230)의 하단에는 부발방지턱(226)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236)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236)의 상부 표면 형상은 부발방지턱(226)의 표면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As shown, the lower end of the pin 230 has a locking step 236 that can be caught on the prevention prevention jaw 226 is formed. The upper surface shape of the locking jaw 236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urface shape of the outbreak prevention jaw 226.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210)와 하부플레이트(220) 사이에 완충부재(240)가 장착되어 있다. 이 완충부재(240)의 측면에는 V자모양의 홈(2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42)은 교량 상판의 일측이 타측보다 큰 하중을 받아 회전운동을 하는 경우 완충부재(240)의 일측이 보다 쉽게 수축되면서 교량의 회전운동에 의한 힘을 탄력적으로 완충하여 받아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완충부재(240)의 중앙부에는 관통공(2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244)은 완충부재(24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핀(230)의 통과를 허용하여 핀(230)의 일단이 핀구멍(2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해주고, 또 핀(230)이 완충부재(240)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완충부재(240)로는 폴리에테르 우레탄으로 된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고, 경우에 따라 다른 재질 또는 복합재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As shown, the buffer member 240 is mounted between the upper plate 210 and the lower plate 220. The V-shaped groove 242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uffer member 240. The groove 242 is so that when one side of the bridge top plate is rotated under a greater load than the other side one sid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240 is more easily contracted so as to elastically buffer the force du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It is to. The through hole 244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buffer member 240. The through hole 244 allows the pin 230 to pass from one side of the shock absorbing member 240 to the other side so that one end of the pin 230 can be inserted into the pin hole 222, and the pin 230 may be inserted into the pin hole 222. It allows to hold the buffer member 240. As the buffer member 240, it is suitable to use a disk made of polyether urethane, and other materials or composite materials may be used in some cases.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210)와 완충부재(240) 사이에 상면쪽에 제 2걸림부(252)를 갖는 중간플레이트(250)가 설치되어 있다. 제 2걸림부(252)는 T형 돌기(253)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T형 홈(213)에 결합되어 상부플레이트(210)가 설치되는 교량상판 등이 부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중간플레이트(250)의 하면쪽에 핀(230)의 상단이 나사결합되어 있고, 핀(230)은 하부플레이트(220)쪽으로 연장되어 있다.As shown, an intermediate plate 250 having a second catching portion 25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side between the upper plate 210 and the buffer member 240. The second locking portion 252 is formed in the form of a T-shaped protrusion 253, and is coupled to the T-shaped groove 213 serves to prevent the bridge top plate or the like on which the upper plate 210 is installed. The upper end of the pin 230 is screw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250, the pin 230 extends toward the lower plate 220.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T형 돌기(253) 주변의 중간플레이트(250) 상면에는 PTFE 디스크홈(258)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PTFE 디스크(260)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플레이트(210)의 저면에는 PTFE 디스크(260)와 접촉되는 스테인리스 스틸판(262)이 부착되어 있다. 이들은 상부플레이트(210)와 중간플레이트(250) 간의 마찰계수를 줄이기 위한 마찰저감부재들이다. 이러한 마찰저감부재들은 중간플레이트(250)와 상부플레이트(210) 사이에 접촉이 일어나는 다른 부위들에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저감부재들로는 스테인리스스틸판(262)과 PTFE 디스크(260) 뿐만 아니라 스테인리스스틸판(262)과 디유테이프(264, DU tape) 등이 있다.As can be seen in FIG. 2, a PTFE disk groove 258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late 250 around the T-shaped protrusion 253, and a PTFE disk 260 is mounted thereon. And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210 is attached to the stainless steel plate 262 in contact with the PTFE disk 260. These are friction reducing members for reducing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upper plate 210 and the intermediate plate 250. Such friction reducing members are preferably installed at other portions where contact between the intermediate plate 250 and the upper plate 210 occurs. The friction reducing members include a stainless steel plate 262 and a PTFE disk 260 as well as a stainless steel plate 262 and a DU tape 264.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200)는 상하를 뒤집어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부 플레이트(210)는 하부플레이트가 되고, 하부플레이트(220)는 상부플레이트가 된다.As shown in FIG. 2, the teach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upside down. In this case, the upper plate 210 becomes a lower plate, and the lower plate 220 becomes an upper plate.

도 2를 통해 설명한 교좌장치(200)는 상부플레이트(210)와 중간플레이트(250)의 양측 가장자리에 부발방지를 위한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The teaching apparatus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does not need to install a separate member for preventing an explosion on both edges of the upper plate 210 and the intermediate plate 250.

이에 따라 상부플레이트(210)와 중간플레이트(250)의 폭을 종래의 것에 비해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Accordingly,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width of the upper plate 210 and the intermediate plate 250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이에 따라 하부플레이트(220)를 교각상에 고정하고 있는 볼트 등의 교체가 수월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제공한다.Accordingly, it is also easy to replace the bolts and the like fixing the lower plate 220 on the pier also provides the advantage of easy maintenanc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발방지기능을 갖는 교좌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eaching device having an explosion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나타낸 교좌장치(200a)는 제 1걸림부(212a)와 제 2걸림부(252a)를 상부플레이트(210a)의 양측 가장자리 쪽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3 shows that the first locking portion 212a and the second locking portion 252a are installed on both side edges of the upper plate 210a.

즉, 상부플레이트(210a)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계단식으로 제 1걸림부(212a)를 형성하고, 제 2걸림부(252a)는 중간플레이트(250a)의 양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ㄱ"자 형태의 부재(253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부재(253a)는 중간플레이트(250a)에 볼트(257a)를 통해 고정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부(253b)와 수직부(253b)에서 제 1걸림부(212a) 상면으로 연장되어 상부플레이트(210a)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수평부(253c)를 갖는다. 이 경우 상부플레이트(210a)와 접촉되는 부재(253a)의 수평부(253c) 및 수직부(253b) 사이에는 마찰저감부재(261a)가 부착되어 있다. 나머지 핀(230a), 완충부재(240a), PTFE 디스크(260a), 스테인리스스틸판(262a) 등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That is, the first catching portion 212a is formed stepwise along both edges of the upper plate 210a, and the second catching portion 252a has a shape of “a” attached to both edges of the intermediate plate 250a. It is formed by the member 253a. The member 253a is fixed to the intermediate plate 250a through a bolt 257a and extends upward from the vertical portion 253b and the vertical portion 253b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212a, and thus the upper plate ( The horizontal portion 253c holds the 210a not to be separated. In this case, a friction reducing member 261a is attached between the horizontal portion 253c and the vertical portion 253b of the member 253a that are in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210a. The remaining pins 230a, the buffer member 240a, the PTFE disk 260a, the stainless steel plate 262a, and the like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좌장치(200a)를 구성하는 경우, 상부플레이트(210a)의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상부플레이트(210a)가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는 거더의 폭이 좁은 교량상판에도 사용될 수 있다. 즉, 거더의 폭이 좁은 곳에서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200a)가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부플레이트(220a)를 교각상에 고정하는 볼트 등의 교체가 수월하다는 장점도 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bridge apparatus 200a is configured, since the width of the upper plate 210a is narrowed, the upper plate 210a may be used in a narrow bridge top plate to which the upper plate 210a is attached by welding or the like. That is, the bridge device 20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narrow width of the girder.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replace the bolt for fixing the lower plate (220a) on the pier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교좌장치는 부발방지기능을 가지면서도 종래의 것에 비해 상부플레이트와 중간플레이트의 폭을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교량상판의 저면에 배치되는 거더의 폭이 작은 교량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brid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width of the upper plate and the middle plat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while having an anti-splash function, and thus can also be used in a bridge having a small width of the girder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bridge deck.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또한, 하부플레이트를 교각상에 고정하는 볼트의 교체가 수월하고, 이에 따라 교좌장치의 유지보수도 편하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replace the bolt for fixing the lower plate on the pier, and thus the maintenance of the bridge device is also easy.

아울러, 하부플레이트와 중간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던 수평부를 없앨 수 있어 교좌장치의 높이도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horizontal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intermediate plate can lower the height of the teaching apparatus.

도 1은 부발방지기능을 갖는 종래 교좌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eaching apparatus having an outbreak prevention func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부발력 방지기능을 갖는 교좌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eaching apparatus having an anti-force force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부발방지기능을 갖는 교좌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teaching device having an explosion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200a : 교좌장치 210, 210a : 상부플레이트200, 200a: chair device 210, 210a: upper plate

212, 212a : 제 1걸림부 213 : T형 홈212, 212a: first catching portion 213: T-shaped groove

220, 220a : 하부플레이트 222 : 핀구멍220, 220a: Lower plate 222: Pin hole

226 : 부발방지턱 230, 230a : 핀226: prevention bump 230, 230a: pin

236 : 걸림턱 240, 240a : 완충부재236: locking jaw 240, 240a: buffer member

250, 250a : 중간플레이트 252, 252a : 제 2걸림부250, 250a: intermediate plate 252, 252a: second catching part

253 : T형 돌기253: T type protrusion

Claims (6)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 교각상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판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상판의 제한적인 회전운동을 허용하고 관통공을 갖는 완충부재 및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일단은 상기 완충부재 상부쪽 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완충부재의 하부쪽 부재에 형성된 핀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상호간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핀구멍이 형성되는 부재에는 상기 핀구멍이 넓어짐에 의해 형성되는 부발방지턱이 구비되고, 상기 핀에는 상기 부발방지턱에 걸리며 부발방지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The upper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the lower plate is installed on the bridg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allow a limited rotational movement of the upper plate while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ad of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buffer member and the through hole, one end is fixed to the upper member of the buffer member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a pin hole formed in the lower member of the buffer member to limit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 stapling device having a pin, wherein the pin hole is formed in the member is provided with a pinch prevention jaw formed by the pin hole is widened, the pin is caught on the pinch prevention jaw and the locking devi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inch prevention jaw is provided To 상기 상부플레이트에는 제 1걸림부가 형성되고,The first plate is formed on the upper plate,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완충부재 사이에는 하면으로 상기 핀이 연결되며 상면으로 상기 제 1걸림부에 걸려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위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걸림부가 형성되는 중간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The intermediate plate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buffer member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is caught by the first locking portion to prevent the upper plate from being separated upwards. The teaching device.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 교각상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상판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상판의 제한적인 회전운동을 허용하고 관통공을 갖는 완충부재 및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일단은 상기 완충부재 하부쪽 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완충부재의 상부쪽 부재에 형성된 핀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상호간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핀구멍이 형성되는 부재에는 상기 핀구멍이 넓어짐에 의해 형성되는 부발방지턱이 구비되고, 상기 핀에는 상기 부발방지턱에 걸리며 부발방지턱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교좌장치에 있어서,The upper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of the bridge, the lower plate is installed on the bridg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allow a limited rotational movement of the upper plate while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ad of the upper plate and having a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buffer member and the through hole, one end is fixed to the lower member of the buffer member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a pin hole formed in the upper member of the buffer member to limit horizontal movement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 stapling device having a pin, wherein the pin hole is formed in the member is provided with a pinch prevention jaw formed by the pin hole is widened, the pin is caught on the pinch prevention jaw and the locking devi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inch prevention jaw is provided To 상기 하부플레이트에는 제 1걸림부가 형성되고,The first plate is formed on the lower plate,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완충부재 사이에는 상면으로 상기 핀이 연결되며 하면으로 상기 제 1걸림부에 걸려 위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걸림부가 형성되는 중간플레이트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And an intermediate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the intermediate plate having a second catching portion formed therein to prevent the pin from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and being caught upward by the first catching por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걸림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의 양단 사이에 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걸림부는 상기 홈 형태의 제 1걸림부에 결합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first catching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between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or the lower plate, The second catching portion is in the form of a projection coupled to the first catching portion of the groove shape The chai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플레이트와 접촉이 일어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의 사이 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는 상호간의 마찰력을 줄여주기 위한 마찰저감부재들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4. The device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friction reducing members ar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make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plate to reduce the mutual frictional for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걸림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lock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edges of the upper plate, 상기 제 2걸림부는 상기 중간플레이트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서 상기 제 1걸림부 상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수평부를 갖는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The second locking portion is formed by a member having a vertical portion attached to the edge of the intermediate plate and extending upward and a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vertical port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ocking portion to hold the upper plate from being separated. Characteris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플레이트와 접촉이 일어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와의 사이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는 상호간의 마찰력을 줄여주기 위한 마찰저감부재들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6. The device as claimed in claim 5, wherein friction reducing members are provid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make contact with the intermediate plate to reduce frictional force therebetween.
KR20-2005-0021462U 2005-07-22 2005-07-22 Bridge bearing KR20040374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462U KR200403743Y1 (en) 2005-07-22 2005-07-22 Bridge bea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462U KR200403743Y1 (en) 2005-07-22 2005-07-22 Bridge bea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743Y1 true KR200403743Y1 (en) 2005-12-14

Family

ID=4370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462U KR200403743Y1 (en) 2005-07-22 2005-07-22 Bridge bea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743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57B1 (en) * 2010-05-20 2011-06-30 산이건설 주식회사 Method for constructing bridge using horizontal movable moment transmission shoe
KR101161173B1 (en) 2010-06-29 2012-07-02 (주) 국제이엔씨 DISC Steel Bearing for Bridge
KR101205907B1 (en) 2012-06-13 2012-11-28 주식회사 큐빅스 Buffer Bearing System For Brid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57B1 (en) * 2010-05-20 2011-06-30 산이건설 주식회사 Method for constructing bridge using horizontal movable moment transmission shoe
KR101161173B1 (en) 2010-06-29 2012-07-02 (주) 국제이엔씨 DISC Steel Bearing for Bridge
KR101205907B1 (en) 2012-06-13 2012-11-28 주식회사 큐빅스 Buffer Bearing System For Brid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141B1 (en)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US8205803B2 (en) Device for fastening railway rails
CN107849863A (en) Elastic sliding friction joint
US8919065B2 (en) Expansion joint system using flexible moment connection and friction springs
KR100845064B1 (en) Apparatus for controling horizontal load of bridge bearing and bridge bearing utilizing the same
US20180209104A1 (en) Finger joint with a bridging cover plate
KR200403743Y1 (en) Bridge bearing
KR101593885B1 (en) Shock and elastic absorbing connection assembly and, absorb type sky-walk with thereof
KR101440878B1 (en) Friction pendulum bearing with cover plate and fixing jig
JP2009029593A (en) Elevator car
KR101173684B1 (en) Combination type expansion joint
KR101003775B1 (en) Bridge bearing
KR200315174Y1 (en) Bridge bearing
KR20200003544A (en) Friction pendulum bearing
KR101053274B1 (en) Spherical bearing
KR101415335B1 (en) Disk type elastomeric bearings
US10087591B1 (en) Expansion joint system
KR100638576B1 (en) Bridge bearing with multistory frictional faces
KR101925600B1 (en) Elastomeric bearing for bridges that resist step-by-step displacement
KR100816890B1 (en) Disk bearing having a sleeve structure for distributing impact load
JP6857027B2 (en) Exercise guidance device
KR100783259B1 (en) Bridge bearing with elastic materials for resisting negative reactions
KR100950257B1 (en) Elastomeric bearing allowable for the complex movement
KR20060018580A (en) Elastic gum support of a bridge
KR101105642B1 (en) One body type bridge be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