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672Y1 - 재봉선 숨김 카펫 - Google Patents

재봉선 숨김 카펫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672Y1
KR200402672Y1 KR20-2005-0027306U KR20050027306U KR200402672Y1 KR 200402672 Y1 KR200402672 Y1 KR 200402672Y1 KR 20050027306 U KR20050027306 U KR 20050027306U KR 200402672 Y1 KR200402672 Y1 KR 200402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pet
seam
bar
main
finish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재호
Original Assignee
디에스상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상사(주) filed Critical 디에스상사(주)
Priority to KR20-2005-0027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6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6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43Features of decorative rugs or carpets
    • A47G27/0268Edge finishing

Landscapes

  • Carp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봉선 숨김 카펫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감재(5)의 주영역(10)의 전면 하부를 카펫 본체(60)의 요구되는 위치에 맞대고, 마감재(5) 주영역(10)의 배면 하부 상에 길이방향으로 대재봉선(70)을 형성한 후, 이를 뒤집어서, 주재봉선(16)을 카펫 본체(60)의 전면 귀퉁이 영역에 위치시키고 부재봉선(26)을 카펫 본체(60)의 후면 귀퉁이 영역에 위치시켜, 상기 마감재(5)의 주영역(10) 배면이 카펫 본체(60)의 가장자리 전면과 마주보게 하고 상기 마감재(5)의 부영역(20) 배면이 카펫 본체(60)의 배면과 마주보도록 형성함으로써, 카펫과 상기 마감재(5)를 결합시키는 대재봉선(70)이 노출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선 숨김 카펫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봉선 숨김 카펫{Carpet with hidden sewed line}
본 고안은 재봉선 숨김 카펫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노출된 재봉선을 가지는 카펫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펫(1)은 마감재(3)가 카펫 본체(2)의 가장자리 부분을 둘러싸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카펫(1)은 카펫 본체(2)를 제공한 후, 카펫 본체(2)의 가장자리에 마감재(3)를 위치시키고, 카펫 본체(2)의 정면에서 재봉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카펫(1)의 전면에는 재봉선(4)이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고, 마감재(3)의 가장자리 끝부분이 카펫 본체(2)로부터 분리되어 사람이나 물체의 이동시 걸림 현상이 발생하며, 재봉선(4)을 형성하는 실은 사람 또는 임의의 물체와 빈번하게 접촉하여 닳아 떨어지게 되어 카펫 본체(2)와 마감재(3)를 맞대어 다시 수선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재봉선 노출에 의해 재봉선을 구성하는 실이 닳아서 떨어지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가지지 않아 높은 내구성을 가짐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며, 마감재 끝부분이 본체와 분리됨이 없이 견고하게 밀착되어 구조적으로 걸림 현상을 방지하며, 외관 및 내부구조가 간결한 품격 높은 카펫 및 여기에 사용되는 마감재 형상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고안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있어 마감재(5)의 전면(10f, 20f 등)이란 마감재(5)의 양면 중에서 도 2a와 같이 완성된 카펫의 정면 사시도에서 보이는 면과 같은 쪽에 있는 면(숨어 있는 면 포함)을 말하고, 마감재 배면(10e, 20e 등)이란 이것과 반대인 면을 말한다. 특히, 도 2b와 같이 완성된 카펫의 배면 사시도에서 보이는 마감재 부분도 마감재의 전면에 속하게 된다(도 3b 참조).
본 고안에 있어 카펫 본체(60)의 전면이란 도 2a의 정면 사시도에서 보이는 카펫 본체(60)의 면이고, 배면은 이것과 반대인 면, 즉 도 2b의 카펫 배면 사시도에서 보이는 카펫 본체(60)의 면이다.
본 고안에 있어 마감재(5)의 주영역(10)이란 카펫 본체(60)의 전면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부분이고, 부영역(20)이란 카펫 본체(60)의 배면 가장자리를 마감하는 부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봉선 숨김 카펫의 전면사시도이고, 도 2b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2a 및 또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봉선 숨김 카펫은 주재봉선(16)과 부재봉선(26)이 숨겨지며, 또한, 대재봉선(70)도 존재하지만 노출되지 않는다. 다만, 숨겨진 주재봉선(16)에 의해 생기는 선(16'), 숨겨진 부재봉선(26)에 의해 생기는 선(26'), 숨겨진 대재봉선(70)에 의해 생기는 선(70')를 가질 뿐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재의 전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한번 접은 마감재의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펫용 마감재(5)는 소재(예를 들면, 직사각형 소재)를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접어, 주영역(10) 귀퉁이 부분에 하부가로변(12)으로부터 세로선(30)에 이르는 주재봉선(16)을 형성하고, 부영역(20) 귀퉁이 부분에 상기 세로선(30)로부터 상부가로변(22)에 이르는 부재봉선(26)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로선(30)은 소재를 세번 접어서 생긴 세개의 모서리(30(a), 30(b), 30(c))와 상기 소재의 양단을 맞대어 생기는 세로선(30d)을 포함하여 네개가 형성되고, 상기 주재봉선(16) 및 부재봉선(26)은 각각 네개가 형성된다.
주재봉선(16)과 부재봉선(26)은 세로선(30(a), 30(b), 30(c), 30(d))의 한점에서 서로 만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카펫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약간의 간격이 생기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주재봉선(16) 대 부재봉선(26)의 길이 비는 1 ~ 3 : 1의 범위에 있는 것이 재료사용의 경제성, 미관 측면에서 유리하다. 주영역 대 부영역의 세로방향 길이의 비율은 재료사용의 경제성, 미관 측면에서 1 ~ 3 : 1이 유리하다. 카펫 본체(60)와의 결합성 등의 측면에서 하부가로변(12)과 주재봉선(16)이 이루는 내각 및 상부가로변(22)과 부재봉선(26)이 이루는 내각은 45°~ 80° 범위가 바람직하다. 미관, 카펫과의 결합성 등의 측면에서 하부가로변(12)과 주재봉선(16)이 이루는 내각은 55°~ 70° 범위가 더 바람직하고, 상부가로변과 부재봉선(26)이 이루는 내각도 55°~ 70°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마감재(5)의 전면은 주영역 전면(10f)와 부영역 전면(20f)으로 구성되고, 마감재(5)의 배면은 주영역 배면(10e)와 부영역 배면(20e)으로 구성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재를 이용하여 재봉선 숨김 카펫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4a 및 도 4b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재봉선 숨김 카펫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재봉선 숨김 카펫은 소재(예를들면, 직사각형 소재)를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접어, 주영역(10) 귀퉁이 부분에 하부가로변(12)으로부터 세로선(30)에 이르는 주재봉선(16)을 형성하고, 부영역(20) 귀퉁이 부분에 상기 세로선(30)로부터 상부가로변(22)에 이르는 부재봉선(26)을 형성한 마감재(5)를 이용한다.
재봉선 숨김 카펫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마감재(5)의 주영역(10)의 전면(10f) 하부를 카펫 본체(60)의 요구되는 위치에 맞대고, 마감재(5) 주영역(10)의 배면(10e) 하부 상에 길이방향으로 대재봉선(70)을 형성한 후, 이를 뒤집는다. 주재봉선(16) 부위를 카펫 본체(60)의 전면 귀퉁이 영역에 위치시키고 부재봉선(26) 부위를 카펫 본체(60)의 후면 귀퉁이 영역에 위치시켜, 상기 마감재(5)의 주영역 배면(10e)이 카펫 본체(60)의 전면과 마주보게하고, 상기 마감재의 부영역 배면(20e)이 카펫 본체(60)의 배면과 마주보도록 형성함으로써, 카펫과 상기 마감재(5)를 결합시키는 대재봉선(70)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로선(30)은 소재를 세번 접어서 생긴 세개의 모서리(30(a), 30(b), 30(c))와 상기 소재의 양단을 맞대어 생기는 세로선(30d)을 포함하여 네개가 형성되고, 상기 주재봉선(16) 및 부재봉선(26)은 각각 네개가 형성된다.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선(30)을 형성하는 모서리(30(a), 30(b), 30(c))의 주영역 부위는 절개하여, 카펫 본체(60)와의 결합시에 이를 양쪽으로 벌린 후 마감재(5)를 카펫 본체(5)와 결합시켜 마감재(5)의 일부가 두겹만 겹치게 하여 카펫 바닥의 일부 돌출 정도를 줄일 수 있다(절개하지 않는 경우 세겹으로 겹침). 이러한 절개는 두꺼운 마감재를 사용하는 경우 유용하나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세로선(30)을 형성하는 모서리(30(a), 30(b), 30(c))의 부영역 부위의 절개도 유사한 측면이 있으나,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에서 이 부위는 절개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제를 사용한 카펫 본체(60)와 마감재(5)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재의 부영역 배면(20e)과 카펫 본체(60)의 배면을 접착제(65)를 이용하여 부착시켜 새로운 재봉선 형성의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 이런 접착 과정 및 접착제는 당업계에 주지된 접착과정 및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재봉선 숨김 카펫의 제조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마감재(5)로 사용될 소재를 준비하여 길게 절단하고, 이를 접은 후 주재봉선(16)과 부재봉선(26)을 형성한다. 주, 부재봉선(16, 26)은 사각 카펫의 경우 최종적으로 네개씩 형성된다. 주, 부재봉선(16, 26)을 네개씩 모두 형성한 다음에 카펫 본체(60)와의 결합을 위한 대재봉선 형성 작업에 들어갈 수도 있고, 일부만 형성한 후 그 부분에 해당하는 대재봉선(70)을 형성하고, 다시 나머지 주, 부재봉선을 형성하고 그 부분에 해당하는 대재봉선(7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카펫 본체 및 마감재의 재료는 나이론, 폴리에스터, 아크릴, 면, 마, 폴리프로필레, 레이온, 울(양모)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합성물일 수 있다. 하지만, 당업계에 알려지거나 현재 사용되는 재료 또는 그 외의 다른 재료일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는 경우 주재봉선(16), 부재봉선(26), 대재봉선(70)이 모두 외관상 보이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는 경우 재봉선 노출에 의해 재봉선을 구성하는 실이 닳아서 떨어지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미관이 미려하며 구조에 있어 간결하며 생산성이 높은 카펫, 및 여기에 사용되는 마감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고안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고안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또한, 아래의 청구항에 표시된 도면부호는 이해를 위한 것으로 고안의 범위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노출된 재봉선을 가지는 카펫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봉선 숨김 카펫의 전면사시도이고, 도 2b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재의 전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한번 접은 마감재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감재를 이용하여 재봉선 숨김 카펫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a, 도 5b는 도 4a 및 도 4b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재봉선 숨김 카펫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착제를 사용한 카펫과 마감재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마감재 10 : 주영역
12 : 하부가로변 16 : 주재봉선
20 : 부영역 22 : 상부가로변
24 : 부영역 귀퉁이 부분 26 : 부재봉선
30 : 세로선 60 : 카펫 본체
65 : 접착제 70 : 대재봉선

Claims (5)

  1. 소재를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접은 후, 주영역(10) 귀퉁이 부분에 하부가로변(12)으로부터 세로선(30)에 이르는 주재봉선(16)을 형성하고, 부영역(20) 귀퉁이 부분에 상기 세로선(30)로부터 상부가로변(22)에 이르는 부재봉선(26)을 형성한 카펫용 마감재(5).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선(30)은 상기 소재를 세번 접어서 생긴 세개의 모서리(30(a), 30(b), 30(c))와 상기 소재의 양단을 맞대어 생기는 세로선(30(d))를 포함하여 네개가 형성되고, 상기 주재봉선(16) 및 부재봉선(26)은 각각 네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펫용 마감재(5).
  3. 소재를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한번 접은 후, 주영역(10) 귀퉁이 부분(14)에 하부가로변(12)으로부터 세로선(30)에 이르는 주재봉선(16)을 형성하고, 부영역(20) 귀퉁이 부분에 상기 세로선(30)로부터 상부가로변(22)에 이르는 부재봉선(26)을 형성한 마감재(5)를 형성하고;
    상기 마감재(5)의 주영역 전면(10f) 하부를 카펫 본체(60)의 요구되는 위치에 맞대고, 마감재(5) 주영역 배면(10e) 하부 상에 길이방향으로 대재봉선(70)을 형성한 후, 상기 마감재를 뒤집어, 주재봉선(16) 부위를 카펫 본체(60)의 전면 귀퉁이 영역에 위치시키고 부재봉선(26) 부위를 카펫 본체(60)의 후면 귀퉁이 영역에 위치시켜, 상기 마감재(5)의 주영역 배면(10e)이 카펫 본체(60)의 전면과 마주보게 하고, 상기 마감재의 부영역 배면(20e)이 카펫 본체(60)의 배면과 마주보도록 형성함으로써, 카펫 본체(60)와 상기 마감재(5)를 결합시키는 대재봉선(70)이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선 숨김 카펫.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선(30)은 상기 소재를 세번 접어서 생긴 세개의 모서리(30(a), 30(b), 30(c))와 상기 소재의 양단을 맞대어 생기는 세로선(30(d))를 포함하여 네개가 형성되고, 상기 주재봉선(16) 및 부재봉선(26)은 각각 네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선 숨김 카펫.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마주보는 상기 마감재의 부영역 배면(20e)과 카펫 본체(60)의 배면이 접착제(65)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선 숨김 카펫.
KR20-2005-0027306U 2005-09-22 2005-09-22 재봉선 숨김 카펫 KR200402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306U KR200402672Y1 (ko) 2005-09-22 2005-09-22 재봉선 숨김 카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306U KR200402672Y1 (ko) 2005-09-22 2005-09-22 재봉선 숨김 카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672Y1 true KR200402672Y1 (ko) 2005-12-02

Family

ID=4370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306U KR200402672Y1 (ko) 2005-09-22 2005-09-22 재봉선 숨김 카펫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6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30980Y2 (ko)
RU2361490C2 (ru) Брюки
EP2269872A2 (en) Deck seam with reduced selvage
US20020071281A1 (en) Lamp shade cover with exterior seam
US7448142B2 (en) Gridded stabilizer and method of using same
US3725959A (en) Piped opening for use in garm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402672Y1 (ko) 재봉선 숨김 카펫
US10849370B2 (en) Fly shield for garment such as pair of jeans
US2671903A (en) Bound garment opening
US7698757B2 (en) Textile construction
US20020111119A1 (en) Seamless brassiere shoulder strap
JP6680154B2 (ja) 車両用内装材及び車両用内装材の製造方法
US2008285A (en) Receptacle of textile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349761B2 (en) Fitted sheet constr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H637276A5 (it) Procedimento per realizzare sciarpe o cravatte a doppia faccia, e sciarpe o cravatte attuate con tale procedimento.
WO2018120205A1 (zh) 成衣的下摆以及成衣
KR101637406B1 (ko) 카페트 마감방법
US20240156287A1 (en) Convertible pillow
KR101810125B1 (ko) 누비 원단의 시접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누비 원단 한복
US2042629A (en) Garment construction
US1627543A (en) Ornamental fabric structure
JP3284458B2 (ja) 手 袋
JPH0759761B2 (ja) パッチワークによる薄物生地の製法
US2621656A (en) Snap-on type diaper
JP2000308567A (ja) カーテン布地、ロールカーテン及びシェードカーテ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