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598Y1 -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 - Google Patents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598Y1
KR200401598Y1 KR20-2005-0025135U KR20050025135U KR200401598Y1 KR 200401598 Y1 KR200401598 Y1 KR 200401598Y1 KR 20050025135 U KR20050025135 U KR 20050025135U KR 200401598 Y1 KR200401598 Y1 KR 200401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sol
cloth
support
mesh cloth
ventil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진만
Original Assignee
양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진만 filed Critical 양진만
Priority to KR20-2005-0025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5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5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2Devices for increasing the resistance of umbrellas to win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5/00Umbrellas with detachabl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8Covers; Means for fastening same
    • A45B2025/186Umbrellas with two or mor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09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2200/1036Umbrellas; Sunshad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means for promoting air movement, e.g. ventilation holes, fans, ventilators, special shape for ventilation, suction mean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파라솔 천의 일부를 메쉬천으로 구성하여 바람이 메쉬천을 통해 파라솔 천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람에 의해 파라솔이 날아가거나 쓰러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일정 길이의 지주폴, 지주폴의 상부측에 설치된 연결부재 상에 방사상의 일정 간격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살, 지주폴의 외주면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 일단은 승강부재에 타단은 지지살의 일측에 각각 방사상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살의 펼침을 유지하는 다수의 유지살, 연결부재의 하부측 지주폴 상에 설치되어 승강부재의 상승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노브 및 지지살의 상부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파라솔 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파라솔에 있어서, 파라솔의 파라솔 천 일부에 구성되어지되 지지살이 이루는 쐐기꼴의 꼭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하부에 이르는 거리까지 격 번으로 봉제되어 바람이 통과되도록 하는 메쉬천; 및 메쉬천 각각의 상부에 구성되어지되 파라솔 천과 봉제되어 메쉬천을 통해 빗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덮게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A parasol having ventilation structure}
본 고안은 파라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야외에 햇빛을 차단하는 파라솔의 파라솔 천의 일부를 메쉬천으로 구성하여 바람이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바람에 의한 파라솔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제의 발전에 의한 개인소득의 향상, 여가선용에 대한 욕구,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시설의 확충 및 주 5일제 근무의 확산에 따라 여가를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이 증대되면서 여가선용 인구가 확산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여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각종 대중문화와 오락 및 스포츠를 통한 연가선용, 강이나 바다 혹은 산 등에서 즐길 수 있는 각종 레포츠 활동을 통해 여가를 선용하고 있다. 특히, 야외에서의 여가선용은 가장 보편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야외(바닷가나 계곡 등)에서 햇빛이 강렬한 계절에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는 장비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햇빛을 가릴 수 있는 파라솔은 가장 먼저 챙겨야 하는 품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파라솔은 우산과 같이 펼쳐져 햇빛을 가림으로써 햇빛을 차단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파라솔은 우산과 같이 펼치거나 접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지면에 꽂아 세워질 수 있도록 하거나 테이블 등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꽂아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파라솔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은 파라솔은 일정 길이의 지주폴, 지주폴의 상부측에 설치된 연결부재 상에 방사상의 일정 간격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살, 지주폴의 외주면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 일단은 승강부재에 타단은 지지살의 일측 하부에 각각 방사상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파라솔의 펼침시 지지살의 펼침을 유지하는 유지살, 연결부재의 하부측 지주폴 상에 설치되어 승강부재의 상승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노브 및 지지살의 상부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파라솔 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파라솔은 승강부재가 하향으로 이동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파라솔을 펼치는 경우 한 쪽 손으로 지주폴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승강부재를 고정노브의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고정노브에 의해 승강부재가 고정됨으로써 파라솔의 펼쳐짐이 유지된다. 이때, 고정노브에 의해 승강부재가 고정됨으로써 유지살은 지지살의 펼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파라솔은 파라솔 천이 바람이 통과할 수 있는 통풍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바람에 의해 날아가거나 쓰러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바람이 어느 정도 강하게 부는 경우에는 파라솔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파라솔은 상부측으로부터의 햇빛이나 빗물 및 바람 등은 차단할 수 있으나, 측방향에 햇빛이나 빗물 및 바람 등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측방향으로부터의 햇빛이나 빗물 및 바람 등은 차단할 없다는 문제가 있어 파라솔의 설치가 어렵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파라솔 천의 일부를 메쉬천으로 구성하여 바람이 메쉬천을 통해 파라솔 천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람에 의해 파라솔이 날아가거나 쓰러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파라솔 천의 하단 상에 하향으로 늘어뜨려 지퍼나 후크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의 연결구조를 통해 연결할 수 있는 그늘막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치함으로써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햇빛이나 빗물 및 바람 등을 차단하여 그늘이 발생되도록 하거나 빗물 또는 바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은 일정 길이의 지주폴, 지주폴의 상부측에 설치된 연결부재 상에 방사상의 일정 간격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살, 지주폴의 외주면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 일단은 승강부재에 타단은 지지살의 일측에 각각 방사상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살의 펼침을 유지하는 다수의 유지살, 연결부재의 하부측 지주폴 상에 설치되어 승강부재의 상승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노브 및 지지살의 상부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파라솔 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파라솔에 있어서, 파라솔의 파라솔 천 일부에 구성되어지되 지지살이 이루는 쐐기꼴의 꼭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하부에 이르는 거리까지 격 번으로 봉제되어 바람이 통과되도록 하는 메쉬천; 및 메쉬천 각각의 상부에 구성되어지되 파라솔 천과 봉제되어 메쉬천을 통해 빗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덮게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더하여 파라솔의 파라솔 천 외측단 일부 또는 전체에 연결부재를 통해 지면으로 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지되 측방향으로의 빗물 또는 햇빛을 차단하는 방수천 또는 비닐의 그늘막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연결부재는 지퍼, 후크 및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그늘막을 파라솔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을 보인 평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을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을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의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파라솔과 같이 일정 길이의 지주폴(110), 지주폴(110)의 상부측에 설치된 연결부재(도시하지 않음) 상에 방사상의 일정 간격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살(120), 지주폴(110)의 외주면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130), 일단은 승강부재(130)에 타단은 지지살(120)의 일측 하부에 각각 방사상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파라솔의 펼침시 지지살(120)의 펼침을 유지하는 유지살(140), 연결부재의 하부측 지주폴(110) 상에 설치되어 승강부재(130)의 상승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노브(150) 및 지지살(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파라솔 천(160)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에 더하여 파라솔 천(160) 일부에 바람이 통과되도록 하는 메쉬천(170) 및 메쉬천(170)의 상부로 설치되어 메쉬천(170)을 통해 빗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덮게천(172)이 구성된다. 이때, 덮게천(172)은 메쉬천(170) 과같은 섬유조직으로 직조되어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천(170)의 상부로 그 양단이 봉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은 바람이 부는 경우 메쉬천(170)을 통해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세워놓은 파라솔(100)이 바람에 의해 쓰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비가 오는 경우에 있어서도 메쉬천(170)의 상부에 덮게천(172)이 구성되기 때문에 파라솔(100) 내부로 비가 들이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쉬천(170)은 파라솔(100)의 내측 하부로부터 상부로 바람이 부는 경우 바람이 메쉬천(170)을 통과되도록 하여 파라솔(100)의 쓰러짐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메쉬천(170)은 파라솔(100)의 파라솔 천(160) 일부에 구성되어지되 지지살(120)이 이루는 쐐기꼴의 꼭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하부에 이르는 거리까지 격 번으로 봉제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파라솔(100)의 지지살(120)이 8개라고 가정하는 경우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살(120)과 지지살(120)이 이루는 이등변 삼각형은 8개가 되고, 메쉬천(170)은 8개의 이등변 삼각형 중 격 번의 위치 4개에 파라솔 천(160)의 지지살(120)이 이루는 이등변 삼각형의 꼭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하부에 이르는 거리까지 이등변 삼각형의 삼변 라인 상에 메쉬천(170)의 삼변 라인이 파라솔 천(160)과 함께 봉제된다.
따라서, 메쉬천(17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라솔 천(160)의 방사상에 동일 간격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때, 메쉬천(170)을 파라솔 천(160)에 방사상 동일 간격으로 봉제하는 경우 메쉬천(170)이 봉제될 파라솔 천(160)의 방사상 동일 간격의 위치를 절개한 후 그 절개된 위치에 메쉬천(170)을 위치시켜 절개된 단면과 메쉬천(170)의 가장자리를 봉제할 수도 있다.
덮게천(172)은 비가 오는 경우 빗물이 메쉬천(170)을 통해 파라솔(100)의 내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덮게천(172)은 메쉬천(170) 각각의 상부에 구성되어진다. 이처럼 덮게천(172)은 메쉬천(170) 각각의 상부에 구성되어짐으로써 메쉬천(170)으로의 빗물이 새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메쉬천(170)을 통해 바람이 통과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덮게천(172)은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메쉬천(170)과 같은 구성의 섬유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천(170)의 상부로 구성되어 그 이등변만이 메쉬천(170)의 이등변 상에 봉제된다. 따라서, 덮게천(172)의 하변은 메쉬천(170)으로부터 상향으로 벌려지거나 메쉬천(170)의 상부로 눌러져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비가 내리면 덮게천(172)은 자연스럽게 메쉬천(170) 상부에 눌러붙게 되어 메쉬천(170)을 통한 비의 들이침을 막아준다. 또한, 덮게천(172)은 그 재질이 가볍고 부드럽기 때문에 만일 파라솔(100) 내부의 밑으로부터 바람이 올라오면 별다른 저항없이 올려져 통풍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덮게천(172)은 이등변 상각형 형태의 메쉬천(170) 보다는 큰 크기의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절개되어 그 양단인 이등변을 메쉬천(170)의 이등변이 봉제된 파라솔 천(160)의 위치에 봉제하게 된다. 따라서, 덮게천(172) 하변의 길이가 메쉬천(170)의 하변에 비해 보다 길기 때문에 덮게천(172) 하부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천(170)으로부터 이격되거나 눌려져 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덮게천(172)과 메쉬천(170) 사이에 바람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은 승강부재(130)가 하향으로 이동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파라솔(100)을 펼치는 경우 한 쪽 손으로 지주폴(110)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승강부재(130)를 고정노브(150)의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고정노브(150)에 의해 승강부재(130)가 고정됨으로써 파라솔(100)의 펼쳐짐이 유지된다. 이때, 고정노브(150)에 의해 승강부재가 고정됨으로써 유지살(140)은 지지살(120)의 펼침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덮게천(172)은 원호의 형태나 삼각형의 형태로 불규칙한 형태로 형성되어 메쉬천(170)으로부터 이격되거나 메쉬천 상부에 눌려져 있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의 제 2 실시 예를 보인 정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의 제 3 실시 예를 보인 정면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의 제 4 실시 예를 보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도 4 내지 도 6 의 본 고안에 따른 다른 구성의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a, 100b, 100c)은 앞서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파라솔(100a, 100b, 100c)의 파라솔 천(160a, 160b, 160c) 외측단 일부 또는 전체에 연결부재(182a, 182b, 182c)를 통해 지면으로 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지되 측방향으로의 빗물 또는 햇빛을 차단하는 방수천 또는 비닐의 그늘막(180a, 180b, 180c)이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4 에 따른 본 고안의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a) 역시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과 마찬가지로 일정 길이의 지주폴(110a), 지주폴(110a)의 상부측에 설치된 연결부재(도시하지 않음) 상에 방사상의 일정 간격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살(도시하지 않음), 지주폴의 외주면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도시하지 않음), 일단은 승강부재에 타단은 지지살의 일측 하부에 각각 방사상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파라솔의 펼침시 지지살의 펼침을 유지하는 유지살(도시하지 않음), 연결부재의 하부측 지주폴(110a) 상에 설치되어 승강부재의 상승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노브(도시하지 않음) 및 지지살의 상부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파라솔 천(160a), 파라솔 천(160a) 일부에 바람이 통과되도록 하는 메쉬천(170a) 및 메쉬천(170a)의 상부로 설치되어 메쉬천(170a)을 통해 빗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덮게천(172a)이 구성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다만, 도 4 에 따른 제 2 실시 예의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a)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파라솔 천(160a) 외측단 일부 또는 전체에 연결부재(182a)를 통해 지면으로 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지되 측방향으로의 빗물 또는 햇빛을 차단하는 방수천 또는 비닐의 그늘막(180a)이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도 4 에 따른 제 2 실시 예의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a)의 연결부재(182a)는 지퍼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퍼의 연결부재(182a)를 통해 파라솔 천(160a) 외측단 일부 또는 전체에 측방향으로의 빗물 또는 햇빛을 차단하는 방수천 또는 비닐의 그늘막(180a)이 장착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방향으로부터의 햇빛의 차단은 물론, 비가 들이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도 4 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본 고안의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a)에서와 같이 파라솔 천(160a) 외측단 일부 또는 전체에 빗물 또는 햇빛을 차단하는 방수천 또는 비닐의 그늘막(180a)을 설치함으로써 혹서기는 물론 사계절의 날씨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 에 따른 제 3 실시 예의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b) 역시 도 4 에 따른 제 2 실시 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도 4 에 따른 제 2 실시 예의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a) 구성과 다른 점은 연결부재(182b)의 구성을 도 4 의 지퍼 대신 후크로 사용한 점이 다른 뿐이다.
도 6 에 따른 제 4 실시 예의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c) 역시 도 4 및 도 5 에 따른 제 2 및 제 3 실시 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도 4 및 도 5 에 따른 제 2 및 제 3 실시 예의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a, 100b) 구성과 다른 점은 연결부재(182c)의 구성을 도 4 및 도 5 의 지퍼나 후크 대신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한 점이 다른 뿐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100)은 파라솔 천(160) 일부에 바람이 통과되도록 하는 메쉬천(170) 및 메쉬천(170)의 상부로 설치되어 메쉬천(170)을 통해 빗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덮게천(172a)을 구성함으로써 바람이 부는 경우에도 파라솔(100)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파라솔 천(160a, 160b, 160c) 외측단 일부 또는 전체에 연결부재(182a, 182b, 182c)를 통해 빗물 또는 햇빛을 차단하는 방수천 또는 비닐의 그늘막(180a, 180b, 180c)을 더 구성함으로써 측방향으로의 빗물 또는 햇빛을 차단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파라솔 천의 일부를 메쉬천으로 구성하여 바람이 메쉬천을 통해 파라솔 천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람에 의해 파라솔이 날아가거나 쓰러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파라솔 천의 하단 상에 하향으로 늘어뜨려 지퍼나 후크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의 연결구조를 통해 연결할 수 있는 그늘막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치함으로써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햇빛이나 빗물 및 바람 등을 차단하여 그늘이 발생되도록 하거나 빗물 또는 바람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을 보인 평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을 보인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의 제 2 실시 예를 보인 정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의 제 3 실시 예를 보인 정면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의 제 4 실시 예를 보인 정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파라솔 110. 지주폴
120. 지지살 130. 승강부재
140. 유지살 150. 고정노브
160. 파라솔 천 170. 메쉬천
172. 덮게천 180a, 180b, 180c. 그늘막
182a, 182b, 182c. 연결부재(지퍼, 후크, 벨크로 테이프)

Claims (3)

  1. 일정 길이의 지주폴, 상기 지주폴의 상부측에 설치된 연결부재 상에 방사상의 일정 간격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의 지지살, 상기 지주폴의 외주면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 일단은 상기 승강부재에 타단은 상기 지지살의 일측에 각각 방사상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지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지살의 펼침을 유지하는 다수의 유지살,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측 지주폴 상에 설치되어 승강부재의 상승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노브 및 상기 지지살의 상부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파라솔 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파라솔에 있어서,
    상기 파라솔의 파라솔 천 일부에 구성되어지되 상기 지지살이 이루는 쐐기꼴의 꼭지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하부에 이르는 거리까지 격 번으로 봉제되어 바람이 통과되도록 하는 메쉬천; 및
    상기 메쉬천 각각의 상부에 구성되어지되 파라솔 천과 봉제되어 상기 메쉬천을 통해 빗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덮게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솔의 파라솔 천 외측단 일부 또는 전체에 연결부재를 통해 지면으로 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지되 측방향으로의 빗물 또는 햇빛을 차단하는 방수천 또는 비닐의 그늘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지퍼, 후크 및 벨크로 테이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상기 그늘막을 상기 파라솔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
KR20-2005-0025135U 2005-08-31 2005-08-31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 KR200401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135U KR200401598Y1 (ko) 2005-08-31 2005-08-31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135U KR200401598Y1 (ko) 2005-08-31 2005-08-31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598Y1 true KR200401598Y1 (ko) 2005-11-17

Family

ID=43702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135U KR200401598Y1 (ko) 2005-08-31 2005-08-31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5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65012A1 (en) * 2021-02-22 2022-08-25 Duane Reynolds Caped umbrella
KR102451007B1 (ko) * 2022-03-14 2022-10-06 장병택 탈착 가능한 방충망을 구비하는 파라솔 우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65012A1 (en) * 2021-02-22 2022-08-25 Duane Reynolds Caped umbrella
KR102451007B1 (ko) * 2022-03-14 2022-10-06 장병택 탈착 가능한 방충망을 구비하는 파라솔 우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2152B2 (en) Wind-resistant portable shade shelter
KR200401598Y1 (ko) 통풍구조를 갖는 파라솔
KR101315166B1 (ko) 휴대용 차양막
GB2295629A (en) Awning for umbrella or sunshade
KR100926452B1 (ko) 텐트의 차양막 구조
US20070256717A1 (en) Decorative theme slipcover for patio and beach umbrellas
CN114096724B (zh) 使用广告气球的遮阳棚
KR200272755Y1 (ko) 그늘막
GB2284437A (en) Sun umbrella with awning
KR100963663B1 (ko) 정자형 파라솔
KR200408619Y1 (ko) 파라솔용 천막
KR102007528B1 (ko) 변신 텐트
KR200163305Y1 (ko) 차양텐트
KR20200081118A (ko) 타프 설치식 텐트
KR20200063560A (ko) 접이식 텐트 구조물
KR200175249Y1 (ko) 절첩식 차양을 가진 텐트
KR200455265Y1 (ko) 양산 겸용 우산
JP3223329U (ja) 設置解体が容易で、用を満たし美に堪える歩道の天幕。
US20060096629A1 (en) Ventilated device for protection against solar radiation
KR20060120858A (ko) 낚시용 그늘막 텐트
US20050103372A1 (en) Animal umbrella
KR20110001773U (ko) 레저용 천막
KR200189925Y1 (ko) 파라솔겸용 텐트
KR200354065Y1 (ko) 파라솔용 차양막
KR200392044Y1 (ko) 낚시용 그늘막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