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985Y1 -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985Y1
KR200402985Y1 KR20-2005-0026043U KR20050026043U KR200402985Y1 KR 200402985 Y1 KR200402985 Y1 KR 200402985Y1 KR 20050026043 U KR20050026043 U KR 20050026043U KR 200402985 Y1 KR200402985 Y1 KR 2004029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d
buttons
present
button
butt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김영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세 filed Critical 김영세
Priority to KR20-2005-0026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9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9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9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부 ;
상기 몸체부 상면의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를 따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 ;
상기 대향하는 버튼들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터치 패드 ; 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는 돌출되는 부분 없이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튼 사이에 터치 패드를 제공함에 의해, 볼륨 업/다운, 채널 업/다운, 감기/되감기 등과 같은 입력 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기계식 마모를 감소시켜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Botton Structure Having Touch Pads}
본 고안은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대향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버튼 사이에 터치 패드가 배치되어 있는 버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입력수단, 입력된 정보 처리수단, 출력 수단으로 구성된다. 휴대용 전자 장치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여, 소비자 또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입력 수단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버튼, 키이, 다이얼, 스케너, 터치 패드, GUI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 특히, 버튼 등은 온/오프, 작동/정지, 모드 전환, 채널 업/다운, 튜너, 감기/되감기, 볼륨 업/다운 등의 기능을 하고 있다. 상기 입력 수단에 있어서, 신호의 증감 정보의 입력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다이얼 방식, 예컨데, 회전형 노브(knob) 또는 이퀄라이저(equalizer) 등에 사용되는 직선 슬라이드 방식 조작 키이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입력 수단의 경우, 돌출 형태를 이루고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하는데 불편함을 유발한다.
통상적으로 멀티미디어 장치는 온/오프, 감기/되감기, 정지, 일시정지,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모드 전환 입력 기능 버튼 등을 구비한다.
온/오프, 정지, 일시정지 버튼 등은 1회성의 하중을 가해서 입력 작업을 수행하지만, 예컨데, 볼륨 업/다운, 채널 업/다운, 감기/되감기 등은 목적한 입력 정보가 인쇄회로기판 등에 전달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누르거나, 수회 반복해서 누르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에따라, 기계식 푸시 버튼은 빈번한 사용으로 인해서 버튼 작동부의 마모를 일으켜서 장치의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 장치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입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가 소형화를 추구함에 따라, 소형화된 입력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입력 기능을 가지면서 소형화가 가능한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몸체부 ;
상기 몸체부 상면의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를 따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 ;
상기 대향하는 버튼들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터치 패드 ; 를 포함하고 있는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버튼이 푸시 버튼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버튼이 하중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는 푸시 버튼(10), 터치 패드(20), 몸체부(60)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푸시 버튼(10)은 복수개로 이루어져 몸체부(60)를 중심으로 대향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가이드부(50)가 몸체부(6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푸시 버튼(10)을 지지한다.
본 고안의 푸시 버튼(10)은 플레이부, 정지부, 감기, 되감기, 일시정지부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분지어 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푸시 버튼(10)은 회동축에 의해 버튼의 일측만이 회동되어 소정의 접점부와 접촉되는 방식과, 상기 푸시 버튼(10)이 회동축 없이 상하 이동되어 소정의 접점부와 접촉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회동식으로 구동되는 복수개의 푸시 버튼(10)의 경우, 도면에는 예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몸체부(60)에 형성된 회동 축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 버튼(10)상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회동 축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상기 푸시 버튼은 이러한 회동 운동과 함께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을 따라 하강하여 몸체부(60)에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의 소정의 접점부와 접촉하여 전기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6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터치 패드(20)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터치 패드(20)는 몸체부(60)에 구비된 인쇄 회로 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가 채용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스피커(120), 본 고안의 터치 패드(20)를 구비한 버튼 장치(1)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패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1)의 경우, 복수개의 터치 패드(20)를 구비하여, 인체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손가락을 상기 터치 패드(20)에 접촉시킨 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감기/되감기, 또는 볼륨, 채널 증감 등의 입력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터치 패드(2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일부(20a, 20b)는 모드 전환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터치 패드(20) 중 일부(20c)는 볼륨 업/다운, 채널 업/다운, 감기/되감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편의상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와같은 구조에 따라, 작은 공간내에 많은 입력 기능을 가진 입력 수단을 구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부(60)에 터치 패드(20)를 설치하여, 회전 노브형 다이얼, 조그 다이얼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 볼륨 업/다운, 채널 업/다운, 감기/되감기 입력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를 사용하면, 입력 장치부를 돌출부 없이 소형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식 마모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가 채용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버튼 장치 10 ; 푸시 버튼
20 ; 터치 패드 50 ; 가이드부
60 ; 몸체부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스피커

Claims (3)

  1. 몸체부 ;
    상기 몸체부 상면의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를 따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버튼 ;
    상기 대향하는 버튼들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터치 패드 ;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푸시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버튼이 하중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
KR20-2005-0026043U 2005-09-09 2005-09-09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 KR2004029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043U KR200402985Y1 (ko) 2005-09-09 2005-09-09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043U KR200402985Y1 (ko) 2005-09-09 2005-09-09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985Y1 true KR200402985Y1 (ko) 2005-12-07

Family

ID=4370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043U KR200402985Y1 (ko) 2005-09-09 2005-09-09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9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190A (ko) * 2017-04-12 2018-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9664763A (zh) * 2017-10-13 2019-04-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及其控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190A (ko) * 2017-04-12 2018-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18556B1 (ko) * 2017-04-12 2021-10-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9664763A (zh) * 2017-10-13 2019-04-2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4384B2 (en) Rotation ke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WO2002013219A1 (fr) Dispositif d&#39;entree multidirectionnel et appareil electronique le comprenant
KR20040083463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 입력 장치
US20100329500A1 (en) Wired control of earphone
KR200402985Y1 (ko) 터치 패드를 구비한 버튼 장치
KR20010049151A (ko) 접속 장치
KR20060087586A (ko) 정보 입력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JP2005149925A (ja) 多方向入力装置
EP1133720A1 (en)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03280809A (ja) 電子機器
KR20090100019A (ko)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CN103138733B (zh) 具有切换按压模式功能的按键装置以及电子设备
US20050248472A1 (en) Smart key exclusively for telephones calculator, remote controller and camera
JP2000149703A (ja) 多回路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H11213795A (ja) ホールド機能付き押しボタンスイッチ装置
JPH02920Y2 (ko)
KR1006861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KR101042818B1 (ko)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
KR100594104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
KR200295081Y1 (ko) 내비게이션 장치
KR100874648B1 (ko) 조그 다이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910000914Y1 (ko) 3단 스위치 동작구분장치
JP2000251584A (ja)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5436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장치
JP3915120B2 (ja) 携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