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760Y1 - 헬멧용 백미러 - Google Patents

헬멧용 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760Y1
KR200401760Y1 KR20-2005-0023184U KR20050023184U KR200401760Y1 KR 200401760 Y1 KR200401760 Y1 KR 200401760Y1 KR 20050023184 U KR20050023184 U KR 20050023184U KR 200401760 Y1 KR200401760 Y1 KR 200401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mirror
sphere
rod membe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태
Original Assignee
조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태 filed Critical 조병태
Priority to KR20-2005-0023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2Optical devices
    • A42B3/0426Rear view devices or the lik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헬멧용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눈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하여 운전자의 눈의 피로를 경감시키고, 고정 설치되기 어려운 곡면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상태에서 그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을 하지 않을 때는 접을 수 있어 부피를 적게 차지하는 헬멧용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일측면이 헬멧(50)의 외부면에 부착되며 타측면에 구체(20)가 구비된 브래킷(10)과, 상기 구체(20)에 그 일측이 결합된 막대부재(30)와, 일측에 구체(23)가 구비되어 상기 막대부재(30)의 타측에 결합되는 거울(41)이 장착된 미러하우징(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체(20)를 중심으로 막대부재(30)와 미러하우징(40)이 임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된 헬멧용 백미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헬멧용 백미러{A rear view mirror for a helmet}
본 고안은 헬멧용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눈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하여 운전자의 눈의 피로를 경감시키고, 고정 설치되기 어려운 곡면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상태에서 그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을 하지 않을 때는 접을 수 있어 부피를 적게 차지하는 헬멧용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미러는 운전자가 후방을 볼 수 있도록 차량 등에 설치되는 거울이다. 특히, 오토바이 등의 백미러는 양옆으로 형성된 손잡이 부분에 설치되는데, 운전자가 운행중에 후방을 보기 위해서는 머리를 옆으로 돌려서 옆에 설치된 백미러를 봐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빠른 속도로 운행중에 옆으로 머리를 돌리는 것은 자칫하면 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백미러는 오토바이에서 돌출되어 고정 설치되므로, 협소한 공간에 오토바이를 주차할 때, 백미러가 벽체에 부딪쳐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자전거에는 백미러가 없는데, 최근 스피드를 목적으로 하는 자전거가 생겨나면서 상기한 문제점들이 자전거에도 똑같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백미러가 설치된 헬멧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헬멧의 뒷부분에서 앞부분으로 이어지는 통로를 구비하고, 빛의 반사 등을 이용해 헬멧의 앞부분에 설치된 거울을 통해 운전자가 후방을 볼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우리 눈이 피로를 느끼지 않고 사물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거리는 대략 25㎝인데, 이러한 백미러는 백미러가 운전자의 눈에서 너무 가까운 거리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눈의 피로를 쉽게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의 눈을 쉽게 피로하게 만드는 이러한 백미러로 인해 안전운행이 저해되어 자칫 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의 눈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하여 운전자의 눈의 피로를 경감시키고, 고정 설치되기 어려운 곡면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 및 각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사용을 하지 않을 때는 접을 수 있도록 되어 보관이 간편한 헬멧용 백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일측면이 헬멧(50)의 외부면에 부착되며 타측면에 구체(20)가 구비된 브래킷(10)과, 상기 구체(20)에 그 일측이 결합된 막대부재(30)와, 일측에 구체(23)가 구비되어 상기 막대부재(30)의 타측에 결합되는 거울(41)이 장착된 미러하우징(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체(20)를 중심으로 막대부재(30)와 미러하우징(40)이 임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된 헬멧용 백미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막대부재(30)는 한 쌍의 로드(31, 32)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대향되게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33, 34)에 의해 상호 고정되며 각 로드(31, 32)의 상호 마주보는 면의 양단부에는 오목하게 지지홈(35, 36)이 형성되고, 상기 마주보는 지지홈(35, 36) 사이에 구체(20)가 결합되어 구체(20)를 중심으로 상기 막대부재(30)와 미러하우징(40)이 임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된 헬멧용 백미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10)은 중앙판(11)과, 이 중앙판(11)의 둘레부에 절곡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판(15)으로 이루어지고, 중앙판(11) 및 절곡판(15)의 일면에는 접착부재(17)가 구비되어, 굴곡이 형성된 헬멧(50)의 외부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된 헬멧용 백미러가 제공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헬멧용 백미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헬멧용 백미러가 헬멧에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1에 도시된 본 고안 헬멧용 백미러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헬멧용 백미러는 일측면이 헬멧(50)의 외부면에 부착되며 타측면에 구체(20)가 제1연결부재(21)에 의해 결합된 브래킷(10)과, 상기 구체(20)에 그 일측이 결합된 막대부재(30)와, 일측에 제2연결부재(23)에 의해 구체(23)가 결합되고 이 구체(23)가 상기 막대부재(30)의 타측에 결합되는 거울(41)이 장착된 미러하우징(40)을 주된 구성으로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10)은 중앙부에 결합공(12)이 형성된 중앙판(11)과, 이 중앙판(11)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좌우측에 구비된 한 쌍의 연장판(13) 및 이 연장판(13)의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 두 쌍의 보조연장판(14)으로 구성된 절곡판(15)으로 이루어지고, 중앙판(11)과 연장판(13) 및 연장판(13)과 보조연장판(14)은 절곡 가능하도록 형성된 절곡부(16)에 의해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알파벳 H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소정길이의 원통형상으로 된 제1연결부재(21)의 일측에 결합돌기(22)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2)에 리벳팅으로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2)의 반대편 제1연결부재(21)에는 구체(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중앙판(11) 및 절곡판(15)은 대략 팔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브래킷(10)을 곡면에 부착하기 위해 절곡판(15)을 절곡할 때 중앙판(11)과 절곡판(15)이 겹쳐지지 않는다. 그리고, 중앙판(11) 및 절곡판(15)이 절곡되는 방향의 면에는 접착부재(17)가 구비되어, 굴곡이 형성된 헬멧(50)의 외부면에 부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중앙판(11)의 중앙부에 결합공(12)이 형성되지 않고 원통형상으로 된 제1연결부재(21)가 직각 연장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구체(20)가 상기 브래킷(10)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미러하우징(40)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지고 둘레부는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그 내부에 거울(41)이 장착된다. 또한, 원주면에는 거울(41)면과 직각되게 결합부(42)가 돌출형성되어 소정길이의 원통형상으로 일측에 결합홈(25)이 형성된 제2연결부재(24)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24)의 타측에는 구체(23)가 구비된다. 한편, 제2연결부재(24)가 상기 미러하우징(40)의 둘레부에 거울(41)면과 직각되게 연장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구체(23)가 상기 미러하우징(40)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막대부재(30)는 한 쌍의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로드(31, 32)가 길이방향으로 마주보고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각 로드(31, 32)는 그 양단부에 구비된 고정부재(33, 34)에 의해 연결된다. 각 로드(31, 32) 사이에는 상기 고정부재(33, 34)가 관통되며, 각 로드(31, 32)가 소정거리 유지되도록 하는 보조고정부재(37, 38)가 구비된다. 또한, 각 로드(31, 32)의 마주보는 면의 양단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제1 및 제2지지홈(35, 36)이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체(20, 23)를 제1 및 제2지지홈(35, 36)에 안착시키고, 각 로드(31, 32)의 양단부에 구비된 고정부재(33, 34)를 조이면, 상기 제1 및 제2지지홈(35, 36) 사이에 구비된 구체(20, 23)가 임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지지홈(35, 36)은 상기 구체(20, 23)가 밀착되지 않게 좀 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구체(20, 23)와 제1 및 제2지지홈(35, 36) 사이에 초생달 형상으로 된 한 쌍의 틈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틈이 형성되어 막대부재(30)가 제1 및 제2연결부재(21, 24)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탄성력이 있어서 사용할 때마다 고정부재(33, 34)를 풀거나 조일 필요 없이, 적절한 위치로 손쉽게 회동되며, 또한 그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3, 34)는 고정볼트 또는 각 로드(31, 32)를 연결하며 상기 구체(20)를 각 로드(31, 32) 사이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3, 34)를 조여줌으로써, 상기 브래킷(10)과 미러하우징(40)이 막대부재(30)로 연결되어 본 고안 헬멧용 백미러가 완성된다. 이러한 헬멧용 백미러의 상기 브래킷(10)을 헬멧(50)의 전면부에 부착하고, 막대부재(30)와 미러하우징(40)을 적절히 회동시켜 후방이 상세히 보이는 위치를 선택한다. 이때, 적절한 위치로 회동시키면 미러하우징(40)과 막대부재(30)는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헬멧(50) 자체에 본 고안 헬멧용 백미러를 부착함으로써, 운행중에 머리를 옆으로 돌리지 않아도 후방을 볼 수 있어서, 편리하며 좀 더 안전한 운행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우리 눈이 피로를 느끼지 않고 사물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거리는 대략 25㎝인데, 상기 헬멧(50)과 거울(41) 사이에 막대부재(30)가 구비되어, 운전자의 눈과 백미러 사이의 거리를 너무 멀지도 너무 가깝지도 않게 해주어, 운전자의 눈의 피로를 경감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한편, 운행을 하지 않을 때는 미러하우징(40)과 막대부재(30)를 회동시켜 헬멧(50)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본 고안 헬멧용 백미러는 공간이 협소한 장소에도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거울(41)과 헬멧(50)을 소정길이로 형성된 막대부재(30)로 연결하여, 운전자의 눈과 백미러 사이를 일정거리 이격시킴으로써, 운전자의 눈의 피로를 경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0)과 막대부재(30) 및 미러하우징(40)이 각각 구체(20, 23)로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므로, 운전자가 후방을 볼 수 있는 최적의 위치 및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백미러를 헬멧(50)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운전자는 머리를 옆으로 돌리지 않고도 후방을 볼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백미러를 헬멧(50)에 접촉되게 접을 수 있으므로, 협소한 공간에도 보관이 간편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헬멧용 백미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헬멧용 백미러가 헬멧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헬멧용 백미러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래킷 20,23 : 구체
21,24 : 제1,2연결부재 30 : 막대부재
33,34 : 고정부재 35,36 : 제1,2지지홈
40 : 미러하우징 41 : 거울

Claims (3)

  1. 일측면이 헬멧(50)의 외부면에 부착되며 타측면에 구체(20)가 구비된 브래킷(10)과, 상기 구체(20)에 그 일측이 결합된 막대부재(30)와, 일측에 구체(23)가 구비되어 상기 막대부재(30)의 타측에 결합되는 거울(41)이 장착된 미러하우징(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체(20)를 중심으로 막대부재(30)와 미러하우징(40)이 임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된 헬멧용 백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부재(30)는 한 쌍의 로드(31, 32)가 대향되게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재(33, 34)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각 로드(31, 32)의 상호 마주보는 면의 양단부에는 오목하게 지지홈(35)이 형성되고, 상기 구체(20)가 지지홈(35)에 결합되어 상기 막대부재(30)와 미러하우징(40)이 임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된 헬멧용 백미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은 중앙판(11)과, 이 중앙판(11)의 둘레부에 절곡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곡판(15)으로 이루어지고, 중앙판(11) 및 절곡판(15)의 일면에는 접착부재(17)가 구비되어, 굴곡이 형성된 헬멧(50)의 외부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된 헬멧용 백미러.
KR20-2005-0023184U 2005-08-10 2005-08-10 헬멧용 백미러 KR200401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184U KR200401760Y1 (ko) 2005-08-10 2005-08-10 헬멧용 백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184U KR200401760Y1 (ko) 2005-08-10 2005-08-10 헬멧용 백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760Y1 true KR200401760Y1 (ko) 2005-11-22

Family

ID=4370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184U KR200401760Y1 (ko) 2005-08-10 2005-08-10 헬멧용 백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7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480B1 (ko) 2011-08-22 2012-12-03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거울이 설치된 헬멧
CN106360870A (zh) * 2016-11-04 2017-02-01 李鹏 具有后视功能的装置及其系统
KR20210089368A (ko) 2020-01-08 2021-07-16 박준석 백미러가 부착된 자전거 안전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480B1 (ko) 2011-08-22 2012-12-03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거울이 설치된 헬멧
CN106360870A (zh) * 2016-11-04 2017-02-01 李鹏 具有后视功能的装置及其系统
KR20210089368A (ko) 2020-01-08 2021-07-16 박준석 백미러가 부착된 자전거 안전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2051A (en) Mirror attachment
US20020067557A1 (en) Motorcycle mirror providing rider concurrent viewing of road to the side and immediately to the rear of motorcycle
KR200401760Y1 (ko) 헬멧용 백미러
US20050237643A1 (en) Mirror of motorcycle with swivel mount
CA2211762A1 (en) Improvement of reversible external sideview mirror
EP0936135A2 (en) Rear view mirror assembly for bicycles
US20130148220A1 (en) Motorcycle Helmet Mirror
WO2000053041A1 (en) Rear view apparatus
US6634758B2 (en) Vehicle handlebar mirror system
US7040771B2 (en) Bicycle rear view mirror
JP2005153620A (ja) 車両用位置調整式ステアリング装置
EP1464570A1 (en)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JP2001010575A (ja) 自転車の後方確認装置
KR102283755B1 (ko) 자동차 룸미러 모니터의 거치대
US10696343B2 (en) Side view mirror assembly for a bicycle
US20050088766A1 (en) Rear view mirror for a motorcycle
JP2017520465A (ja) フロントガラス安全組立体
KR200243645Y1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US11858579B2 (en) Bicycle mirror
AU2021106113A4 (en) Kickstand for bikes
CN220786006U (zh) 一种可变换长度的自行车后视镜
WO2022044133A1 (ja) 二輪車用バックミラー
KR200210028Y1 (ko) 자동차용 보조 백 미러
KR200169392Y1 (ko) 자전거용안전반사경
JP2573140B2 (ja) リムレス眼鏡のレンズ止着機構、およびそれに用いる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