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236Y1 -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 - Google Patents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236Y1
KR200403236Y1 KR20-2005-0026710U KR20050026710U KR200403236Y1 KR 200403236 Y1 KR200403236 Y1 KR 200403236Y1 KR 20050026710 U KR20050026710 U KR 20050026710U KR 200403236 Y1 KR200403236 Y1 KR 200403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ocket
rainwater
ring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점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Priority to KR20-2005-0026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2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 우수를 분리 배수할 수 있도록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상, 하부 및 측면 일측중간부에 배수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갖는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에 있어, 그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원터치 조립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시공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하고, 그에 따라 공기를 단축하며, 인건비를 줄여 경제적인 동시에 누수의 우려를 없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Improvement structure of nap and rainwater crisis multiple socket}
본 고안은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 우수를 분리 배수할 수 있도록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내관은 하부로 직결되고 외통은 일측으로 굴절되어 각각의 배수관이 연통 연결되어 오수, 우수 분리배수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분리배수용 소켓에 있어, 그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원터치 조립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시공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하고, 그에 따라 공기를 단축하며, 인건비를 줄여 경제적인 동시에 누수의 우려를 없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축조함에 있어서는 오수·우수의 배수를 위한 배관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현재, 건축물에 사용되고 있는 오수·우수 배수용 연결소켓은 소켓은 상·하단부에 배수관이 연통·결합 되는 몸체관의 일측방으로 분기관이 일체로 연장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소켓 몸체관 상·하단부에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배수관이 결합되고 분기관에는 오수관이 각각 결합되어 오수 및 우수가 배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켓에서는 몸체관와 분기관이 단일관 구조를 갖게 되므로 배수관을 통한 배수시 오수와 우수가 혼합된 상태로 배수되므로 정화처리가 요구되는 폐수량이 증가하게 되어 비경제적이며, 또한, 배수관을 통하여 각종 이물질이나 악취가 유입될 뿐만 아니라, 배수관 및 오수관을 통하여 해충들이 침입하게 되어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고안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을 개발하여 특허 제0420001호로 특허받은바 있고, 또한 특허출원 제10-2004-0090233호로 조립식 이중배수트랩을 개발하여 출원개시한바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자의 위 선행발명의 구조를 간략히 살펴보면 오수와 우수를 분리배수할 수 있도록 이중관 구조를 가지며 배수시 마찰에 의한 소음을 차단시키고 오수 및 우수의 역류 현상을 방지하며 배수관을 통한 악취 및 해충의 침입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오수·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을 제공함으로서 오수와 우수를 효과적으로 분리 배수시켜 정화처리가 요구되는 폐수량을 줄일 수 있고, 배수시 낙수 또는 마찰에 의한 소음을 차단하여 조용하고 쾌적한 주거문화를 창출할 수 있게 되며, 우수만을 별도로 저장하여 공업용수로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아니라, 오수의 역류 및 악취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해충의 침입을 예방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을 제공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본 고안자의 선행기술은 이중관으로 구성된 소켓(1)의 내통은하부로 직결되고, 외통은 일측으로 굴절되어 각각 분리배수 할수 있도록 하되, 상부와 하부 및 측면의 연결단부 외면에 나사부(13)가 형성되고 끝단에 기밀링(14)이 끼워진 상태로 캡(15)이 나사고정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음으로 조립작업시 소켓(1)의 단부에 배수관(10)을 연결하기 이전에 배수관(10)의 외면에 캡(15)을 먼저 끼운 상태로 그 단부를 소켓(1)의 내면에 끼우고 배수관(10)에 기 삽입되어 있는 캡(15)을 나사결합시켜 단부에 끼워진 기밀링(14)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그 조립 결합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며, 캡(15)의 고정여부에 따라 기밀링(14)의 조임력이 조절됨으로서 누수의 위험 또한 해결해야될 과제로 남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본 고안자의 선행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인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소켓의 결합 단부 구조를 개선하여 원터치 조립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시공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하고, 그에 따라 공기를 단축하며, 인건비를 줄여 경제적인 동시에 누수의 우려를 없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 해 질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중관으로 구성된 소켓(1)의 내통은 하부로 직결되고, 외통은 일측으로 굴절되어 각각 분리배수 할 수 있도록 하되, 상부와 하부 및 측면의 연결 단부에 배수관(10)이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소켓(1)의 상부와 내통과 연결된 하부 및 측면의 연결 단부 내측 끝단에는 환형 삽입홈(12)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삽입홈(12)에는 내면에 상광하협의 테이퍼면(21)이 형성되고 상부 내면에 걸림환턱(22)과 하단 외면에 돌출 환테(23)가 일체로 된 연질의 기밀링(2)이 끼워지며,
상기 기밀링(2)의 테이퍼면(21)과 상부의 걸림환턱(22)에는 하부측 외면에 상기 기밀링(2)의 테이퍼면(21)과 일치되는 테이퍼면(31)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면(31)의 상부측에는 상기 기밀링(2)의 걸림환턱(22)이 끼워지는 삽입홈(32)이 형성되며, 그 상부 외면에는 후렌지형 걸림턱(33)이 형성된 캡(3)이 끼워져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건축물의 일반적인 오수, 우수 배수 시스템(100)의 종단에 끼워져 상층으로부터 연결되어온 배수관(10)과 연결되어 오수와 우수를 분리 배출하는 것에 사용된다.
이때, 첨부된 도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배수관이 끼워진 외측배수관(10)을 소켓(1)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내측의 배수관을 이중구성된 소켓(1)의 내통 내부에 먼저 단단히 고정하여준다.
다음으로 외측에 위치한 배수관(10)의 연결부에 끼움동작을 원할하게 하는 윤활제를 도포한후 캡(3)의 내면에 삽입하여주면 상기 캡(3)의 끼움에 의해 그 내면으로 돌출 연장된 기밀링(2)의 종단에 압착되면서 윤활제에 의해 미끄러져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끼움동작은 배수관(10)의 종단 외면에 윤활제를 도포하여 그 내부에 끼워질때 연질의 기밀링(2)을 팽창시키면서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환테(23)를 소켓(1)의 외통 내면에 압착하여 배수관(10)과 소켓(1)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원터치로 배수관(10)과 소켓(1)을 끼워주기만 하면 그 조립결합이 완성됨으로 그 작업이 신속하고 기밀링(2)에 의한 누수의 위험이 없으며,
특히 기밀링(2)의 형상이 상광하협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압이 작용하여도 이탈될 우려가 없을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관(10)을 역으로 빼내고자 할 경우에는 기밀링(2)의 내측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환테(23)가 변형되면서 배수관(10)의 외면에 압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탈되지 않고 그 결합상태를 장구히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하부에 직결된 내통 종단과 일측으로 굴절된 외통의 종단부에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원터치방식으로 각각 배수관(10)을 끼워주면 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대로 수리를 위하거나 배수관(10)의 해탈이 필요한 경우에는 캡(3)의 상부혹은 하부 또는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후렌지형 걸림턱(33)을 별도의 수공구로 약간의 힘을 가해 그 외측으로 밀어 걸림환턱(22)으로 부터 이를 해탈시키면 배수관(10) 외면에 기밀링(2)이 끼워진 채로 해탈되어 이의 보수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결합 단부 구조를 개선하여 원터치 조립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시공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하고, 그에 따라 공기를 단축하며, 인건비를 줄여 경제적인 동시에 누수의 우려를 없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은 건축물의 일반적인 오수, 우수 배수 시스템의 개념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
도 2 는 종래의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일 요부를 발췌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켓,
2 : 기밀링,
3 : 캡,
12 : 환형 삽입홈,
21, 31 : 환형 삽입홈,
22 : 걸림환턱,
23 : 돌출환테,
32 : 삽입홈,
33 : 후렌지형 걸림턱,

Claims (1)

  1. 이중관으로 구성된 소켓(1)의 내통은 하부로 직결되고, 외통은 일측으로 굴절되어 각각 분리배수 할 수 있도록 하되, 상부와 하부 및 측면의 연결 단부에 배수관(10)이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소켓(1)의 상부와 내통과 연결된 하부 및 측면의 연결 단부 내측 끝단에는 환형 삽입홈(12)이 형성되고,
    상기 환형 삽입홈(12)에는 내면에 상광하협의 테이퍼면(21)이 형성되고 상부 내면에 걸림환턱(22)과 하단 외면에 돌출 환테(23)가 일체로 된 연질의 기밀링(2)이 끼워지며,
    상기 기밀링(2)의 테이퍼면(21)과 상부의 걸림환턱(22)에는 하부측 외면에 상기 기밀링(2)의 테이퍼면(21)과 일치되는 테이퍼면(31)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면(31)의 상부측에는 상기 기밀링(2)의 걸림환턱(22)이 끼워지는 삽입홈(32)이 형성되며, 그 상부 외면에는 후렌지형 걸림턱(33)이 형성된 캡(3)이 끼워져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
KR20-2005-0026710U 2005-09-16 2005-09-16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 KR200403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10U KR200403236Y1 (ko) 2005-09-16 2005-09-16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10U KR200403236Y1 (ko) 2005-09-16 2005-09-16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236Y1 true KR200403236Y1 (ko) 2005-12-08

Family

ID=4370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710U KR200403236Y1 (ko) 2005-09-16 2005-09-16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2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5721C2 (ru) Гибкий сливной сифон
KR200403234Y1 (ko)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
KR200403236Y1 (ko)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
KR200403235Y1 (ko)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의 개선구조
KR20030012778A (ko) 배수트랩
KR102128485B1 (ko) 건축용 슬리브의 자전방지 기능이 부여된 미세 신장조절 조절테 결합구조
KR101208089B1 (ko) 배수트랩의 결합구조
KR100726287B1 (ko)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배수파이프
KR200234645Y1 (ko)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
KR102077282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의 파이프 연결구조
KR200226282Y1 (ko) 조립식 욕실용 보조 배수트랩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200410673Y1 (ko) 배수용 이음관
KR101177493B1 (ko) 배관 연결구조
KR100420001B1 (ko) 오수, 우수 분리배수용 소켓
KR200330938Y1 (ko) 주철용 배수관 연결장치
KR100742396B1 (ko) 고층건물의 하수관 연결구
KR200389659Y1 (ko) 싱크대용 배수전
KR20060117086A (ko) 하수관의 분기관 연결구
KR0116099Y1 (ko) 배수관의 배수전
CN219888970U (zh) 一种波纹管连接用可视套筒接头
KR200284854Y1 (ko) 오수차단블럭
JPH11315621A (ja) ルーフドレイン用仮設排水ホースの連結装置
KR200187054Y1 (ko) 건축용 배수관 연결구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192941Y1 (ko) 피브이씨관 보강 콘크리트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