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567Y1 -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 - Google Patents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567Y1
KR200401567Y1 KR20-2005-0023464U KR20050023464U KR200401567Y1 KR 200401567 Y1 KR200401567 Y1 KR 200401567Y1 KR 20050023464 U KR20050023464 U KR 20050023464U KR 200401567 Y1 KR200401567 Y1 KR 200401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sheet
coupling means
bol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3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5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567Y1/ko
Priority to PCT/KR2006/003183 priority patent/WO2007021114A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3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with indentations, projections, ribs, or the like, for augmenting the adherence to the concrete

Abstract

보관 또는 운반시 부피가 감소하도록 적층 시킬 수 있는 파형강판의 보강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파형강판의 보강 구조물은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파형강판에 다수의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수단에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볼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된 것으로 볼트가 분리될 수 있음으로써, 보관 및 운반시 적층 시킬 수 있고 부피가 감소하여 보관이 용이하며, 물류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STRUCTURE FOR REINFORCING A CORRUGATED STEEL PLATE}
본 고안은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형강판에 다수의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수단에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볼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강판은 3.2mm ~ 7mm 두께의 박판 강재에 파형을 주어 강성을 증가시킨 토목공사용 구조물이다.
이와 같은 파형강판을 이용하여 토목구조물을 형성한 기술이 공개번호 특2000-16602호(공개일자:2000년 3월 25일)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파형강판을 이용한 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은 파형강판(120)과 콘크리트(14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파형강판(120)에 스터드(150)를 결합시킨다. 즉, 파형강판(120)의 일측면에 금속으로 된 스터드(150)를 위치시키고, 전류를 공급하면 그 접합부에서 아크가 일어나면서 그 표면에 적당한 열이 발생하여 스터드(150)의 끝 부분이 파형강판(120)의 일측면과 융착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파형강판(120)의 표면에는 스터드(150)의 하부 끝단이 접합되어 파형강판(120)의 표면에 세워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형강판(120)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금 및 건조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파형강판(120)에 도금작업을 한 후 스터드(150)를 용접하게 되면 도금막에 의해 용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용접이 이루어지더라도 용접부위의 도금막이 손상되어 부식을 활성화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접작업 후 도금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100)은 파형강판(120)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시 내하력 증가를 위해 파형강판(120)의 외측에 콘크리트(140)를 타설한다. 이때, 타설되는 콘크리트(140)와 파형강판(120) 사이에는 스터드(150)가 위치하게 되고, 이후 콘크리트(140)가 단단히 굳어지며 콘크리트(140)와 스터드(150)는 견고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파형강판(120)과 콘크리트(140)로 이루어진 보강구조물(100)은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파형강판(120)에 스터드(150)가 용접된 상태에서 도금 및 건조 공정을 거쳐 시공가능한 파형강판(120)이 완성되었기 때문에 스터드(150)가 파형강판(120)에 직립한 상태로 운반 또는 보관되고 있었다. 이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각 공정으로 운반 시 파형강판(120)에 스터드(150)가 세워진 상태로 파형강판(120)을 서로 적층시키게 되면 스터드(150)의 길이가 길어서 적층되는 파형강판(120)이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생겨 파형강판(120)을 적층시켜 운반할 수 없었다.
둘째, 파형강판(120) 보관 시 파형강판(120)을 적층시킬 수 없어 보다 넓은 적재장소가 필요하였다.
셋째, 파형강판(120)을 시공현장으로 운반시 파형강판(120)을 적층시킬 수 없어 부피가 증대되어 물류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스터드 구조를 구비하면서도 파형강판을 적층시켜 보관하거나 운반할 경우 부피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에는 다수의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수단에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볼트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파형강판의 일측면에 용접되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파형강판에 형성되는 나사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볼트가 억지끼움되도록 상기 파형강판에 형성되는 끼움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 따른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의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a, 3b는 도 1에 도시된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10)은, 파형강판(12)에 구비되는 결합수단과, 결합수단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볼트(50)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결합수단은 파형강판(12)의 일측면에 용접되는 너트(21)로 이루어지며, 너트(21)에는 볼트(50)가 선택적으로 체결된다. 즉, 너트(21)는 파형강판(12)의 일측면에 다수 개가 용접되어 고정되고, 너트(21)에는 볼트(50)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너트(21)가 결합된 파형강판(12)은 볼트(50)와 함께 도금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부식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강판(12)은 결합수단이 구비된 상태에서 여러 겹으로 적층시켜 보관할 수 있다. 이는 파형강판(12)에 용접된 너트(21)의 높이(두께)가 높지 않기 때문에 파형강판(12)을 여러 겹으로 적층하여도 큰 부피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파형강판(12)을 여러 겹 적층하여도 형상이 변형되지 않아 제품에 손상이 없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파형강판(12)을 여러 겹으로 적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운반수단을 이용한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운송수단에 의해 파형강판(12)을 운반할 경우 적층되는 파형강판(12)의 부피가 감소하여 보다 많은 양의 파형강판(12)을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적층된 파형강판(12)은 토목공사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시공 현장으로 운반하게 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 현장으로 운반된 파형강판(12)의 너트(21)에 볼트(50)를 각각 체결한다. 즉, 시공 현장으로 운반하기 전에 볼트(50)를 결합시키게 되면 부피가 커지고, 제품의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시공 현장에서 볼트(50)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볼트(50)가 너트(21)에 체결되면 각각의 볼트(50)는 파형강판(12)과 직각을 유지하여 설치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파형강판(12)에 볼트(50)를 체결한 상태에서 파형강판(12)의 외측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14)를 타설한다. 전술한 과정으로 타설된 콘크리트(14)가 양생되었을 때 콘크리트(14)와 볼트(50)는 견고하게 결합되고, 콘크리트(14)와 파형강판(12)으로 이루어진 보강구조물(10)은 견고함을 유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파형강판(12)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이 나사공(31)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 예와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강판(12)에 나사공(31)이 직접 형성되므로 적층 시 파형강판(12)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더욱 많은 양의 파형강판(12)을 적층시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나사공(31)에 체결된 볼트(50)에는 파형강판(12)의 이면에서 너트(51)가 체결될 수 있다. 이는 볼트(50)를 파형강판(12)에 더욱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인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파형강판(12)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이 끼움공(41)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 예와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공(41)은 파형 강판(12)에 볼트(50)가 억지끼움되도록 파형강판(12)의 일측면에서 타측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볼트(50)가 끼움공(4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볼트(50)의 끝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파형강판(12)에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볼트(5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파형강판(12)의 끼움공(41)에 볼트(50)를 망치 등의 공구로 타격하여 손쉽게 끼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파형강판(12)에 너트(21), 나사공(31), 끼움공(41)과 같은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이 결합수단에 스터드 기능을 갖는 볼트(50)를 시공 현장에서 직접 체결하여 결합시킬 수 있음으로써, 파형강판(12)을 적층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은 파형강판에는 다수의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수단에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볼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파형강판을 적층시켜 보관 및 운반시 형상의 변형 없이 보관 및 운반이 가능하고, 운송수단에 의해 운반 시 보다 많은 양의 파형강판을 적재할 수 있어 물류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a, 3b는 도 1에 도시된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3실시 예에 따른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파형강판 14 : 콘크리트
21 : 너트 31 : 나사공
41 : 끼움공 50 : 볼트

Claims (4)

  1.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파형강판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에는 다수의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수단에는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볼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파형강판의 일측면에 용접되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볼트가 체결되도록 상기 파형강판에 형성되는 나사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볼트가 억지끼움되도록 상기 파형강판에 형성되는 끼움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
KR20-2005-0023464U 2005-08-12 2005-08-12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 KR200401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464U KR200401567Y1 (ko) 2005-08-12 2005-08-12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
PCT/KR2006/003183 WO2007021114A1 (en) 2005-08-12 2006-08-14 Structure for reinforcing a corrugated steel pl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464U KR200401567Y1 (ko) 2005-08-12 2005-08-12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567Y1 true KR200401567Y1 (ko) 2005-11-17

Family

ID=3775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464U KR200401567Y1 (ko) 2005-08-12 2005-08-12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01567Y1 (ko)
WO (1) WO200702111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353B1 (ko) * 2017-05-30 2017-11-24 주식회사 픽슨 강성증대용 rc보강 파형강판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3394A (en) * 1996-06-12 1998-11-10 Michael W. Wilson Composite concrete metal encased stiffeners for metal plate arch-type structures
US20030143028A1 (en) * 2002-01-31 2003-07-31 Wilson Michael W. Cold roll forming a short radius curvature into deep corrugated metal plate
KR20040103152A (ko) * 2003-05-31 2004-12-08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 구조물의 이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353B1 (ko) * 2017-05-30 2017-11-24 주식회사 픽슨 강성증대용 rc보강 파형강판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21114A1 (en)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21362A (ja) プレキャスト合成床版の継手構造
US7775500B1 (en) Concrete forming system with interacting brackets connecting stacked form panels
US20070252348A1 (en) Joint and main beam of container semi-trailer provided with the joint
US20140166648A1 (en) Sidewall unit,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fluid storage tank comprising the sidewall unit
KR200401567Y1 (ko) 파형강판의 보강구조물
WO2003045799A1 (fr) Palette de transport
JP5107966B2 (ja) 鉄骨構造物
JP2001207541A (ja) 建築用構造材のリブ付き連結補強用部材
JPH08338007A (ja) 段積みh形鋼橋梁
KR100638846B1 (ko) 기둥폼
JP2010024775A (ja) 鉄筋かごの揚重方法、鉄筋かご、鉄筋かごの組立方法
JP5107967B2 (ja) 鉄骨構造物
JP2001039486A (ja) タンク
KR100449521B1 (ko) 강관파일의 두부보강 구조 및 그 구조물
JP7424650B2 (ja) 角パイプの接合構造とそれを用いた搬送容器
JP2001040782A (ja) 補強材の接合構造
CN216077430U (zh) 海上风力发电机组整体运输装置
KR20150000508U (ko) 리프팅 빔 장치
KR100671171B1 (ko) 파렛트의 중간지지구
JP7174576B2 (ja) 柱継手ブロック及び柱継手構造
JP7217029B2 (ja) セントル構成部材の整列方法に用いる整列用治具
JP2000043870A (ja) 軽量化アルミパレット
JP2010255179A (ja) 組合せ鋼矢板および該組合せ鋼矢板を用いた鋼矢板壁
JP3055881B2 (ja) 特殊λ形鋼
JP5713618B2 (ja) 付帯物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