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294Y1 -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 - Google Patents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294Y1
KR200402294Y1 KR20-2005-0026626U KR20050026626U KR200402294Y1 KR 200402294 Y1 KR200402294 Y1 KR 200402294Y1 KR 20050026626 U KR20050026626 U KR 20050026626U KR 200402294 Y1 KR200402294 Y1 KR 2004022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mage display
display unit
illumination lamp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석
Original Assignee
류성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성석 filed Critical 류성석
Priority to KR20-2005-0026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2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2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294Y1/ko
Priority to PCT/KR2006/003701 priority patent/WO2007052899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는 문자 및 화상을 구현하는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가 내부에 설치되며 화상표시부에 의한 화상 또는 조명램프 빛이 투과되는 투명창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부의 압력을 높이고 상기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냉각시키기 위한 가압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에 의해 송풍되는 풍량보다 적은 풍량이 배출되어 상기 전광판 하우징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리피스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assembly having image display portion or lamp}
본 고안은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가지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상표시부, 구동부 조명램프를 냉각시킴과 아울러 누수가 방지된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매체를 사용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문자 및 화상을 전달하는 수단의 옥외전광판 또는 광고판은 운동장, 도로변, 건물의 옥상 또는 외벽에 설치된다. 이 옥외 전광판은 불특정 다수에게 정보를 전달하여야 하므로 대형화되고, 그 발광휘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아야 한다.
이러한 옥외 전광판 또는 광고판은 문자 및 화상을 구현하는 다수의 엘이디 모듈(Light Emitting Diode module)과, 상기 엘이디 모듈들이 배열 설치되는 고정기판과, 상기 고정기판의 후면에 설치되어 엘이디 모듈들을 구동시키는 엘이디 구동회로, 상기 엘이디 고정기판을 포함한 엘이디 구동회로가 내부에 설치 픽셀하우징, 이 픽셀 하우징들이 설치되는 전광판 하우징을 구비하거나, 대형 패널상의 공고판에 조명을 조사하여 상대적인 휘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옥외 전광판 많은 관중의 시전이 집중되고, 실시간으로 그 영상이 방영되는 운동장에서 운영되는 경우, 전광판의 오동작은 제품의 신뢰성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내부의 각종 전자부품들이 정상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별도의 항온 항습기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항온 항습기는 상대적으로 유지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옥외 전광판은 대형화 될 수 밖에 없으므로 이를 지지하기 위한 전광판 하우징은 다수개의 부재가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광판 하우징은 기밀이 잘 유지되어 있다 하더라도 온도변화에 따른 열팽창과 열수축를 반복하면서 결합부위로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누수로 인한 물은 기화되면서 화상표시부 또는 구동부에 부착되어 시인성을 떨어뜨리게 되고 고장발생의 원인이 된다.
등록 실용신안 제 0377995호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수 및 열방출기능을 가지는 옥외 전광판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옥외 전광판은 다수의 엘이디를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점등하고 외부면에 외부의 습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코팅층을 형성한 엘이디 모듈; 상기 엘이디 모듈의 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엘이디 모듈과의 사이에 통풍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엘이디모듈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엘이디를 고정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 설치되어 햇빛으로 인한 상기 다수의 에이디 광도저하를 방지하는 차광판; 상기 엘이디 모듈, 고정판 및 차광판을 수납하고 상기 엘이디 모듈의 후면이 통풍 가능하도록 통풍구를 형성한 전광판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광판은 엘이디 모듈에 코팅층을 가지고 있으나 이 코팅층 만으로는 누수에 의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그리고 전광판 하우징에 설치된 통풍구는 먼지와 수분의 유입통로가 된다. 특히 전광판의 엘이디 모듈 코팅층에 습기가 차는 경우 충분한 화상의 시인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한편, 대형건물에 설치되는 광고판 또는 건물의 외벽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장치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광판과 같이 우천시 내부로 습기가 유입되는 경향이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장치의 조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되어 충분한 조명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의 전자기기의 냉각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 내의 압력을 높여 누수방지 및 이물을 유입을 억제 할 수 있는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 내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습기가 제거됨으로써 화상표시소자의 오동작 방지 및 조명램프의 조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이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화상표시장치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문자 및 화상을 구현하는 화상표시수부 또는 조명램프와, 상기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들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이들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 압력을 높이고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와 구동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가압부와,
상기 전광판 하우징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에 의해 송풍되는 풍량보다 적은 풍량이 배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리피스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하우징에 설치되며 내부와 연통되는 흡입덕트와, 이 흡입덕트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상기 흡입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에 의해 전광판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제진필터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필터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화상표시장치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을 갖는 조립체는 화상표시부와 조명을 갖는 전광판, 옥외 전광판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장치, 건물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장치 등으로 조립체의 하우징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보다 높여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고 내부부품들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특히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의 표면에 습기가 끼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표시장치 또는 조명램프을 갖는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화상표시장치 또는 조명램프을 갖는 조립체(10)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 프레임(13)과, 상기 고정프레임(13)에 설치되어 문자 및 화상을 구현하는 화상표시부(20)와, 상기 화상표시부(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측에는 조명램프(25)가 설치되는데, 상기 화상표시부(20)와 조명램프(25)는 하우징(12)을 통하여 빛이 투과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조명램프(25) 또는 화상표시부(20)와 대응되는 하우징(12)에는 투명창이 설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에 설치되어 누설을 방지함과 아울러 화상표시부(20)와 조명램프 및 구동부(30)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및 누수차단수단(40)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상표시장치 또는 조명램프을 갖는 조립체를 구성요소 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12)은 지지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운동장, 건물의 옥상 지상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철판과 철골조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하우징(12)을 하면 또는 측면에서 지지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12)을 소정의 높이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지지프레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2)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1프레임(11a)과, 상기 하우징(12)의 상면을 지지하는 제 2프레임(1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2프레임(11a)(11b)의 기부는 전광판이 설치되는 운동장, 옥상, 또는 지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프레임(11a)(11b)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1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회전구동부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 1기어와 치합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 2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회전구동부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2)을 지지하거나 회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화상 형성부는 하우징(12) 내부의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전면에 설치하여 각 화소에서 필요한 색깔의 빛을 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문자나 글자 또는 칼라영상을 표현하도록 복수개의 엘이디 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엘이디 모듈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면에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있는 발광다이오드기판과, 상기 발광다이오드기판을 수용하여 지지하여 주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절연수지와 함께 결합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로 빛이 투사되는 것을 막아주기 위한 격자모양의 선 스크린과, 상기 케이스의 배면 뒤쪽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기판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기판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램프(25)는 화상표시소자와 연계하여 조명할 수 있는 구조이며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한편, 상기 냉각 및 누수차단수단(40)은 상기 전광판 하우징(12)의 내부 압력을 대기압 보다 높여 기밀성이 파괴된 부위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각 화상표시부 및 조명램프의 구동부(30)를 냉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도 2 내지 도 4 ,5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냉각 및 누수차단수단(40)은 하우징(12)의 하면에 설치되어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하우징(12) 내부의 압력을 높이고, 내부의 기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가압부(41)와, 상기 하우징(12)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하우징(12)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리피스부(46)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부(41)는 상기 하우징(12)에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흡입덕트(42)와, 이 흡입덕트(42)에 설치되는 송풍기(43)와, 상기 흡입덕트(42)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43)에 의해 전광판 하우징(12)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제진필터(44)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필터(45)를 구비한다. 상기 제습필터(45)는 탄소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진필터는 다공성 부직포, 종이필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부(46)는 하우징(12)의 일측면에 상기 가압부(41)의 송풍기(43)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개구(47)를 구비하는데, 이 개구(47)가 형성된 하우징(12)에는 개구(47)를 통하여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 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그릴(48)이 형성된다. 상기 그릴은 첵크밸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을 이루는 플레이들이 상호 중첩될 수 있도록 하우징(1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구(47)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열린다. 그리고 상기 개구(47)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4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6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조명램프를 가지는 조립체(60)는 하우징(61)의 상면에 투명창(6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1)의 투명창(62)의 내면에는 화상 또는 조명색상의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칼리 필터층(6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건물 또는 광고판등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램프(70)들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1)에는 램프의 냉각 및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기화된 습기가 상기 투명창에 결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수차단수단(40)이 설치되는데, 이 누수 차단수단(40)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누수차단수단(40)은 하우징(61)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송풍함으로써 하우징(61) 내부의 압력을 높이고, 내부의 기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송풍기(43)를 가지는 가압부(41)와, 상기 하우징(61)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하우징(61)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리피스부(46)를 구비한다. 상기 송풍기(43)와 인접되는 측에는 제진필터(44)와 제습필터(45)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화상표시장치 또는 조명램프를 가진 조립체(10)(60)는 구동부(30)에 의한 화상표시부(20)를 구동시켜 원하는 문자 또는 화상을 구현하거나 건물 광고판 등을 조명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가압부(41)의 송풍기(43)가 구동되어 외기를 하우징(12)의 내부로 송풍하게 되고, 이 송풍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부(46)의 개구(47)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오리피스부(46)의 개구(47)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되는 그릴(48)의 자중에 의해 차단되므로 하우징(12)의 내부 압력은 외부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빗물이 외부로부터 하우징(12),(6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12),(61)은 다수의 부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므로 이들의 틈새를 통하여 빗물등이 유입될 수 있는데, 상기 하우징(12)(61)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 내부의 기류가 틈새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41)의 송풍기(43)로부터 송풍된 기류는 전광판 하우징(12)의 내부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오리피스부(46) 또는 틈새로 배출되므로 전광판 하우징(12) 내부의 구동부(30) 또는 조명램프(70)등의 전자기기 등을 냉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압부(41)의 덕트에는 제진 필터(44)와 제습필터(4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습기에 의해 화상표시부 오동작 및 조명램프(70)의 빛이 투과되는 투명창에 결로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는 옥외에 설치되는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가지는 하우징 내부의 압력을 외부의 압력보다 높게 하여 누수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결로현상을 방지하여 내부의 전자부품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지속적으로 순환되므로 하우징 내의 조명램프 및 전자기기 등을 냉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부품의 냉각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의 일부절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전광판 하우징에 설치된 가압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오리피스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
12; 하우징
20;화상표시부
25; 조명램프
30; 구동부
41; 가압부

Claims (4)

  1. 문자 및 화상을 구현하는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가 내부에 설치되며 화상표시부에 의한 화상 또는 조명램프 빛이 투과되는 투명창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부의 내부압력을 높이고 상기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냉각시키기 위한 가압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에 의해 송풍되는 풍량보다 적은 풍량이 배출되어 상기 전광판 하우징의 내부가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오리피스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하우징에 설치되며 내부와 연통되는 흡입덕트와, 이 흡입덕트에 설치되는 송풍기와, 상기 흡입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에 의해 전광판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제진필터와, 수분을 제거하여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제습필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프레임에 대해 하우징을 회전 및 위치 고정시키는 회전구동부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부는 상기 전광판 하우징의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에는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
KR20-2005-0026626U 2005-09-15 2005-09-15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 KR2004022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626U KR200402294Y1 (ko) 2005-09-15 2005-09-15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
PCT/KR2006/003701 WO2007052899A1 (en) 2005-09-15 2006-09-15 Case assembly for protecting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626U KR200402294Y1 (ko) 2005-09-15 2005-09-15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294Y1 true KR200402294Y1 (ko) 2005-11-29

Family

ID=4370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626U KR200402294Y1 (ko) 2005-09-15 2005-09-15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2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151B1 (ko) 2009-08-31 2010-03-18 (주)다비치 방수를 통한 램프 수명이 향상된 조명등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151B1 (ko) 2009-08-31 2010-03-18 (주)다비치 방수를 통한 램프 수명이 향상된 조명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7573A (en) Thermally-protected display with a ventilation system
US10891881B2 (en) Lighting assembly with LEDs and optical elements
JP5288889B2 (ja) 画像表示装置
JP5241416B2 (ja) 画像表示装置
JP5202220B2 (ja) 画像表示装置
JP5305816B2 (ja) 画像表示装置
US201701884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consistent temperature gradient across an electronic display
WO2009150850A1 (ja) 画像表示装置
JP5241415B2 (ja) 画像表示装置
WO2009147898A1 (ja) 画像表示装置
KR101176906B1 (ko) 엘씨디 모니터 전광판의 방열 구조와 전광판 관리 시스템
CN103124876A (zh) 光学半导体照明设备
KR20140126577A (ko) 디지털 사이니지
KR102180594B1 (ko) 곡면설치용 모듈과 프레임이 구비된 엘이디 전광판
US20100142149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KR101243112B1 (ko) 옥내외용 액정 광고보드의 방열구조
JP5241414B2 (ja) 画像表示装置
KR102304631B1 (ko) 옥외용 전면개폐식 전광판
KR200402294Y1 (ko) 화상표시부 또는 조명램프를 갖는 조립체
KR101200979B1 (ko) 전광판 프레임
US20140002784A1 (en) Heat dissipation construction for indoor-outdoor lcd sign board
US20100188313A1 (en) Display Apparatus
KR20050019473A (ko) 유리형 전광판 구조
KR100968587B1 (ko) 접이식 대형 전광판 및 방열장치
KR101200980B1 (ko) 양면 전광판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