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277Y1 - 곶감꽂이행거 - Google Patents

곶감꽂이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277Y1
KR200403277Y1 KR20-2005-0027440U KR20050027440U KR200403277Y1 KR 200403277 Y1 KR200403277 Y1 KR 200403277Y1 KR 20050027440 U KR20050027440 U KR 20050027440U KR 200403277 Y1 KR200403277 Y1 KR 200403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immon
hanger
vertical
dried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4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찬
Original Assignee
김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찬 filed Critical 김영찬
Priority to KR20-2005-0027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2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2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의 꼭지를 제외한 몸체부가 행거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곰팡이 발생을 방지하고, 복수개가 연결설치될 수 있어 다량의 곶감을 건조할 수 있는 곶감꽂이행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봉형상으로 수직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대, 상기 수직대의 상단에 형성되는 환상고리형상의 상부고정링, 상기 수직대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고정링이 두께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수직장공이 형성되는 하부연결부, 상기 수직대의 수직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씩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되되 좌우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평면상에는 감의 꼭지가 끼움고정되는 감꽂이구가 수평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면서 좁아지게 형성되는 수평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꽂이행거를 제공하여, 감의 꽂음과 분리가 용이하고, 감의 몸체부가 행거와 접촉하지 않으면서도 통풍이 잘 되어 곰팡이가 방지되는 것은 물론 건조된 감의 모양이 우수한 고품질의 곶감을 다량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고안임.

Description

곶감꽂이행거{Hanger for drying persimmons}
본 고안은 감을 건조하여 곶감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곶감꽂이행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의 꼭지를 제외한 몸체부가 행거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곰팡이 발생을 방지하고, 복수개가 연결설치될 수 있어 다량의 곶감을 건조할 수 있는 곶감꽂이행거에 관한 것이다.
곶감이란 감을 건조시켜 만드는 건과(乾果)로써, 수확된 감을 햇볕이 잘 들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매달아 일정기간 동안 건조하여 제조된다.
이처럼 감을 건조시켜 곶감으로 만들기 위하여 사용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박피된 감의 꼭지를 실로 묶은 후에 수평지지대에 매달아 고정하여 건조하는 방식이 사용되었고 이러한 방식은 순전히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통적인 방식 즉, 실로 묶는 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감 하나하나를 일일이 묶음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건조작업의 마감시 또는 분리작업을 하는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간당 생산수량에 불리한 면이 있으며, 감을 묶기 위해서는 꼭지부분이 충분하게 필요하기 때문에 초기의 선별과정시 꼭지부분을 제거하지 않고 건조과정이 끝난후에야 제거를 하게 됨에따라 추가적인 생산과정이 생기게 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35709호 에서는 감을 간편하게 꽂고 분리할 수 있으면서도 행거가 용이하게 복수개로 연결설치되어 다수의 감을 건조시킬 수 있으며, 건조중에도 행거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는 곶감꽂이행거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을 비롯한 대부분의 곶감꽂이행거는 감을 꽂고 난 후에 감의 일측 몸체부위가 행거와 접촉되는 구조이므로 건조 중 감에 곰팡이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설령 곰팡이가 발생되지 않더라도 행거와 접촉되는 부위에는 통풍이 잘 되지 않아 곶감의 당도를 떨어뜨리고 품질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감을 끼우고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면서도 감 건조시 곰팡이가 방지되도록 감의 몸체부위가 행거와 절대 접촉되지 않도록 하되, 통풍이 잘 되도록 감과 감사이가 충분히 이격되고, 행거가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복수개 연결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양질의 곶감을 다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곶감꽂이행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봉형상으로 수직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대; 상기 수직대의 상단에 형성되는 환상고리형상의 상부고정링; 상기 수직대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고정링이 두께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수직장공이 형성되는 하부연결부; 상기 수직대의 수직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씩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되되 좌우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평면상에는 감의 꼭지가 끼움고정되는 감꽂이구가 수평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면서 좁아지게 형성되는 수평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곶감꽂이행거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곶감꽂이행거(1)는 수직대와(10), 상기 수직대(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고정링(20)과, 상기 수직대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부연결부(30)와, 상기 수직대(10)의 수직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씩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되되 좌우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수평날개(40)로 이루어진다.
수직대(10)는 세형(細形)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직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그 횡단면의 형상이 원형상을 포함한 다각형상이 될 수 있으나, 일례로써 횡단면 형상이 하중에 의한 휨현상에 좀 더 저항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부고정링(20)은 천정 또는 벽면 등에 고정설치하기 용이하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고, 일례로 중앙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수직대(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연결부(30)는 수직대(10)에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고정링(20)을 90도 회전시켜 즉, 두께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폭과 길이가 구비된 수직장공(31)이 전방을 향하도록 관통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직장공(31)은 길이가 상부고정링(20)의 최외곽의 외연부에 달하는 지름보다 커야되고, 폭이 상부고정링(20)의 두께보다 커야 된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복수개의 곶감꽂이행거(1, 1')를 수직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설치할 때에 수직장공(31)으로 상부고정링(2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의 구성에 부가하여, 수평날개(40)는 끝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수평날개(40)와 수직대(10)에 연결설치되는 수평지지대(50)가 추가로 설치된다.
이는 각 수평날개(40)의 자체자중과 수평날개(40)에 꽂혀진 감의 하중에 의해 수평날개(40)가 과도하게 하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수평날개(40)와 수평지지대(50)와 수직대(10)의 일부구간이 삼각구조를 형성하므로 수평날개(40)가 견고하게 본래의 형상을 유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평날개(40)에 감이 꽂힌 상태에서 수평날개(40)를 포함한 곶감꽂이행거(1)에 불측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도 수평날개(40)의 흔들림이 최대한 억제되므로 감이 원치않게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곶감꽂이행거의 평면도이다.
수평날개(40)는 평면상에 감의 꼭지가 끼움고정되는 감꽂이구(41)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감꽂이구(41)는 수평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면서 좁아지게 형성된다.
일례로 감꽂이구(41)는 감건조를 위하여 감을 고정시키거나 건조가 완료된 감을 분리시킬 때 파지하고 힘을 작용시키기 유리하도록 수직대(10)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평날개(40) 간의 수직길이방향 간격은 감이 상호 달라붙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날개(40)의 감꽂이구(41)는 수직대(10)와 상당히 이격시켜 형성되었으므로, 감이 수직대(10)와 접촉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뿐만 아니라 감 건조시 통풍이 원활하게 진행되어 고품질의 곶감을 제조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날개(40)의 감꽂이구(41)는 테두리부(42)가 칼날과 같이 날카롭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감의 꼭지가 더 견고하게 고정되어 건조 중 분리되지 않도록 테두리부(42)를 따라 감의 꼭지 크기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리버(43)가 테두리부(42)의 내측으로 미세하게 돌출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곶감꽂이행거의 감 고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처럼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곶감꽂이행거(1)의 수평날개(40)에 감을 꽂아 고정시키기 위하여는, 먼저 감꽂이구(41)의 폭이 넓은 쪽으로 감의 꼭지를 삽입한 후 폭이 좁은 쪽으로 감을 이동시키면 감의 꼭지가 감꽂이구(41)의 날카로운 테두리부에 일부진입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곶감꽂이행거가 복수개 연결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곶감꽂이행거(1)는 수직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연결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곶감꽂이행거(1)의 하부연결부(30) 및 수직장공(31)은 하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경사지게 형성되는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곶감꽂이행거(1)의 하부연결부(30)는 전방으로 돌출경사지게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같이 경사면(32)을 형성하게 되고 수직장공(31)은 상기 경사면(32)에 까지 연결되어 있다.
이에 하부에 설치되는 곶감꽂이행거(1')를 평면기준으로 90도 회전시켜 상부고정링(20')이 상부에 설치되는 곶감꽂이행거(1)의 수직장공(31)에 두께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부고정링(20')의 직하부까지 완전히 삽입관통되면 곶감꽂이행거(1')를 다시 90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고정링(20')의 저부가 하부연결부(30)의 경사면(32)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곶감꽂이행거(1)와 곶감꽂이행거(1')가 수직길이방향으로 연결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곶감꽂이행거(1, 1')의 도면부호를 달리하였으나, 상부에 설치되는 곶감꽂이행거(1)와 하부에 설치되는 곶감꽂이행거(1')가 동일한 형상/모양/크기를 가지는 동일한 구성 및 구조임은 물론이고, 이와같은 방식으로 곶감꽂이행거(1)는 수직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다.
즉, 도 1에서 도시된 곶감꽂이행거(1)는 좌우 양측으로 한쌍의 수평날개(40)가 길이방향으로 5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총 10개의 감을 꽂아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3개의 곶감꽂이행거를 연결설치할 경우 한 라인에 30개의 감을 꽂아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곶감꽂이행거(1)는 복수개가 연결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연결부(40)의 하부가 전방으로 돌출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일례로 곶감꽂이행거(1) 하부연결부(40)를 수직하게 유지하되 상부고정링(20)과 수직대(10)가 접하는 부위를 전방으로 직각절곡하여도 복수개가 연결설치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곶감꽂이행거(1)는 다양한 방식으로 복수개가 연결설치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곶감꽂이행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감의 꽂음과 분리가 용이하고, 감의 몸체부가 행거와 접촉하지 않으면서도 통풍이 잘 되어 곰팡이가 방지되는 것은 물론 건조된 감의 모양이 우수한 고품질의 곶감을 다량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곶감꽂이행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곶감꽂이행거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곶감꽂이행거의 감 고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곶감꽂이행거가 복수개 연결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직대 20 : 상부고정링
30 : 하부연결부 31 : 수직장공
32 : 경사면 40 : 수평날개
41 : 감꽂이구 50 : 수평지지대

Claims (3)

  1. 봉형상으로 수직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대;
    상기 수직대의 상단에 형성되는 환상고리형상의 상부고정링;
    상기 수직대의 하단에 형성되되, 상기 상부고정링이 두께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수직장공이 형성되는 하부연결부;
    상기 수직대의 수직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씩 이격되어 복수개가 설치되되 좌우 수평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평면상에는 감의 꼭지가 끼움고정되는 감꽂이구가 수평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면서 좁아지게 형성되는 수평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꽂이행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부 및 상기 수직장공은 하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꽂이행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날개는 끝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날개와 상기 수직대에 연결설치되는 수평지지대가 추가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곶감꽂이행거.
KR20-2005-0027440U 2005-09-23 2005-09-23 곶감꽂이행거 KR200403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440U KR200403277Y1 (ko) 2005-09-23 2005-09-23 곶감꽂이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440U KR200403277Y1 (ko) 2005-09-23 2005-09-23 곶감꽂이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277Y1 true KR200403277Y1 (ko) 2005-12-08

Family

ID=4370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440U KR200403277Y1 (ko) 2005-09-23 2005-09-23 곶감꽂이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2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1010A (ko) 곶감제조용 감걸이구
KR200403277Y1 (ko) 곶감꽂이행거
CN206784802U (zh) 室内超大镂空铜艺术雕花造型安装结构
KR200342539Y1 (ko) 곶감꽂이용 걸이구
CN205954982U (zh) 一种天花吊顶用固定安装件
CN214941552U (zh) 一种一体式室内吊顶结构
CN207393655U (zh) 一种淋浴房的壁板安装结构
JP2012178999A (ja) 干果製造用吊り具
CN205205496U (zh) 一种晾衣杆体及具该晾衣杆体的晾衣装置
JPS6215038Y2 (ko)
CN205188646U (zh) 便捷的双管晾衣架
JP2005323696A (ja) 壁掛け用フック
KR200352359Y1 (ko) 휴지걸이
KR200306561Y1 (ko) 곶감꽂이용 걸이구
CN203821678U (zh) 卡槽式天花板联接件和一种天花板结构
KR20090002946U (ko) 곶감 건조용 걸이대
CN209966209U (zh) 一种用于浴室柜的快装型木质挂件
KR200351942Y1 (ko) 곶감꽂이 걸이구용 걸이대
CN207633619U (zh) 用于集成吊顶或墙面的仿真花或仿真植物的安装结构
CN206462935U (zh) 浴室挂件
CN219068990U (zh) 一种石斛种植用悬挂装置
JP2008017956A (ja) 壁掛け用花器およびこの壁掛け用花器の卓上設置システム
CN208604906U (zh) 一种建筑外墙装饰吊篮
CN207969983U (zh) 一种便于拆卸的成品服装摆放架
CN201480988U (zh) 一种新型竹衣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